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행을 좇기보다 자신의 스타일을 찾는 것이 중요한 시대다. 이를 몸소 실천하며 보여주는 두 여자가 있다. 그들의 일상을 일컬어 블룸앤구떼 스타일이라 부른다.

©임태준 유럽의 스타일리시한 카페를 연상시키는 블룸앤구떼.

블룸앤구떼의 조정희, 이진숙 대표.

물을 듬뿍 주고 완전히 시든 잎만 떼어내는 것이 블룸앤구떼의 가드닝 스타일이다.
유행이 범람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먹고 입고 보고 재빨리 SNS에 포스팅하며 유행에 뒤처지지 않았음을 증명 하느라 바쁘다. 소위 트렌디하다는 것을 그렇게 급히 좇는다. 그러나 화려하고 재미있는 유행은 정작 문화로 정착하지 못한 채 잊혀지는 경우가 많다. 그 뒤를 이어 또다시 새로운 유행이 등장하고, 이를 다람쥐 쳇바퀴 돌듯 쫓아 달린다. 이런 문화의 악순환 속에서 고유의 스타일을 발전시키는 멋진 사람들도 있다. 카페 블룸앤구떼를 운영하는 파티시에 조정희와 플로리스트 이진숙이 그렇다. 그리고 자신들의 멋스러운 취향을 카페 블룸앤구떼에 잔뜩 풀어놓았다. 블룸앤구떼는 이진숙의 플라워 스튜디오 블룸 Blooom과 조정희의 케이크 스튜디오 Go u t e를 합친 단어다. 가로수길이 지금처럼 유행을 좇지 않고 색색의 은행나무와 아기자기한 가게들로 가득했던 2004년 처음 문을 열었다. 블룸앤구떼는 파리의 카페처럼 어두운 어닝을 치고, 냉장고에 넣어두었던 꽃을 밖으로 진열해놓은 멋스러운 카페였다. 주방에서는 달콤한 프렌치 케이크를 구웠고, 월드 뮤직과 짧은 클래식, 재즈 등이 울려 퍼졌다. 그 공간을 문화, 예술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가득 채웠다. “프랜차이즈와 힙스터들이 몰리는 카페들 틈에서 13년이라는 오랜 시간을 버틸 수 있었던 것은 억지로 유행을 따르지 않고 자연스레 우리만의 취향과 감각을 선보였기 때문인 것 같아요.” 세로수길, 반포동 매장에 걸쳐 13년 동안 카페를 운영할 수 있었던 비법을 묻자 조정희 대표가 답했다. 자유분방하게 피어난 테라스의 식물과 갈색 병에 장식한 아름다운 꽃, 멋진 프렌치 케이크 등 블룸앤구떼를 대표하는 스타일은 그 시간을 따라 함께 무르익었다.

조정희 대표는 매장뿐 아니라 집에서도 앞치마 입기를 즐긴다.

여러 가지 토마토를 잘라 소금에 15분간 절인 뒤 리코타 치즈와 함께 먹는 블룸앤구떼의 샐러드.

케이스나 서양식 볼 같은 생활 용기에 꽃을 꽂아 블룸앤구떼 스타일을 연출해보자.

담백한 크래프트지로 꽃을 포장하는 방식은 2002년부터 지금까지 유지하고 있다.
잡지 기자 출신인 그들이 직장을 그만두고 새로운 커리어를 시작하게 된 계기가 궁금했다. “1999년 회사를 그만두고 런던으로 갔어요. 프랑스로 갔어야 했는데, 불어에 자신이 없었거든요(웃음). 하지만 영국은 왕실이 있는 나라이니 꽃꽂이가 발전했을 거라고 생각했어요. 실제로 영국은 자연과 가드닝, 꽃이 발달한 나라거든요. 날씨가 흐려서 더 그런 것 같기도 하고요.” 이진숙 대표의 설명이다. 그녀에게 런던은 도시 자체가 거대한 학교였다 . 하루 3~4시간씩 걸으며 실생활에서 문화적 영양분을 흡수했다. 잔디밭에 앉아서 맥주를 마시며 부에나비스타 소셜클럽 런던 공연을 보거나 로열필 하모닉, 런던필하모닉, 정명훈과 길 샤함 등 다양한 아티스트의 공연을 감상할 수 있었다. 그 와중에 신기했던 것은 런던의 일상에는 너무나 자연스레 꽃과 식물이 녹아들어 있다는 것이었다. 가게와 사무실, 건물, 정원에는 어디든지 꽃으로 가득했고, 로비에 들어서면 커다란 꽃 장식이 있었다. 그녀의 스타일은 블룸앤구떼의 테라스에서 쉽사리 찾아볼 수 있다. 블룸앤구떼의 테라스는 재미있게도 특별히 공들여 가꾼 흔적이 없다. 덕택에 식물이 피어나는 초봄부터 늦가을까지 매일 다른 면면을 보여주는 공간이 되었다. 비가 온 다음 날에는 체리 세이지 줄기가 자라 있고, 나비가 지나간 자리엔 재스민 꽃이 피어나 있다. 그렇게 얼기설기 생명력을 품고 있는 테라스에서 신선한 식물을 채취해 카페를 장식한다. 로즈마리로 미니 부케를 만들고 , 길게 자란 민트 줄기는 센터피스로 쓴다. 다듬지 않고 키운 식물을 곁들이는 것만으로도 부케나 꽃바구니가 한결 자연스러워진다. 이것이 바로 그녀의 스타일이다.

