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년 동안의 고독

백년 동안의 고독

백년 동안의 고독

한 세기가 지나서야 우리에게 도달한 힐마 아프 클린트의 감각 이전의 추상, 그리고 예술의 잠재 행태로서의 회화.

힐마 아프 클린트, (No. 7, 성인기), 그룹 IV, 10점의 대형 그림, 1907, 종이에 템페라, 캔버스에 부착, 315 × 235cm.

힐마 아프 클린트, (No. 1, 인식의 나무), W 연작, 1913, 종이에 수채, 과슈, 흑연, 잉크, 45.7 × 29.5cm.

힐마 아프 클린트, <나선형 계단에 관한 조형 습작(빛과 그림자)>, 1880, 종이에 목탄, 흑연, 62 × 49cm.

예술은 언제나 동시대의 감각만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힐마 아프 클린트는 그 시차를 가장 예리하게 보여주는 작가다. 20세기 초, 칸딘스키보다 이른 시기에 추상 회화를 전개한 그의 회화는 시대가 감당하기엔 너무 앞서 있었다. “내가 죽은 후 20년 동안 내 작품을 공개하지 말라”는 유언을 남기고, 스스로 “미래를 위한 그림”이라 명명한 그의 작업들은 한 세기에 걸친 지연 끝, 마침내 우리에게 도달했다. 부산현대미술관에서 열리는 <힐마 아프 클린트: 적절한 소환>은 바로 그 시간의 틈을 가로지른 전시다. 전시는 총 139점의 회화, 드로잉, 기록을 통해 클린트의 회화적 사유를 입체적으로 조망한다. 이 전시는 단순한 회고가 아니다. 제목에 쓰인 ‘적절한 소환’이라는 표현은 그에 대한 반문에 가깝다. 활동한 지 100여 년이 지난 지금 이 시점에, 우리는 왜, 그리고 어떻게 그를 다시 불러야 하는가. 이 질문은 클린트의 작업이 한 시대에 머문 유산이 아닌, 오늘날의 감각과 미학을 다시 해석하게 하는 살아 있는 언어임을 전제한다.

힐마 아프 클린트, (No. 2), 그룹 X, 제단화, 1915, 캔버스에 유채, 금속박, 238 ×179cm.

힐마 아프 클린트, <지도: 영국>, 1932, 종이에 수채, 흑연, 70 × 48.5cm.

전시 중심에는 연작 〈신전을 위한 회화〉가 자리한다. 인간의 삶과 의식, 우주의 구조를 시각화한 이 작품들은 나선, 원, 대칭, 점 등의 기호로 구성된 복합적 상징 체계다. 형이상학적 사유가 회화의 구조로 전이된 기호들 사이로, 기하학과 색채가 영혼과 직관의 파장을 기록한다. 이후 전개된 〈인식의 나무〉,〈원자〉, 〈무제〉 연작에 이르러서는 미시적 세계와 내면의 질서를 연결하는 더 정제된 형식이 출현한다. 이는 단순한 시각적 조형을 넘어선, 감각과 인식이 교차하는 사유의 구조물이다. 전시가 구성된 방식 역시 이 회화적 질서를 반영한다. 작가의 사유와 질문을 따라가는 전시 구성은 클린트의 작업들을 하나의 서사로 환원하기보다는, 감각의 흐름을 존중하는 방식으로 배열되었다. 그의 생애를 다룬 할리나 디르스츠카 감독의 다큐멘터리 <힐마 아프 클린트: 미래를 위한 그림>을 상시 상영하고, 전시 후반부에 ‘감각 소환장’을 마련한 것 또한 같은 맥락이다. 그를 단지 선구적인 여성 추상화가로 정의하는 것은 힐마 아프 클린트의 사유가 지닌 급진성을 제한하는 일이다. 그는 단지 앞선 시기를 살아간 화가가 아니라, 아직 도래하지 않은 언어로 회화의 미래를 선취한 존재였다. 감각이전의 형상, 질서 이전의 구조를 탐구한 그의 질문은 오랜 시간의 침묵 끝에 지금 우리에게 도달했고, 마침내 우리는 그 질문 앞에 응답할 준비를 갖췄다. 전시는 오는 10월 26일까지 부산현대미술관에서 열린다.

CREDIT

에디터

TAGS
헷갈리는 미술 작품 사이에서

헷갈리는 미술 작품 사이에서

헷갈리는 미술 작품 사이에서

작품이 서로 닮아가는 시대, 예술은 어디로 가고 있을까? 닮음과 동조의 메커니즘 속에서, 진짜 새로운 것은 무엇인지 묻는다.

엘름그린 앤 드라그셋의 프라다 파운데이션 전시. © Elmar Vestner

리움의 마우리치오 카텔란 전시. © Ian Art Consulting

현재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루스 아사와의 회고전은 오는 9월 2일까지 진행된다. © 2025 Ruth Asawa Lanier, Inc., Courtesy David Zwirner / Don Ross

오는 9월 22일까지 보스톤 ICA 미술관에서 열리는 치하루 시오타의 대규모 전시.

