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겨진 것들의 전시

숨겨진 것들의 전시

숨겨진 것들의 전시

관람객의 시선이 닿지 않던 박물관의 수장고가 이제는 전시의 중심으로 나섰다.
관람의 패러다임을 재편한 V&A 이스트 스토어하우스의 이야기.

총 4개 층으로 이루어진 V&A 이스트 스토어하우스의 드넓은 전경. © Hufton+Crow

웨스톤 컬렉션 홀의 중심에 자리한 로빈 후드 가든의 실제 건축 단면. © David Parry

V&A의 팀 리브 부회장 겸 최고 운영 책임자. © David Parry

미술관의 전시장이 연극 무대라면, 수장고는 백스테이지다. 관객들의 시선이 닿지 않지만, 단 하나의 완벽하게 큐레이션된 무대를 만들기 위한 수백, 수천 가지의 소품과 노고가 숨어 있는 곳. 백스테이지가 관객들에게 평생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 있듯 수장고 또한 마찬가지다. 전시가 아닌 보관의 영역을 담당하는 수장고 자체가 무대가 되어 관객 앞으로 나설 일은 없었다. 영국의 빅토리아 앤 앨버트 뮤지엄이 지난 5월 31일, V&A 이스트 스토어하우스를 전면 개방하기 전까지는 말이다. 10년간의 준비 끝에 완성된 세계적인 건축가 그룹 딜러 스코피디오 + 렌프로 Diller Scorfidio + Renfro가 설계한 곳이다. 총 1만6000㎡ 규모에 걸친 4개 층으로 이루어진 공간의 가장 큰 특징은 전통적인 큐레이션이나 보관 분류 체계에 따르지 않고, 관람객의 호기심에 따라 작품을 자유롭게 탐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는 점이다. 전시 물품 또한 다양하다. 25만 점 이상의 오브젝트, 약 35만 권의 도서, 1000개 이상의 아카이브가 소장되어 있다. 고대 로마 유물부터 세계 최대 크기의 피카소 작품, 빈티지 밴드의 티셔츠, 아방가르드 패션, 오트 쿠튀르 작품에 이르기까지 폭 넓은 범주의 컬렉션을 갖췄다. V&A의 팀 리브 Tim Reeve 부회장의 말이다. “V&A 이스트 스토어하우스는 완전히 새로운 문화적 경험이자 V&A에 대한 백스테이지 통행권으로서, 국가 소장품에 대한 접근 방식을 지금껏 상상할 수 없었던 규모로 혁신한다. 전 세계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돌보는 것부터 새로운 연구까지, 이곳에서 발견할 수 있는 것이 많을 것이다.” 전시에 있어 더 이상의 혁신이 불가능하다고 여겨졌을 때, V&A는 그 한계를 넘는 새로운 방식의 경험을 제안한 셈이다.

수장고 겸 창고형 갤러리를 표방하는 V&A 이스트 스토어하우스의 아이덴티티를 엿볼 수 있는 공간. © Hufton+Crow

V&A 이스트 스토어하우스의 ‘보존 전망대’에서 볼 수 있는 다목적 보존 스튜디오.

이스트 스토어하우스의 중앙 전시 공간인 웨스톤 컬렉션 홀은 얼핏 보면 박물관보다는 창고형 쇼핑몰에 가까운 공간이다. 하지만 그 중심을 구성한 6점의 대형 오브젝트는 결코 가볍게 지나칠 수 없는 중대한 건축 혹은 예술 유산이다. 미국 근대 건축가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Frank Lloyd Wright의 1930년대 카우프만 Kaufmann 사무실, 현대 주방의 모태가 된 건축가 마가레테 쉬테-리호츠키 Margarete Schütte-Lihotzky의 프랑크 푸르트 주방, 브루탈리즘 건축의 대표 격인 로빈 후드 가든의 실체 건축 단면과 10여 년 만에 다시 대중 앞에 공개된 세계 최대 피카소 작품 <레 트랭 블뢰>까지. 이들은 지역 커뮤니티, 창작자들과의 협업을 통해 제작된 영상, 출판물, 예술 작품이 함께 전시되어 있다. 그 주변으로는 약 100개의 소규모 큐레이션 전시가 배치되어 있다. 고대 불교 조각부터 토머스 헤더윅 Thomas Heatherwick의 2012 런던 올림픽 성화대, 빈티지 축구 유니폼 등이 선반이나 구조물의 측면과 틈새에 설치되어 관람객은 마음 가는대로, 길을 잃듯 곳곳을 자유롭게 탐색할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피카소 작품 <르 트랭 블뢰>가 전시되어 있다. © David Parry, The estate of Pablo Picasso

