땅의 기억 3

땅의 기억 3

땅의 기억 3

도시 공간에 생명력을 불어넣으며 자연을 새롭게 정의하는 젊은 조경가 세 팀과 이야기를 나눴다.

안마당더랩
이범수, 오현주 소장

영국식 브런치 카페에 맞춰 런던 도심 속 정원을 컨셉트로 조성한 어프로치 커피. © 박성욱

안마당더랩에 대해 간단히 소개 부탁한다. 2016년 설립한 외부 공간 디자인 스튜디오다. 조경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설계적 접근을 모색하며, 외부 공간을 구상하고 설계하며 실제로 만들어내는 작업을 한다. 일상적이면서 실용적이고 편안한 공간을 바탕으로 한 선명하고 세련된 디자인을 추구하며, 직관적인 접근을 선호한다.

스튜디오 이름에는 어떤 의미가 담겨 있나? 단순하고 직관적인 의미다. 외부 공간을 의미하는 ‘안마당’과 작업실을 뜻하는 ‘더 랩 The Lab’으로 실용적이고 직관적인 메시지를 전하고자 했다.

이솝 성수, 호지 스테이, 인포멀 가든 등에서 선보인 빗물 활용 조경 디자인이 인상적이었다. ‘비의 건축술’이라 표현했는데 소개해달라. 비의 건축술은 비를 효율적으로 활용해 건축 설계에 통합하는 지속 가능한 철학과 기술이다. 이 개념의 적용은 이솝 성수 프로젝트에서 이대길스튜디오의 이대길 정원사와의 협업을 통해 시작되었다. 성수동의 물과 관련된 지명과 이솝의 친환경 철학에 맞춰 비와 물을 다루는 것이 자연스러운 선택이었다. 이를 통해 친환경 설계에 대한 관심이 깊어졌고, 이후 호지스테이와 인포멀가든 프로젝트에도 적용했다. 빗물 활용이 직접적인 환경 개선을 목표로 하지는 않지만, 이를 경험한 사람들이 환경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면 충분한 의미가 있을 것이라 믿는다.

성북구의 단독주택에 조성한 정원. © 박성욱

© 박성욱

친환경적인 정원을 위해 중요시하는 부분이 있다면? 자연 자원의 보존과 효율적 활용을 위해 토착 식물의 사용과 생물의 다양성 증대를 중시하며, 시설물 디자인에서도 자재 선택을 신중하게 고려한다. 또한 비료와 농약 사용을 자제하고, 자연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경제적 이득을 추구할 수 있는 방식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접근은 동양 전통 정원의 조성 방식과 닮아 있으며, 특히 한국 정원은 자연과의 조화와 인공적 요소의 최소화를 통해 자연 그대로의 아름다움을 강조한다. 따라서 한국 정원에 대한 깊은 이해는 친환경 정원 설계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단순히 조경 기획부터 설계만이 아니라 식재 시공을 직접 하게 된 이유가 궁금하다. 모든 프로젝트를 시공하는 것은 아니지만, 식재를 직접 진행하는 이유는 조경의 특성상 설계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자재 선정부터 현장 변경까지 설계의 연장선으로 보고, 소재의 특성에 맞춰 조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돌과 나무 등 조경 소재는 동일한 자재라도 모양, 색상, 질감이 다르기 때문에 현장에 맞는 조정이 필수적이다. 설계, 공사, 관리가 별개가 아닌 하나의 흐름으로 이어져야만 좋은 결과와 지속 가능한 공간이 완성된다.

