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기사는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의 지원을 받아 제작 되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에서 주관하는 우수공예품 지정제도(K-ribbon Selection)에 선정된 올해의 작가 5인을 만났다. 전통과 현대의 감각이 어우러진 그들의 작품은 한국 공예의 미래를 세계로 이끈다.

2024 우수공예품으로 선정된 소복함. 복주머니를 나무함으로 재해석하고, 꽃 모양 자개로 복을 빌어주는 의미를 더했다.
“사람들이 종종 작업을 보고 ‘이게 자개인가요?’ 하며 놀라곤 해요. 그것이 칭찬처럼 들려요. 자개를 사용하지만 자개 같지 않은, 그래서 좀 더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는 방식을 사용하려고 해요.” 전통 자개 공예를 현대적이고 친숙한 방식으로 풀어내는 생활공예 브랜드 소목소복의 이야기다. 누나 김송이 작가가 목공 작업을 하고, 동생 김경훈 작가가 그 위에 자개를 얹어 공예품을 함께 만들어나간다. ‘소목소복’이라는 이름은 ‘소소한 나무가 주는 소소한 행복’을 의미하며, 일상 속에서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작은 제품을 통해 보는 이에게 기쁨과 행복을 주기 바란다는 뜻이다. 김송이 작가는 취미로 목공을 시작했다가 동생이 만든 자개 고등어 졸업 작품에서 영감을 받아 협업을 제안했다. 그 후 두 사람의 첫 작품인 <자린고비 소반>을 만들어냈다. 마케팅 회사에서 일했던 김송이 작가는 실용적 관점에서, 순수미술을 전공한 김경훈 작가는 미적 가치에 집중하며 서로 다른 시각을 바탕으로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차이점이 오히려 두 사람의 공예품에 조화와 균형을 더해주며 브랜드를 성공적으로 이끌어가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소목소복을 함께 운영하는 김송이, 김경훈 작가.

제작 중인 소복함을 볼 수 있었던 작업실. 김송이 작가가 목공 작업으로 함을 만들면, 김경훈 작가가 자개 작업을 더해 마무리한다.
두 사람은 위트 있고 재미있는 작업을 공동 목표로 삼고 있다. 대표작인 <일상소복사 시리즈>는 원목 위에 손가락 크기의 자개 장식으로 수영하는 사람이나 산책하는 강아지 등의 일상적인 장면을 담아 누구나 쉽게 공감할 수 있도록 만든다. 자개를 일상의 소재로 재해석하면서 ‘자개가 우리 일상을 품으면 어떨까?’라는 호기심에서 출발한 이 시리즈는 공예와 일상을 자연스럽게 연결한다. 전통 자개 기법을 활용하면서 잊혀가는 토종 물고기를 주제로 한 <토종 민물고기 시리즈>도 시작했다. 공진원에서 진행한 공예디자인 스타상품개발 과정에서 탄생한 이 시리즈는 꼬치동자개, 감돌고기 같은 멸종 위기 토종 물고기를 자개로 표현해 트레이와 컵받침 등 일상 속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형태로 풀어낸다. 이후 공진원의 후속 지원을 받아 <토종 민물고기 타래함 시리즈>를 출시했고, 2022년에는 국립중앙박물관과 협업해 전통문화유산을 활용한 굿즈 상품을 개발했다. 이 과정에서 레이저 커팅 기법을 처음 시도했으며, 대량 생산이 필요한 경우에는 새로운 작업 방식을 적용하는 계기가 되었다.
2024년 공진원의 우수공예품 지정제도에 선정된 <소복함>은 복주머니를 나무함으로 재해석해 실용성을 더한 공예품이다. 복주머니의 의미를 담아 새와 꽃 자수를 자개로 표현하고, 뚜껑 손잡이에 매듭 장식을 더해 전통적인 멋을 강조했다. 공예트렌드페어에서 확장된 시리즈와 함께 김경훈 작가의 기억에 남는 공예품 중 하나인 <산 시리즈>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 시리즈는 광활한 산을 자개의 색으로 표현해 전통 기법을 현대적으로 풀어낸 대표적인 작업이다. 또한 2025년 메종&오브제 전시를 준비 중이다. 이번 우수공예품 지정제도에 선정된 덕분에 지원금을 활용하여 해외 페어에 처음 도전하며, 현지 관람객의 반응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다. 기존에는 정해진 틀에 맞춰 참여했으나 이번에는 주도적으로 페어를 선택해 도전한다. 직접 모든 과정을 준비하면서 공예품에 대한 애정과 책임감이 커졌다. 해외 관객이 생각하는 자개 공예의 고정된 이미지에 신선한 반전을 주고자, 원목 위에 자개를 접목한 친숙한 공예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자개 공예를 떠올리면 흔히 까만 옻칠 바탕 위에 자개 장식을 떠올리겠지만, 우리는 익숙한 원목에 전통 자개를 접목해 좀 더 친근하게 다가가고 싶어요. 해외에서도 쉽게 공감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습니다.”

소목소복 작업실 전경.

자개 위 오일로 마무리 중인 일상소복사 작업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