노란 카탈리나 장미, 섬담쟁이, 심비디움, 미모사, 연둣빛 애정나무로 만든 미니 꽃다발.

플로리스트 이진숙의 책장. 10년 전 단골 목수였던 오반장님이 만들어준 것이라고.

이진숙 대표가 종종 즐겨 만드는 압화. 그녀의 감성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박정환 작가의 ‘Peace’와 심플한 화병으로 장식된 공간.
이진숙 대표와 달리 조정희 대표가 프랑스 남동쪽 엑상프로방스로 간 것은 파티시에가 되기 위해서가 아니었다. 단순히 6개월간 시골에서의 삶을 즐겨보고 싶었기 때문이었다. 화실에 가서 그림도 배우고, 동네 할머니들에게 퀼트의 일종인 부티 수업도 받고, 시크한 프랑스 여자에게 요리 수업도 들었다. “잠깐 왔다 가는 관광객보다는 그 도시의 주민처럼 살고 싶었어요. 그러다 파리로 거처를 옮겨서 르 꼬르동 블루에 입학하게 되었죠.” 그녀는 학교에서 파티시에 초급, 중급, 고급 과정을 배운 뒤 요리와 빵, 케이터링도 배웠다. 그와 동시에 자연스레 장 폴 에방이나 스토레, 라 메종 드 쇼콜라 , 라 뒤레 등 파리지엔이 사랑하는 베이커리에 드나들었다. 그리고 국내로 돌아와 청담동 한적한 골목길에 작업실을 오픈했고, 플로리스트 이진숙과 함께 블룸앤구떼를 오픈했다. 무항생제 달걀과 국내산 유기농 밀가루를 쓰고, 화학첨가물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건강하면서도 스타일리시한 케이크를 만들었다.

조정희 대표가 만든 블룸앤구떼 케이크.

평범한 앞치마를 목과 허리끈이 엑스가 되도록 묶으면 새로운 느낌이 난다.

여행 갈 때마다 하나씩 사서 모은 티스푼과 포크들.
특히 라자냐와 키시, 파니니는 지금까지 꾸준히 인기있는 블룸 앤구떼의 시그니처 메뉴다. “누구나 쉽게 들어와 편안히 있다 갈 수 있는 공간이 되었으면 해요. 마치 오래 입은 옷처럼요. 그래서 그에 어울리는 편안한 그런 음식을 찾다 보니, 이러한 메뉴을 내게 된 거죠.” 조정희 대표가 웃으며 덧붙였다. 반포에 있는 블룸앤구떼는 오는 7월 문을 닫는다. 조정희, 이진숙 대표는 현재 다음 스텝을 고민 중에 있다. “우리만의 색을 지닌 무언가를 더해야 하지 않나 싶어요. 한 계단 더 올라가야 할 때가 온 것 같아요. 딱히 무엇이라고 말할 순 없지만, 새로운 것을 시도해보려고 계획 중이에요.” 케이크&플라워 카페였던 블룸앤구떼는 13년간 꾸준히 변모했고, 그것은 카페가 오랫동안 사랑받고 생존할 수 있던 비결인 듯 보인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안주하지 않고 성장하는 블룸앤구떼의 다음이 더욱 기대되는 이유다.

낮에는 햇살이 들어오고, 밤에는 은은한 불빛으로 장식되는 조정희 대표의 공간.

시그니처 메뉴인 스트로베리 치즈 케이크.