사계절이 있는 우리나라 조경을 위해 고려하는 부분은? 단순한 계절 변화뿐만 아니라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해 한파, 폭염, 태풍, 집중호우 등 극단적인 날씨를 고려해야 한다. 이에 따라 공간 설계 시 단순한 계절 변화를 넘어서 배수 체계, 방풍 식재, 생육 조건 등을 고려해야 한다. 특히, 식물 이식 후 활착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극단적인 날씨에 견디기 어렵기 때문에, 식재 공사 시점을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경상남도 울주군에 위치한 차리 카페의 인포멀 가든. © 박성욱

© 박성욱

조경 디자이너를 하게 된 계기는? 조경을 시작한 특별한 이유는 없었지만, 이 일을 통해 ‘조경을 선택하기 잘했다’는 순간이 많았다. 살아 있는 것을 디자인하는 일은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시스템과 프로그램을 다루는 작업이라는 것을 깨달았을 때 매우 흥미로웠다. 무엇보다 도시도 살아 있다는 점, 그리고 조경이 도시의 생명력을 불어넣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에 매력을 느꼈다. 도시가 탄생과 죽음을 겪고, 조경이 그 안에서 지속적인 생명력을 부여하는 과정이 매우 의미 깊었다. 식물의 성장과 변화는 자연의 순환을 깨닫게 하며, 이를 통해 삶의 유한함과 존재의 소중함을 깊이 느끼게 된다.

가장 좋아하는 조경가는? 해외 조경가로는 조경이 과학적이고 분석적인 틀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예술로 인정받아야 한다고 주장한 대표적인 조경가 피터 워커 Peter Walker, 조지 하그리브스 George Hargreaves, 마이클 반 발켄버그 Michael Van Valkenburgh 등이 있다. 이들은 기존 틀을 넘어선 새로운 조경 디자인의 길을 모색한 이들로, 우리 학업 시절에 영향을 주었다.

가장 기억에 남는 프로젝트는? 세종시에 있던 이도커피 사유점 프로젝트의 마지막 날이 기억에 선명하다. 지금은 운영하지 않고 있지만, ‘사유하다’는 컨셉트의 공간으로 ㅁ자 형태의 건물로 외부는 오직 중정의 창을 통해서만 느낄 수 있었다. 우리는 중정에 소사나무 12주를 심으면서 단순한 감상을 넘어 그 너머를 상상하게 하고 싶었다. 나무들의 위치와 방향을 세심하게 계획해 자연스러움을 추구했다. 작업을 마친 후, 중정 속 소사나무가 바람에 흔들리는 모습을 보곤 서로 말을 잃던 순간이 특히 기억에 남는다.

최근 진행한 프로젝트는? 스튜디오 씨오엠과 함께 진행한 성수동 디스이즈네버댓과 카키스 매장의 작은 테라스 화분 연출 작업이 흥미로웠다. 비록 규모는 작았지만 브랜드와 매장 분위기에 맞춰 화살나무를 제안해 연출했는데, 사람들은 “이런 나무는 처음 본다”고 했다. 화살나무는 5분 거리에서 흔히 보는 나무라고 말하자 놀라던 그들의 반응이 무척 인상적이었다.

강원도 강릉의 호지 스테이. 객실 사이의 둥근 정원에는 물이 자연스레 고이게 만들어 자생하는 정원을 만들었다. © 진효숙

© 박성욱 

© 박성욱

CREDIT

에디터

TAGS
New Scene of Color 1

New Scene of Color 1

New Scene of Color 1

글로벌 페인트 브랜드와 컬러 전문가들이 선정한 ‘올해의 컬러’는 다가오는 해의 분위기를 예고한다. 2025년을 이끌 컬러 트렌드를 통해 우리 공간이 어떻게 변화할지 미리 엿보자.

퍼플 바질 Purple Basil

1887년 설립된 유서 깊은 페인트 브랜드 글리든 Glidden은 선명한 퍼플의 유행 컬러에서 더 나아가 짙고 어두운 톤의 퍼플 바질을 선택했다. 맥시멀리즘 트렌드에서 무게감 있게 중심을 잡아주고, 차분하고 절제된 미학을 더해준다.

1 엘로아 Eloa, 플래네토이드 Planetoid 마치 우주의 소행성처럼 공중에 신비롭게 떠 있는 느낌의 펜던트 조명. 섬세한 유리 소재의 질감과 형태가 신비로운 분위기를 더한다.