오더 언 오브젝트를 통해 보관된 소장품들을 볼 수 있다. 사진 속 작품은 루 리드 Lou Reed 콘서트 포스터와 더 스페셜스 The Specials 포스터. © Bet Bettencourt

여기까지 들으면 그저 창고형 갤러리를 표방한 공간이 아닌가 싶겠지만, 주문형 전시 프로그램 ‘오더 언 오브젝트 Order an Object’ 에 대해 듣는다면 이 공간이 왜 ‘수장고’라 불리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오더언 오브젝트는 그중에서도 전시되지 않은, 즉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소장품들을 관람객이 직접 선택해 열람할 수 있는 서비스다. 고대 이집트 유물, 로마 시대 프레스코화, 1930~60년대의 웨딩드레스까지. 폭 넓은 소장품이 대상이며, 지금까지 가장 많은 호출을 받은 것은 1954년 제작된 발렌시아가의 이브닝 드레스다. 전시된 작품만 감상할 수 있었던 기존 박물관과는 달리 이곳에서는 관람객들이 능동적으로, 보고 싶은 작품을 직접 골라서 요청할 수 있다는 점이 신선하다. 이스트 스토어하우스에서 ‘보고 싶은 것을 본다’는 말은 단순한 관람 권한의 문제가 아니다. 오히려 기억되지 못 할 뻔했던 것들, 아직 해석되지 않은 것들에 대해 새로운 시선을 부여하는 계기가 된다. 보관과 전시 사이의 경계를 흐린 이 공간은 박물관이라는 구조 자체를 재구성한 거대한 실험장이자 일종의 제안이다. 그간 철저히 분리되어 있던 무대와 백스테이지의 구분을 허물고, 관람의 새로운 시작점을 ‘수장고’로 끌어온 것, 아주 오래전 만들어졌지만 존재 자체가 희미해졌던 이름을 불러볼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지금 이 공간에서 가능한 가장 깊은 감상의 형태가 되었다.

CREDIT

에디터

TAGS
그랑 팔레의 웅장한 귀환

그랑 팔레의 웅장한 귀환

그랑 팔레의 웅장한 귀환

한 세기의 기억 위에 다시 세운 문화의 건축물. 역사의 층위를 품은 그랑 팔레가 본래의 아름다움과 기능을 되살려
새로운 시대의 공공 문화 공간으로 거듭났다.

샤티용 아키텍의 설계 아래 새롭게 태어난 그랑 팔레의 돔 공간, 나브. © Charly Broyez

건물의 중심축 역할을 하는 플라스 상트랄레.

1900년 파리 만국박람회를 시작으로 파리 중심에 자리해온 그랑 팔레가 4년간의 대대적인 리노베이션을 마치고 지난 6월 전면 재개장했다. 샤티용 아키텍트 Chatillon Architectes의 설계 아래, 이 상징적인 건축물은 7만7000㎡에 달하는 공간을 새롭게 단장하며 다시금 문화의 무대로 돌아왔다. 3천장이 넘는 도면과 기록을 바탕으로, 이들은 공간의 시야를 회복시키고 전시 관람의 접근성을 비약적으로 확장했다. 전시 공간 역시 근본부터 재정비됐다. 수천 점의 조각과 장식, 그리고 중앙 회랑부터 센강까지 가로지르는 동선을 복원하며, 부근에 250여 종의 식물을 도입해 도시 생태계까지 고려한 설계를 주도한 샤티용 아키텍트와 이야기를 나눴다.

웅장한 외관을 갖춘 그랑 팔레의 모습. © Charly Broyez

샤티용 아키텍트를 이끄는 시몽 샤티용과 프랑수아 샤티용. © Antoine Doyen

100여 년 전의 모습을 그대로 복원한 로통드 당탱의 모습. © Antoine Mercusot

완벽한 대칭을 자랑하는 그랑 팔레의 당탱 내부. © Charly Broyez

그랑 팔레는 그 자체로 하나의 역사이자 상징과 같은 건물이다. 프랑스인이자 건축가로서, 당신들이 생각하는 그랑 팔레가 가진 상징성은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19세기, 순수미술 Beaux-Arts은 단순한 학문보다는 하나의 문명적 과업에 가까웠다. 당시 프랑스는 자국의 위상을 굳게 믿고 있었고, 만국박람회는 기술과 예술, 문화를 세계에 선보이는 무대였다. 1900년 파리 만국박람회는 그 정점에서 한 세기의 대미를 장식할 가장 대담하고 혁신적인 건축, 회화, 조각을 전시할 기회였다. 여기에서 ‘그랑 팔레 데 보자르 Grand Palais des BeauxArts’라는 아이디어가 나와 샹젤리제 정원 한가운데 이 건축물이 세워지게 됐다. 그 자체로 하나의 건축적 문화 선언이나 마찬가지였다.