블룸앤구떼의 주방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는 신선한 제철 식재료
철제 가구는 어떤 스타일을 만나느냐에 따라 180도 달라지는 팔색조의 매력을 지니고 있다. 네 가지 스타일의 철제 가구 데커레이션 연출을 제안한다.
철제 가구로 꾸민 컬러풀한 다이닝 공간
철재라고 해서 꼭 회색이나 검은색일 필요는 없다. 컬러풀한 원색의 철제 가구나 소품을 활용하면 경쾌한 공간을 완성할 수 있다. 이때 소품은 모양이 두드러지는 유리 제품을 활용해 지나치게 튀지 않는 포인트를 준다.
1,2 구멍이 뚫려 있어 시원해 보이고 알루미늄 소재로 가볍고 컬러풀한 철제 의자는 모두 ‘ABChair’로 루밍. 3 우아하게 살짝 꺾인 스틸 다리와 원형 상판이 어우러진 ‘넬슨 스웨그 레그 라운드 다이닝 테이블’은 스페이스로직. 4 등받이와 시트가 나무 소재로 일체형인 임스 체어는 스페이스로직. 5 잡동사니를 걸어둘 수 있는 ‘놈 컬렉터 브라스’는 이노메싸. 6 은색 테두리의 접시는 ‘콘비비오 샐러드’와 실버 나이프 ‘가브리엘라 파마산 나이프’는 모두 루밍. 7,8 움푹 파인 오븐 접시와 플랫 접시는 코스타 노바 제품으로 에이치픽스. 9 핑크 컬러 유리 티포트 ‘메를리노 티포트 핑크/그레이’는 챕터원. 10 실버 소재의 버터 보관함 ‘콘비비오 버터 디시’는 루밍. 11 금색 손잡이와 유명 인사의 얼굴이 포인트인 ‘엘리스 커피컵’은 짐블랑. 12 조명 중간 부분이 떠 있는 듯 상단과 하단의 빛이 전체적으로 퍼지는 ‘히어컴스더선’의 펜던트 조명은 스페이스로직. 13 알파벳 E 모양의 철제 오브제 ‘와이어 알파펫 쉬’는 푸에브코 제품으로 짐블랑. 14 투명한 유리 소재의 베이스 ‘보치아 보틀’은 모두 아티피코 제품으로 세그먼트. 15 전구가 보이는 실버 프레임의 펜던트 조명 ‘워크 램프’는 이노메싸. 16 원색 컬러와 은색 철제 프레임이 만나 경쾌하고 세련된 느낌을 선사하는 USM의 사이드보드는 스페이스로직. 17 구조적인 디자인의 ‘파리스 멤피스 캔들 홀더’는 라곰. 18 옐로&핑크 컬러의 ‘레인보 베이스’는 챕터원. 19 실버 컬러 재떨이는 알레시 제품으로 루밍. 20 스테인리스 후추통 ‘페이퍼 밀’은 더블유디에이치.
나무와 만난 철제 가구
상극일 것 같지만 나무와 철은 내추럴한 스타일의 공간을 꾸밀 때 믹스&매치로 활용할 수 있는 소재다. 밝고 가벼운 컬러의 나무 가구를 선택했다면 은색처럼 은은한 빛이 감도는 철제 가구를 매치해 화사한 공간을 연출할 수 있다.
1 플로어 조명 ‘ARC 플로어 램프’는 비투프로젝트. 2 철제 원형 테이블 ‘엘케이 오브제 스토리지’는 까사알렉시스. 3 블랙 프레임의 행잉 테라리움은 마이알레. 4 골드 캔들 홀더는 셀레티의 머신 컬렉션으로 세그먼트. 5 다양한 컬러를 사용한 추상화는 일라리오 귀티에레즈 Hilario Gutierrez의 작품으로 abc갤러리. 6 베이지 바스켓 ‘주트 백 라지’는 세그먼트. 7 라탄 소재 등받이과 시트 부분이 특징인 암체어는 챕터원 꼴렉트. 8 스테인리스 저그는 조지 젠슨 제품으로 라곰. 9,10 손잡이 부분이 은색인 흰색 컵 ‘마인 티컵 실버 핸들’과 사각 우드 트레이 ‘노르 트레이 오크’는 모두 이노메싸. 11 X자로 교체하는 철제 다리가 특징인 나무 상판의 ‘아담 커피 테이블’은 호메오. 12,13 골드 컬러 오브제 ‘잭 퍼즐’과 우드 원형 트레이 ‘샌드위치’는 모두 더블유디에이치. 14 밑단이 은색인 ‘콘비비오 티컵’은 루밍. 15 그레이 컬러의 가죽 러그 ‘커스틴 레더/코튼’은 브로스테 제품으로 마이알레. 16 둥근 등받이가 포근한 베이지색 라탄 의자는 에이치픽스. 17 단추가 포인트인 그레이 컬러 쿠션은 유앤어스. 18 물방울 모양의 유리 장식이 화려한 ‘할로 지그재그 테이블 램프’는 호메오. 19 콘크리트 패턴의 장판 바닥재는 LG하우시스의 지아자연애 콘크리트라이트. 벽에 칠한 그레이 컬러의 페인트는 던에드워드 페인트의 ‘DE 6227 Muslin’ 컬러.