2 웨스트엘름 Westelm, 클라우드스케이프 러그 Cloudscape Rug 몽환적인 구름 형상을 수채화 같은 퍼플 컬러 그러데이션으로 표현했다.

3 스튜디오 슈퍼 선데이 Studio Super Sunday, 드립 미러 Drip Mirror 물방울이 흘러내리는 모습을 그래픽적으로 표현한 거울. 표면에는 나무의 질감을 살려 조각적인 멋을 더했다.

4 미니폼 Miniforms, 소다 오발 애머시스트 Soda Obal Amethyst 세 명의 무라노 유리공예 장인이 입으로 불어 만든 커피 테이블로, 유리 본연의 질감과 두꺼운 무게감이 돋보인다.

5 베르판 Verpan, 이지 소파 Easy Sofa 둥글둥글한 마감과 겹겹이 쌓인 좌석 형태가 유머러스한 분위기를 만든다. U자 모양의 등받이 4개가 개별적인 공간을 제공해 편안하면서도 넉넉하게 앉을 수 있다.

6 톰 딕슨 Tom Dixon, 윙백 마이크로 체어 젠틀 2 Wingback Micro Chair Gentle 2 둥근 곡선을 그리며 포근하게 감싸는 등받이와 머리 받침대가 특징인 윙백 체어. 크바드랏 Kvadrat의 젠틀 2 패브릭을 사용해 고급스럽고 우아한 광택이 돋보인다.
 에어리 블루 Airy Blue

팬톤 컬러 연구소는 패션 컬러 트렌드 리포트를 통해 2025년 유행할 트렌드 컬러를 예측했다. 뉴욕과 런던 패션위크 런웨이에서 공통적으로 등장한 컬러 에어리 블루는 청량한 느낌과 순수한 아날로그 감성으로 주목받을 예정이다.

1 로쉐 보보아 Roche Bobois, 에이펙스 아웃도어 오토만 Apex Outdoor Ottoman 피망처럼 둥근 볼륨과 퀼팅 처리된 오토만은 기능적 미학과 편안함을 완벽하게 조합했다.

2 아르마니 까사 Armani Casa, 피아토 Piatto <전 세계의 메아리 Echoes from the World>라는 주제로 선보인 2024 아르마니 까사 컬렉션의 플레이트. 동양적인 수묵화 풍경을 담은 플레이트로 연출한 몽환적인 분위기가 느껴진다.

3 CC타피스 CC-Tapis, 블루 팃 Blue Tit 푸른 새가 몸을 둥글게 웅크린 듯 섬세한 색감과 형태가 돋보이는 러그. 영국 디자인 스튜디오 파예 투굿 Faye Toogood에서 디자인한 루드 컬렉션 중 하나다.

4 미니폼 Miniforms, 코크 Coque 단순한 형태이지만 대조적인 질감으로 보는 각도에 따라 재미를 더한 거울. 안쪽은 풍부한 광택이 돋보이는 에나멜을, 바깥쪽은 매트한 질감의 세라믹 소재를 사용했다.

5 까시나, 코르나로 암체어 Cornaro Armchair 카를로 스카르파 Carlo Scarpa가 디자인한 암체어는 구조적 미학이 돋보인다. 넉넉한 좌석과 둥글게 패딩 처리된 쿠션을 감싸는 프레임이 조각적인 아름다움을 자아낸다. 광택이 나는 래커 칠을 한 목재 프레임은 옅은 하늘빛 패브릭 커버와 멋진 대비를 이룬다.

6 미니폼, 알비오 Albio 로마제국의 웅장한 조각 미학에서 영감을 받은 다이닝 테이블로서 원형 상판 아래에 배치된 삼각형 기둥이 완벽한 균형을 이룬다. 고전적이면서도 현대적인 조화를 보여주는 디자인이 돋보인다.

세이지 그린 Sage Green

글로벌 대표 페인트 회사 셔윈-윌리엄스 Sherwin-Williams는 예측한 ‘올해의 컬러’는 차분하고 중성적인 세이지 그린. 회색빛이 섞인 세이지 그린과 밝은 비취색, 연두색의 조화는 공간에 고요하고 포용적인 분위기를 만든다. 차분하면서도 따뜻한 느낌을 주어, 휴식과 평온을 원하는 공간에 적합하다.

