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모피 관리법

올바른 모피 관리법

올바른 모피 관리법

모피는 오랜 시간 동안 품격과 고급스러움의 상징으로 사랑받아왔습니다. 하지만 그만큼 섬세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

소중한 모피를 최상의 상태로 오래 입고 싶다면 기억해야 할 모피 관리 방법을 소개합니다.

“똑똑한 모피 보관법”

모피는 보관이 까다로울 수 있지만 몇 가지 사항만 주의하면 의외로 간단하다. 직사광선이 들지 않는 10° C 안팎의 온도와 50% 정도의 습도를 유지하는 충분한 공간이 바로 최적의 환경. 그러나 완벽한 보관 장소를 따로 만들 필요는 없고, 모피가 사람의 머리카락과 같다고 생각하면 보관이 쉬워진다. 머리카락과 마찬가지로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숨 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단 얘기다. 특히 습기를 피하기 위해 제습제를 과도하게 사용하면 가죽에 필요한 일정량의 수분을 빼앗겨 가죽이 뻣뻣해지기 쉬운데, 이럴 때는 옷장을 자주 환기시켜 공기를 순환해주면 적정량의 습도가 유지된다.

 

“단단하고 어깨가 넓고 목이 긴 옷걸이에 걸어둘 것”

옷걸이에 걸어놓을 때에는 모피의 스타일에 따라 그 스타일을 가장 잘 보존시켜줄 수 있는 상태로 걸어놓는다. 기본적으로 단단하고 어깨가 넓고 목이 긴 옷걸이면 옷의 형태 변형 방지에 효과적이다.

“옷 커버는 씌우지 않는 게 좋다”

먼지를 방지하기 위해 옷 커버를 씌우는 것은 권하고 싶지 않다. 모피는 숨을 쉬게 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므로 합성섬유 혹은 펠트로 제작된 옷 커버의 경우 가죽 손상이 우려된다. 먼지를 방지하고 싶다면 가벼운 면 혹은 실크 소재의 천을 덮어두는 것이 좋다. 이때 코트를 전부 다 씌울 필요는 없으며, 먼지가 앉기 쉬운 어깨에서부터 소매정도까지만 덮어주면 된다.

“드라이클리닝은 5년에 한 번 정도”

친칠라와 같은 특수 소재를 제외하고는 보통 5년에 한 번 정도 드라이클리닝을 하는 것이 좋다. 모피는 비가역적 물질이므로 한번 잘못된 손질이나 손상은 결코 되돌리기가 어려우므로 꼭 전문가에게 세탁을 맡긴다. 소재가 다양한 만큼 특성도 다를뿐더러 털과 가죽의 상태에 따라 알맞은 드라이클리닝 과정을 선택해야 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통상 3년 정도의 주기로 세탁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하지만 원피의 종류와 보관 방법에 따라 1년 혹은 2년에 한 번 해야 할 경우도 있으니 구매한 곳에 맡기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CREDIT

에디터

TAGS
귀여운 수호자들

귀여운 수호자들

귀여운 수호자들

새해, 평안과 무탈을 비는 마음이 담긴 인테리어 소품들.

액운을 먹는 모시 명태

©최희주

©최희주

©최희주

예로부터 나쁜 기운은 막아주고, 좋은 기운은 불러온다는 액막이 명태. 커다랗게 뜬 눈으로 불경함을 주시하고, 벌어진 입으로 액운을 먹어 없앤다. 명태를 길게 감싼 명주실에는 행운과 재물운이 끝없이 이어지길 바라는 마음과 무병장수의 기원을 담았다. 최희주 작가의 푸른바다 모시명태 시리즈는 수작업으로 제작된 핸드메이드 오브제로, 질 좋은 무명실을 명태에 한줄 한줄 꿰어가며 정성스러운 기원의 의미를 담았다. 명태의 방향은 현관 문이 열리는 방향을 바라보게 두거나, 명태의 머리 부분이 동쪽으로 오도록 걸어야 좋다. 문 앞을 지키는 든든한 명태가 언제 코 앞에 닥칠지 모를 나의 불행 하나 정도는 먹어 치워줄 것에 틀림없다.

WEB choiheeju.kr

매일 복을 기도하는 마음으로

©오이뮤

©오이뮤

©오이뮤

©오이뮤

2015년부터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디자인 스튜디오 오이뮤에서 출시하는 복캔들이다. 입체감 있는 한자 모양의 디자인이 존재만으로 강렬한 기운을 뽐낸다. 복은 오랜 시간 이어져 온 우리 문화이기도 한데, 아기가 태어나면 베갯모와 강보에 한자 ‘복福’을 수놓아 아기의 복된 앞날을 염원했고, 의복과 장신구에도 ‘복福’ 자를 새겨 넣었다. 2025년 새해의 복된 앞날을 기원하고 싶은 소중한 이에게 복캔들을 선물해보면 어떨까. 콩기름으로 만든 식물성 왁스 캔들로, 향에 민감한 이들도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다.