빈티지한 인더스트리얼 무드
철제 가구를 떠올리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스타일이 인더스트리얼 무드일 것이다. 거친 철재 느낌을 한껏 살린 철제 가구는 빈티지한 소품과도 잘 어울린다. 선반장을 철재로 고르고 위에 장식할 아이템을 빈티지한 디자인으로 선택하면 인더스트리얼 무드를 쉽게 완성할 수 있다.
1 브라운 가죽 시트의 스틸 스툴은 프리츠한센 제품으로 모벨랩. 2 블랙 컬러 철제 서랍장은 ‘인더스트리얼 레터링 서랍장’으로 호메오. 3 그린 컬러 데스크 조명 ‘아이델 데스크 램프’는 카이저이델 제품으로 비투프로젝트. 4 흰색 세라믹 향꽂이는 배현주 작가 작품으로 챕터원. 5 세워둘 수 있는 블루투스 스피커 ‘스톡웰’은 마샬 제품으로 소비코. 6 사람 모양의 목각 오브제는 마이알레. 7 새가 그려진 조립식 월 데코는 익시 IXXI의 ‘골드 핀치’로 리모드. 8 생각보다 가볍고 바퀴가 있어 이동이 쉬운 철제 선반 수납장은 하우스라벨. 9 수동식 캘린더 ‘티모르 브라운’은 다네제밀라노 제품으로 루밍. 10 삼각 형태의 유리 보관함은 마이알레. 11 소품 등을 걸어둘 수 있는 헌팅 트로피는 챕터원. 12 금색 테두리의 유리 보관함은 마이알레. 13 빈티지한 패턴의 세라믹 함은 로얄코펜하겐 제품으로 모벨랩. 14 레트로풍의 오렌지색 패턴이 들어간 빈티지 티포트와 잔은 모두 비투프로젝트. 15 지도를 볼 수 있는 돋보기는 애술린. 16,17 황동 소재의 육각 오브제와 금속 캔들 홀더는 모두 티네케이홈 제품으로 하우스라벨. 18 손잡이가 달린 실버 빈티지 램프는 호메오.19 영국 국기가 그려진 신발 몰드 오브제는 호메오 20 회색 컬러가 감도는 꽃병은 더블유디에이치. 21 블랙 컬러의 캔들 홀더는 하우스라벨. 22,23 식물이 놓인 사각 트레이와 연두색 빈티지 저그는 모두 에이치픽스. 24 사각 철제 케이스는 하우스닥터 제품으로 에잇컬러스. 25,26 원형의 밤부 바스켓과 핑크 컬러 블랭킷은 모두 브로스테 코펜하겐 제품으로 덴스크. 27 빈티지 라벨이 붙어있는 유리병은 까사알렉시스. 28 그레이 컬러의 스트라이프 패턴 러그는 파펠리나 제품으로 85x160cm, 빌라토브.
클래식 가구와 만난 철제 가구
클래식한 분위기를 좋아한다면 메인 가구를 클래식한 것으로 고르고 곁들이는 소가구를 철제 제품으로 선택해보자. 이때 모던한 철제 가구를 매치해도 컬러가 어울린다면 스타일이 달라도 분위기가 근사해진다. 전체가 철재인 제품보다 철재가 포인트로 들어간 가구를 고르는 것도 팁.
1,17 블랙 컬러 프레임과 민트색 가죽이 어우러진 LC1은 등받이가 움직이는 것이 특징. 까시나 제품으로 크리에이티브랩. 2 벽에 고정할 수 있는 ‘실버 앤티크 월 램프’는 호메오. 3,4 앤티크한 액자 프레임을 끼운 파블로 피카소의 작품과 조지 바라크의 작품은 모두 abc갤러리. 5 빈티지한 청동색 베이스 ‘베이스 이펙트 앤티크 그린’은 에잇컬러스. 6 윗부분이 골드 컬러의 캔들 홀더로 장식된 ‘메탈 우든 캔들 홀더’는 까사알렉시스. 7 주름진 은색 촛대는 모두 세그먼트. 8 스누피 장식의 골드 컬러 스누퍼는 챕터원. 9 프탈레이트가 없는 향료 오일을 최적으로 배합한 디퓨저 ‘라 포레트’는 빌라토브. 10 장식적인 금색 트레이는 애술린. 11 골드 컬러의 철제 트레이 ‘리비드 트레이’는 빌라토브. 12 투명한 유리 돔 ‘벨라 벨 자르 위드 트레이’는 비투프로젝트. 13 핑크색 손 모양의 캔들 ‘엑스 보토 로즈’는 씨흐트루동. 14 가죽으로 제작한 노트는 모두 애술린. 15 은색 뚜껑의 보관함 ‘콘비비오 버터 돔’은 루밍. 16 클래식한 화이트 컬러의 서랍장 ‘도어 사이드보드’는 파넬. 18 베이지 컬러의 장판 바닥재는 ‘지아소리잠 멀티헤링본’으로 LG하우시스. 벽에 칠한 그레이 컬러의 페인트는 던에드워드 페인트의 ‘DE 6227 Muslin’ 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