1 아르마니 까사, 아킬레 베이스 Achille Vase 아르마니의 클래식한 아킬레 컬렉션을 연그린 컬러로 새롭게 선보였다. 크리스털 컷으로 완성한 표면이 고급스러운 무드를 완성한다.

2 돌체앤가바나 Dolce&Gabbana, 베르데 마이올리카 티팟 Verde Maiolica Teapot 브랜드의 아이코닉한 마졸리카 패턴을 그린 컬러로 재해석해 남부 이탈리아의 이국적 분위기를 표현했다. 이탈리아 전통 수공예 방식으로 제작해 포셀린의 독특한 질감을 살렸다.

3 더콘란샵 The Conran Shop, 워더 캔들스틱 셀라돈 Wardour Candlestick Celadon 오래된 도자기 제작의 역사를 자랑하는 스톡 온 트렌트 지역에서 제작된 촛대. 셀라돈 소재를 사용해 섬세하게 크랙이 간 표면이 독특하고 세련된 외관을 완성한다.

4 웨스트엘름, 런웨이 러그 Runway Rug 반복적인 원형 그래픽에서 경쾌한 리듬감이 느껴진다. 천연 양모 원사를 수작업으로 직조해 독특하고 섬세한 패턴을 완성한다.

5 프레데리시아 Fredericia, 플랜 바스툴 Plan Barstool 에드워드 바버 Edward Barber와 제이 오스거비 Jay Osgerby가 디자인한 컬렉션으로, 다양한 패브릭과 가죽, 스틸의 조합을 제공한다. 그중 모더니스트 그린 Modernist Green은 견고한 소재와 생동감 넘치는 컬러로 활용도가 높다.

6 글라스 이탈리아 Glass Italia, 바바 Babar 파트리시아 우르퀴올라 Patricia Urquiola가 디자인한 유기적인 형태의 원형 테이블. 100% 리사이클 유리 입자로 만들어 불규칙한 표면과 기하학적인 패턴을 자랑한다.

7 헤이 HAY, AAL 87 섬세한 퀼팅과 매끈하게 이어지는 곡선이 특징인 라운지 체어. 바깥쪽으로 기울어진 가느다란 다리가 기능적이면서도 우아한 미학을 완성한다.

CREDIT

에디터

TAGS
땅의 기억 2

땅의 기억 2

땅의 기억 2

도시 공간에 생명력을 불어넣으며 자연을 새롭게 정의하는 젊은 조경가 세 팀과 이야기를 나눴다.

연수당
신준호 대표

중정에 자연 생태 정원을 조성한 하도문 속초. 

연수당에 대해 간단히 소개 부탁한다. 연수당은 2021년 설립된 가든 스튜디오로, 자연을 관찰하고 이해하며 아름다움의 원리를 탐구해 지속 가능한 공간을 만드는 집단이다. 서귀포를 기반으로, 다양한 생명이 좀 더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아가는 지구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스튜디오 이름에는 어떤 의미가 담겨 있나? 돌아가신 외조부께서 운영한 한약방 연수당의 한자를 다르게 하여 ‘자연스럽게 심는 집’이란 의미를 담았다. 자연에서 얻은 재료를 사용한다는 점이 비슷하기도 하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많은 사람의 삶을 건강하게 만드는 일을 이어가고자 했다.

제주 애월의 하우스오브레퓨즈에서 선큰과 입구 조경 등 다양한 형태의 조경을 선보였다.

2019년 더가든 근무 당시 서울시립대 조경학과 김아연 교수 등과 함께 제주 중문대포해안 주상절리대 경관설계 국제공모전에 당선되어 선보인 <수평적 깊이와 트멍 경관>.

층고가 높은 푸투라 전시장에서 작품처럼 보이는 조경.