WEB oimu-seoul.com

까치가 물어온 행운

©호호당

©호호당

까치가 울면 반가운 손님이 찾아온다는 말이 있다. 고대부터 우리 민족과 친근한 야생조류였던 까치는 반가운 사람이나 소식을 알리는 새, 또는 부자가 되거나 벼슬을 할 수 있는 비방을 가진 존재로 여겨졌다. 호호당에서 선보이는 까치 모양 자개 오너먼트는 번영과 생명력을 뜻하는 연봉 매듭까지 더해 강력한 행운의 기운을 불러다 줄 준비를 마쳤다. 좋은 소식을 기다리는 누군가가 생각난다면 희소식을 물어다 줄 자개 까치를 선물해보자.

WEB hohodangstore.co.kr

행운의 소 코뚜레

©노패키지 프로젝트

©노패키지 프로젝트

©노패키지 프로젝트

액운을 막고 집 안의 만사형통을 기원하는 소코뚜레 벽 장식. 우리 선조들에게 ‘소’는 집 안의 가장 큰 재산이자, 자식을 돌보는 일만큼이나 중요했다. 코뚜레는 사람보다 서너배나 더 큰 기 센 소도 꼼짝 못하게 만들 수 있듯, 집 안에 코뚜레를 걸어두면 잡귀가 오지 못하게 막을 수 있다는 믿음이 있었다. 소가 열심히 일을 할수록 집안에 재물이 쌓였기 때문에도 복을 상징한다. 후에 소를 팔더라도 코뚜레와 고삐를 간직하고 있으면 집안에 복을 잡아둘 수 있을 것이라고 믿었다. 강원도 참다래나무 소재로 만들어진 노패키지 프로젝트의 행운의 소코뚜레 시즌2는 전통 오색실 매듭과 엽전 장식을 더해 부와 복을 모두 담은 아이템이다.

WEB nopackageproject.com

활짝 꽃피울 재물운을 위하여

©스와로브스키

©스와로브스키

©스와로브스키

재물운과 행운을 상징하는 해바라기. 집 안에 해바라기 그림을 걸어두면 좋은 기운을 불러다 준다는 이야기는 풍수지리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말이다. 주얼리 브랜드 스와로브스키에서 선보인 해바라기 보석 데코 아이템 ‘Garden Tales 선플라워’는 공간 한 켠에서 반짝이며 재물 복을 불러다 줄 것이다. 들꽃 테마를 생생하게 표현한 디자인으로, 314개 파셋의 옐로우 크리스털과 골드 톤의 플래팅 줄기가 매력적이다. 뜨거운 햇빛을 바라보면 더욱 반짝거릴 행운의 해바라기를 장만해보길.

WEB swarovski.com

 

CREDIT

어시스턴트 에디터

조인우

TAGS
특별한 시작을 위한 호텔 레스토랑

특별한 시작을 위한 호텔 레스토랑

특별한 시작을 위한 호텔 레스토랑

2025년을 더욱 특별하게 시작하고 싶다면 주목하세요! 새해를 맞아, 맛있는 음식과 함께 새해 소망을 나눠보세요. 특별한 시작을 위한 호텔 레스토랑을 추천합니다.

시그니엘 – 스테이, 모던 레스토랑

 

서울 한복판에 위치해 화려한 스카이라인을 감상할 수 있는 시그니엘 81층, STAY에서 특별한 프랑스 요리를 즐겨보자. 미쉐린 3스타 셰프 야닉 알레노의 모던 프렌치 파인 다이닝이다. 매주 새로운 요리를 소개하는 곳으로, 프랑스 요리의 진수를 느낄 수 있는 각 메뉴들을 만날 수 있다. 옐로와 골드 컬러로 포인트를 준 경쾌하고 모던한 인테리어가 편안한 무드를 더해준다.

ADD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 300, 롯데월드 타워 81층

 라망 시크레

     

프랑스어로 비밀스러운 연인이라는 뜻을 가진 레스토랑 ‘라망 시크레’. 미국에서 오랜 경력을 쌓은 손종원 셰프의 노하우가 담긴 요리를 만나볼 수 있는 곳이다. 한국 스타일의 제철 재료를 이용한 양식 요리를 선보인다. 한국의 식재료와 서양 요리의 테크닉적인 요소가 결합되어 이루는 조합이 신선하면서도 익숙한 느낌을 준다. 레스케이프 호텔 최상 층 가장 로맨틱한 공간에 비밀스럽게 자리한 이곳의 인테리어도 주목해볼만 하다. 연인과 함께하는 특별한 시간을 원한다면 방문해보길.

ADD 서울 중구 퇴계로 67 레스케이프 호텔 26층

페스타 바이 민구

     

2스타 미슐랭 레스토랑인 밍글스의 강민구 셰프의 현대 유럽 요리를 만날 수 있는 페스타 바이 민구. 반얀트리 서울의 시그니처 레스토랑으로 유럽식 다이닝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남산의 아름다운 경치를 감상하며 음식을 즐길 수 있는 편안한 안식처 같은 공간을 자랑한다. 페스타 바이 민구에서 엄선한 메뉴로 구성된 어번 그린 런치와 디너 코스를 만날 수 있다. 제철 식재료를 활용해 자연 그대로의 맛을 살린 신선한 요리를 맛볼 수 있다.

ADD 서울 중구 장충단로 60 더 페스타 1층 페스타 바이 민구

CREDIT

에디터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