이러한 예술적, 역사적 맥락을 고려했을 때, 리노베이션을 계획하며 가장 중점을 둔 부분은 무엇인가? 역사적인 건축물을 작업할 때엔 많은 제약과 고려 사항이 따른다. 특히 그랑 팔레처럼 규모가 큰 구조물의 경우엔 복원과 재해석이 필요한 공간이 많다. 건물 안에 숨어 있던 디테일과 아름다움을 다시 전면에 드러내고 싶었다. 계획 내내 중심에 둔 질문은 ‘무엇을 추가하고, 무엇을 남기며, 무엇을 제거할 것인가’였다.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복원이 아닌, 이 건물을 다음 세대를 위한 공간으로 준비하는 일이었다. 결국 ‘이 건물이 현재뿐만 아니라 앞으로 오랜 시간 어떻게 쓰일 수 있을 것인가’가 핵심이었다.

그런 과정에서 3천 장이 넘는 도면과 기록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했다는데. 남겨야 할 것과 교체해야 할 것을 결정하는 일은 신중해야 했다. 수천 건의 아카이브 문서를 조사했고, 빌딩정보모델링 BIM 기술을 도입해 정보를 정리했다. 이처럼 역사적 건물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프로젝트에 BIM 기술이 사용된 것은 거의 처음이었다. 총 15GB에 달하는 데이터는 측량 도면 수천 장, 포인트 클라우드, 아카이브 도면 등을 포함한 15만 개 이상의 정보로 구성된 35개의 디지털 모델로 이루어져 있었다.

방대한 양의 자료를 통해 그려내고자 한 궁극적인 그림이 있다면? 이번 프로젝트의 핵심은 공간을 ‘다시 엮어내는’ 일이었다. 역사적 공간과 갤러리, 발코니, 철제 구조물, 조각상 등을 복원하는 것이 한 축이었다면, 또 다른 축은 그것들이 제 기능을 다하도록 새롭게 구성하는 일이었다. 방문객을 위한 새로운 서비스 공간인 르 레제다, 르 그랑 카페를 만들고 40개의 엘리베이터와 30개의 계단 또한 추가했다. 르 레제다는 미쉐린 스타 셰프 티에리 막스 Thierry Marx가 운영한다. 그 결과, 이 건물은 대규모 행사를 위한 넓은 공간과 함께 더 작고 섬세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유연한 공간으로 재탄생했다.

건물 남쪽 외곽에 자리한 갤러리의 토대. © Antoine Mercusot

방문객들이 자유롭게 쉬었다 갈 수 있는 공간인 살롱 센. © Cyrille Weiner

모던한 구조와 계단은 건물에 새롭게 설치한 요소 중 하나다. © Cyrille Weiner

측면에서 바라본 그랑 팔레의 장 페로 파사드. © Antoine Mercusot

리노베이션을 거치며 새롭게 조성된 전시 공간에 대해 설명해달라. ‘플라스 상트랄레 Place Centrale는 건물의 중심 공간으로, 한쪽에는 2024 파리 올림픽 경기가 열렸던 돔 공간인 나브 Nave, 반대쪽에는 로통드 당탱 Rotonde d’Antin이 자리 잡고 있다. 이 공간들을 나눴던 파티션은 처음 건물이 세워졌던 당시를 재현하기 위해 과감히 제거했다. 이 중심 공간에는 그랑 팔레 Rmn과 보수 공사로 조만간 휴관에 들어갈 퐁피두 센터가 큐레이팅하는 전시 이 열릴 갤러리들이 배치되어 있고, 하부층에는 새로운 방문자 서비스 공간인 살롱 센 Salon Seine 또한 마련돼 있다. 로통드 당탱에서는 또 다른 갤러리 공간이 이어지고, 나브에서는 대형 설치 작품과 이벤트가 이어지는 프로그램이 계획돼 있다.