최근 진행한 프로젝트는? 지난 8월에 개관한 푸투라 서울의 후정, 테라스, 옥상 식재 공사를 맡았다. 거대한 암반이 드러난 경사면에 돌을 쌓아 만든 오래된 석축 사이로 나무들이 자라서 숲을 형성해, 새로 지어진 콘크리트 건축물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도록 디자인했다. 또 그늘에서 자라는 식물들을 심어 깊은 숲 속 풍경을 연출하고, 나무 그림자가 건물 벽에 투영되는 장면을 만들어냈다. 외부 테라스를 통해 옥상에 오르면 도시형 한옥 지붕과 북악의 산세, 도시 풍경이 한눈에 들어온다. 이를 위해 가늘고 부드러운 질감의 수목과 그라스를 식재해 주변 풍경을 더욱 강조했다.

조경 디자인에서 가장 우선순위에 두는 것이 있다면? 시공을 직접 하다 보니 현장을 둘러보며 많은 것을 구상하게 된다. 도면에 표기된 등고선이나 표고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미세한 지형 변화와 물의 흐름, 식재 기반이 되는 토양의 상태와 미기후 등은 직접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져봐야 알 수 있는 것들이다.

더가든에서 근무하며 선보인 아모레 성수, 모노하 한남은 물론 연수당에서의 하도문 속초 등 자연 생태적인 정원을 강조해왔다. 자연 생태에 대한 이해와 적용은 조경이 건축이나 인테리어 등 다른 공간 디자인 분야와 가장 큰 차별성을 갖는 지점이다. 또한 생태정원은 단순히 양식이나 취향의 차원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당면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흐름으로 자리 잡았다. 다양한 생명을 품고 아름다우면서도 지속 가능한 생태 공간을 조성하여, 생태정원에 대한 오해와 잘못된 인식을 바꾸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래미안 네이처 갤러리. © 조현철

지속 가능한 정원을 위해 가장 고려하는 점은? 서식처 환경에 맞는 디자인과 기반 조성이 가장 우선되어야 한다. 또한 초기 모습을 위해 식물이 자라는 크기를 고려하지 않고 밀도를 높여 식재할 경우에는 시간이 갈수록 생장이 불량해지고 지저분해 보일 수 있으므로, 충분한 간격을 두고 식재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프로젝트인 하우스오브레퓨즈는 입구 조경부터 선큰, 마당 등 다양한 구성의 조경이 인상적이었다. 서로아키텍츠와 더가든의 기본 설계를 바탕으로 현장 여건에 맞게 조정하며 실시 설계와 시공을 진행했다. 오랜 기간 방치되어 있던 공간에 활력을 불어넣는 작업이기에 조경의 역할이 중요했다. 거대한 구조체의 안과 밖, 위와 아래에 배치된 각기 다른 크기와 환경 조건을 가진 녹지가 연속적인 공간적 체험 속에서 자연스럽게 스며들며, 경계 너머의 초지와 숲, 멀리 보이는 해수면까지 이어지는 거대한 경관의 스케일을 깨뜨리지 않도록 했다.

사계절이 있는 우리나라 조경을 위해 고려하는 부분은? 대부분의 사람들은 꽃이 흐드러지게 피거나 화려한 단풍을 좋아하지만, 이는 일 년 중 아주 잠시 동안의 이벤트에 불과하다. 이른 봄 새순이 돋아나고, 여름에는 서로 다른 크기와 형태의 잎사귀들이 초록의 춤을 추며, 겨울에는 앙상한 줄기만 남은 풍경조차 아름다워 보일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내년 혹은 준비 중인 프로젝트에 대해 들려줄 이야기가 있다면? 서귀포 한 마을의 오래된 주택을 매입해 새로운 베이스캠프로 만드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지역 건축가인 에이루트건축사사무소와 브랜드 디렉터 브루더 Bruder와 협업을 통해 우리의 비전을 담은 공간을 만들고 있다. 또한, 브랜딩 작업도 함께 진행하여 새로운 회사로 거듭날 계획이다.

CREDIT

에디터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