토마스 사라세노의 작품. © Bottega Strozzi

구겐하임에서 열린 올라퍼 엘리아슨 전시. © Wikimedia

지난 스위스 아트 바젤 페어에서 루스 아사와 Ruth Asawa(1926~2013)의 작품이 950만 달러(약 130억원)에 팔렸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미국에서 활동한 일본 출신의 여성 예술가로서, 뒤늦게 재평가받기 시작하여 그녀의 작품으로 만든 우표가 발행되는가 하면, 현재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관에서 대규모 회고전이 진행 중이다(4월 5일부터 9월 2일까지). 철사줄을 정교하게 엮어 만든 고유의 조각품은 무겁지 않고 가벼운 조각, 받침대 없이 공중에 매다는 형태로 조각의 개념을 확장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런데 그녀의 작품을 보고 있으면 같은 일본 출신 작가 치하루 시오타(1972~ )의 작품이 연상된다. 오사카 출신으로서 베를린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작가인데, 실을 이용해서 공간 속에 거미줄 같은 그물망을 설치하는 것이 특징이다. 치하루 시오타의 대규모 전시회는 현재 보스톤 ICA 미술관에서 진행 중이다(5월 22일~9월 22일). 이 두 작가는 일본 여성 작가라는 공통점 외에는 서로 활동한 시간도 공간도 다르고, 한 작가가 다른 작가를 모방한 것도 아닌데 신기할 정도로 유사한 측면이 있다. 그런데 이런 작품이 한둘이 아니다. 2023년 리움미술관에서 개인전을 크게 연 마우리치오 카텔란과, 2024년 아모레퍼시픽 미술관에서 전시한 엘름그린 앤 드라그셋의 작품도 유사하다. 작가들이 추구하는 가치는 다르지만 마네킹이나 인형을 활용해 실재처럼 연출하여 관객을 깜짝 놀라게 하는 전법을 구사하는 형식상의 공통점이 있다. 또한 하늘에 매달린 반짝거리는 조형물은 올라퍼 엘리아슨, 토마스 사라세노도 만들어 헷갈리기 일쑤다.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홍콩 작가 카싱 룽의 라부부 캐릭터는 오타니 워크숍의 공룡 캐릭터와 이빨이 닮았다. 어떤 작품을 보면 또 다른 작가가 생각나 헷갈린다면, 그것이야말로 공통점을 포착하며 작품을 제대로 봤다는 반증일지 모른다. 이러한 유사성은 모두 우연일까? 놀랍게도 이런 현상은 자연계에도 있다. 물리학자 스티븐 스트로가츠의 ‘동조 Synchronization’ 현상 연구에 따르면, 반딧불은 제각기 빛을 깜빡이다가 시간이 지나면 점차 동시에 깜빡이게 되고, 심지어 여러 개의 메트로놈을 틀어놓으면 엇박으로 움직이다가 점차 같은 박자로 맞춰진다고 한다. 생명체끼리 서로 신호를 주고 받고, 심지어 메트로놈 같은 비생명체 경우에도 진동으로 상호작용을 하며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정보전달 효율을 높이는 구조로 수렴하게 되기 때문이다. 현대 과학으로는 아직 그 실체가 완벽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분명히 존재하는 현상에 대한 연구다. 예술도 이 세계의 일부라는 점에서 동조의 메커니즘으로 해석해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은 예술계의 케케묵은 모방설을 넘어설 수 있게 한다. 서로 베낀 것이 아니라, 집단 지성의 결과로 하나의 예술적 흐름을 만들어냈다고 보는 것이다. 그러나 하나의 예술 사조가 만들어지면, 다음에는 그에 반하는 새로운 움직임이 나오면서 예술적 진화가 이루어져 왔다. 자연계에도 동일화 이후에는 변이가 나타나며 진화가 이루어진다. 그런데 지금은 동조 현상만 지속되고 있는 느낌이다. 무엇이든 실시간으로 볼 수 있으니 새로운 이미지도 금새 식상해져 참조가 되기 어렵다. 활로를 찾기 위해 인간의 눈이 아닌 기계나 로봇, 인공지능에서 희망을 찾아보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 단계라고 여겨질 만한 것이 별로 눈에 띄지 않는다. 하지만 예술이 시대의 거울이라는 점에서 이런 흥미로운 가설도 세워본다. 예술가들이 일부러 창작 욕구를 뒤로 미룬 채, 동의어를 나열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임계점에 정체되어 포화 상태에 머물러 있다는 사실을 드러내기 위해서 말이다. 모두가 점점 똑같아지고 있는 시대의 답답함을 좀 더 많은 사람이 깨닫게 되었을 때, ‘짠’ 하고 보여줄 다음 페이지의 예술을 기대해본다.

CREDIT

에디터

WRITER

김영애(이안아트컨설팅 대표)

TAGS
Asia’s 50 Best Bars

Asia’s 50 Best Bars

Asia’s 50 Best Bars

아시아 베스트 바 2025 시상식이 7월 마카오에서 개최됐다. 1위는 지난해에 이어 다시 한 번 홍콩의 바 레오네 Leone가 차지했다. 로렌조 안티노리의 손에서 탄생한 이 바는 로마 트라스테베레 지역의 동네 바를 재현하며, 친근한 분위기 속 정제된 클래식 칵테일을 선보인다. 한국은 총 네 곳이 이름을올렸다. 제스트는 2위를 차지하며 3년 연속 대한민국 최고 바로 선정됐고, 바 참은 6위를 차지했으며, 앨리스는 지난해에 비해 33계단 상승한 13위에 올라 이목을 끌었다. 마지막으로 르샹브르는 50위로 순위를 마감하며 한국 바의 위상을 입증했다.
WEB theworlds50best.com

CREDIT

에디터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