그랑 팔레를 주변 환경과 어우러지게 하기 위한 특별한 노력 또한 기울였다고 들었다. 건물을 둘러싼 새로운 그랑 팔레 정원은 바로 옆 샹젤리제 정원에서 영감을 받아 설계됐다. 곡선형 화단과 산책길, 잔디밭, 그리고 다양한 식물로 구성해 샹젤리제 정원과 분위기를 공유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처칠 대로에는 상록수 덤불을 심고, 250종 이상의 식물, 장미, 다년생 식물, 구근류 등 6만여 그루의 식물을 심었다. 새로 조성된 잔디밭은 건물 지붕에서 모은 빗물로 관수되며, 새롭게 심은 식물 중 대부분은 파리 지역 자생종에서 선택해 지역 생물 다양성과 곤충을 보호하기로 했다.

이번 리노베이션을 통해 ‘수십 년 동안 감춰졌던 건물의 정체성을 되살리고자 했다’고 말했다. 당신들이 생각하는 그랑 팔레의 ‘정체성’은 무엇인가? 그랑팔레는 여러 개의 정체성을 가진 건물이고, 동시에 단 하나의 고유한 정체성을 지닌 건물이기도 하다. 이 건물은 건축가 앙리 드글랑 Henri Deglane, 알베르루베 Albert Louvet, 알베르 토마 Albert Thomas가 각각 설계한 3개의 주요 구조물로 구성됐으며, 이를 또 다른 건축가인 샤를 지로 Charles Girault가 총괄했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건축 양식이 충돌하고 연결되며, 프랑스 건축사 전체를 이야기하는 독특한 흐름이 형성됐다. 우리는 이제 그 이야기에 우리 손으로 새로운 장을 더할 수 있게 됐다. 건축을 넘어, 프랑스 문화의 상징이며, 혁신과 사유, 호기심이 교차하는 중심지로 말이다.

앞으로 이 건축물이 대중에게 어떤 역할을 하기 바라는가? 그동안의 그랑 팔레는 충분히 활용되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 이 건물은 단지 하나의 전시장이 아니라, 원래부터 하나의 문화지구로서 설계되었다. 이번 리노베이션은 이 공공의 아이콘을 진정한 ‘공공 건축물’로 되돌리는 과정이었다. 이제 사람들은 단지 멀리서 감탄만 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이 건물을 경험할 수 있게 됐다. 우리는 이 상징적인 공간을 되살렸을 뿐만 아니라, 잊힌 구석과 디테일, 숨겨진 보석들을 재발견할 수 있었다. 사람들이 이 공간을 걸을 때, 웅장한 구조만이 아니라 작고 세심한 디테일에도 눈을 돌리기 바란다.

CREDIT

에디터

TAGS
18세기 저택을 복원해 만든 와이너리 레지던스

18세기 저택을 복원해 만든 와이너리 레지던스

18세기 저택을 복원해 만든 와이너리 레지던스

이탈리아의 한 조용한 언덕 위에 18세기 저택을 복원해 만든 와이너리 겸 레지던스 빌라 비온델리.
한 가족의 삶과 취향이 축적된 이곳은 건축, 와인, 예술이 자연스럽게 스며든 환대의 장소가 되었다.

18세기 귀족 저택을 개조해 와이너리 겸 레지던스로 꾸민 빌라 비온델리 전경.

만약 이탈리아의 삶이 가장 정제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면, 그 풍경은 아마도 프란치아코르타의 한 조용한 언덕 위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밀라노의 도시성과 베네치아의 낭만 사이, 고요한 포도밭 위에 자리한 빌라 비온델리 Villa Biondelli는 18세기 귀족 저택을 개조한 와이너리 겸 레지던스다. 건축과 디자인, 역사와 환대가 밀도 높게 응축된 독립적인 이 공간이 처음부터 와이너리로 운영된 것은 아니었다. 이곳은 이탈리아 최초의 테크니컬러 애니메이션 의 제작지였다. 당시 이 빌라를 소유한 이탈리아 대사 주세페 비온델리 Giuseppe Biondelli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밀라노의 공습을 피해 가족의 여름 저택을 제작사 IMA에 개방했다. 이후 4년에 걸쳐 수십 명의 작화가와 색채 담당 인력이 이곳에 머물며 작업을 완수했다. 이후 가족의 유산을 물려받은 현 운영자 요스카 비온델리 Joska Biondelli는 이 공간이 지닌 역사적 서사를 현대적으로 해석해 현재의 빌라 비온델리로 재구성했다.

다양한 문화의 색과 질감을 공간에 녹여낸 빌라 내부.

2016년 시작된 복원 작업은 인테리어 디자이너 프란체스카 라피치렐라 브라스 Francesca Lapiccirella Brass가 총괄했다. 그는 기능과 장식, 예술과 거주의 경계를 넘나들며, 세월의 흔적이 남은 건축적 요소와 가족의 사적 유산을 현대적 언어로 다시 엮어냈다. 내부는 이국적이고도 절제된 감각으로 채워졌다. 인도, 우즈베키스탄, 남미, 아프리카 등지에서 수집한 직물로 다양한 문화의 색과 질감을 공간에 녹여냈다. 또한 천장 몰딩, 가구, 조명에 이르기까지 모두 맞춤 제작되어 하나의 통일된 미학적 서사를 구성했다. 베네치아 전통 방식으로 마감한 테라조 바닥, 복원된 페인팅 창호, 19세기 목재 조각 가구 등은 이 공간이 시간의 층위를 간직하고 있음을 조용히 드러낸다. 이곳 객실은 총 11개로, 모두 의 등장인물 이름을 본따 고유의 색과 구조로 디자인되었다. 각 객실은 올리브 그린, 테라코타, 인디고, 머스터드, 멜란지 등 시간과 채광에 따라 변하는 깊은 색감으로 채워졌으며, 침대 헤드보드는 실크와 리넨, 또는 빈티지 수자니로 맞춤 제작되었다. 욕실 또한 예외는 아니다. 투스카니 지방에서 채석한 석재로 만든 샤워받침과 짙은 톤으로 가공한 황동 수전은 피렌체 장인들이 맞춤 제작한 것으로, 일부 스위트룸에는 원목으로 마감된 블루 또는 옐로 컬러 욕조가 설치되어 있다.

빌라 비온델리에서 제작한 애니메이션 등장인물의 이름을 본따 만든 ‘술탄 자파 룸’은 이국적인 직물과 색채의 대비가 인상적이다.

공용 공간 또한 인상적이다. 기둥이 늘어선 야외 회랑을 개조한 겨울 정원은 현재 로비이자 조식 공간, 행사장으로 활용된다. 이 공간은 밀라노 기반 아티스트 듀오 픽타 랩 Picta Lab의 핸드 페인팅 벽화로 장식되었는데, 열대 식물과 앵무새가 그려진 벽화는 환상과 현실이 교차하는 분위기를 자아낸다. 빌라 중앙의 계단 하단에는 19세기 대리석 욕조를 개조한 분수가 설치되어 있고, 테이스팅룸 중앙에는 16세기 천장 장식 일부를 복원해 만든 대형 테이블이 자리 잡고 있다. 곳곳에 비치된 19세기 중엽 유럽풍 콘솔과 나폴리 전경을 담은 19세기 회화 등은 이 공간이 단순한 숙소보다는 하나의 큐레이션된 예술 공간처럼 보이게끔 한다. 외관의 복원은 피렌체 문화재청의 조언을 받아 18세기 프레스코화와 19세기 후기 장식을 조화롭게 통합했다. 트롱프뢰유 창, 기둥 장식, 천장 몰딩 등의 복원은 보존을 넘어 공간의 시각적 리듬을 회복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빌라 비온델리에서 생산한 와인의 코르크가 진열되어 있다.

(The Singing Princess) 속 캐릭터들로 벽 한쪽을 장식한 레스토랑 내부.

시간의 층위를 간직한 빌라 비온델리 내부.

테라스 앞 언덕에는 포도나무가 심어져 있다.

이 모든 경험은 와인을 중심으로 완성된다. 빌라의 와이너리는 약 10만㎡의 포도밭에서 연간 5만 병의 프란치아코르타 와인을 생산한다. 대표 와인인 로제 밀레지마토 ‘돈나 클레미 Donna Clemy’는 요스카 비온델리의 할머니 클레멘티나를 기리는 피노 누아 단일 품종 와인으로, 이 공간에 깃든 가족의 서사를 완성한다. 그 외에도 브뤼, 사텐, 리제르바 등 총 4종의 스파클링 와인이 생산되는데, 당도와 첨가물을 최소화하고 오크 숙성은 배제한 방식으로 빚어져 간결한 풍미와 순수한 품종의 개성을 지향한다. 기능적 숙박 공간을 넘어 정원 디자인, 예술적 큐레이션, 건축적 복원과 감각적 경험이 정밀하게 교차하는 이곳엔 곧 25m 규모의 인피니티 풀과 소규모 웰니스 스파 또한 신설될 것이다. 향후 레지던시 프로그램과 프라이빗 테이스팅 이벤트 등 문화와 미식을 연계한 프로젝트 계획도 있다. 이곳에서 환대는 형태가 아닌 경험으로 존재하며 미식과 예술, 건축과 삶의 경계는 섬세하게 유기된다.

CREDIT

에디터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