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머신보다 커피 그라인더

커피 머신보다 커피 그라인더

커피 머신보다 커피 그라인더

커피 맛의 생명은 바로 원두의 신선함! 맛있는 커피의 전제조건은 먹기 직전에 원두를 분쇄하는 일이다. 여기에 에스프레소 머신이나 커피 메이커보다 커피 그라인더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가 있다.

원두는 시간이 지나면서 산화되어 맛이 변하기 때문에, 미리 갈아 놓은 커피보다는 그라인더로 바로 갈아서 사용하는 것이 커피 맛을 극대화할 수 있다. 원두 상태로 보관하면서 신선도를 유지하고 커피의 깊은 풍미를 느낄 수 있다. 그라인더 사용은 커피의 분쇄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드립, 에스프레소, 프렌치 프레스 등 각 커피 기법에 맞는 분쇄도를 맞출 수 있다. 이는 커피의 맛과 추출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 커피의 취향과 스타일을 더욱 세밀하게 조절해 나만의 개성 있는 커피를 만들어보자.

커피 그라인더 선택 기준

 

커피 분쇄는 크게 ‘커팅(Cutting)의 방식’과 ‘버(Burr) 방식’으로 나뉜다. 커팅은 말 그대로 칼날로 원두의 단면을 자르는 것이고 버는 맷돌처럼 으깨는 것을 말한다. 원두를 넣고 뚜껑을 누르거나 버튼을 누르면 ‘윙~’하는 소리와 함께 순식간에 갈아지는 전동 그라인더가 커팅 방식인데 사용하기 간편한 대신 잘린 단면의 면적이 적어 맛이 덜 나온다. 전동 그라인더는 딱딱한 원두를 반복해서 갈다 보면 칼날이 쉽게 무뎌지므로 그라인딩 칼날의 소재가 가장 중요하다. 그런 다음 몇 단계까지 분쇄 굵기 조절 기능이 있는지, 커피 용량은 어떤지, 세척방법은 있는지 등을 확인해야 한다. 버 방식의 핸드밀은 원두를 으깨기 때문에 단면이 늘어나 향미가 증가되지만 가루의 입자가 고르지 않은 단점이 있다. 그라인더를 고를 때에는 우선 자신의 커피 취향을 고려해야 한다. 에스프레소를 즐긴다면 전동 그라인더가 낫다. 핸드밀로는 에스프레소에 적합한 미세한 원두를 만들기 힘들기 때문이다. 커피 메이커나 핸드 드립 등의 가정에서 간단한 여과 방식으로 커피를 즐긴다면 부담 없는 핸드밀을 선택한다. 핸드밀의 생명은 안에 나선형 형태의 커팅 기어(Cutting Gear)인데 시끄럽고 부서질 염려가 있는 주물이나 쉽게 닳고 쇳가루가 떨어질 염려가 많은 일반 스틸보다 대를 이어 사용해도 될 만큼 날이 잘 무뎌지지 않는 카본 스틸이 좋다. 카본 스틸 커팅 기어는 분쇄 도중 마찰열을 비교적 덜 일으켜 원두 고유의 맛과 향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핸드밀을 구입할 때는 팔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핸들이 잘 돌아가는지 확인하는 것뿐 아니라 다른 쪽 팔이 지지하는 몸통 부분의 그립감까지 직접 확인해야 한다.

커피 그라인더 이용법

커피의 분쇄 정도는 커피의 추출 방법에 따라 달리해야 한다. 추출 속도가 매우 빠른 에스프레소 방식으로 커피를 뽑을 경우는 커피 가루를 되도록 미세하게 분쇄, 짧은 시간에 많은 커피 성분이 추출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모카 포트용은 설탕 입자 굵기 정도로 아주 미세하게, 핸드 드립용은 조금 거칠어 보이게 갈아야 한다. 세라믹 칼날의 핸드밀 외에 일반 핸드밀이나 전동 그라인더는 물로 세척을 하면 안 된다. 세척하고 나서 자연건조가 되기를 기다리면 빨간 녹이 생긴다. 꼭 세척을 해야 직성이 풀린다면 칼날 사이사이에 습기가 남지 않게 닦거나 드라이어로 건조해야 한다.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은 핸드밀이나 그라인더는 그라인더 청소용 알약을 넣어서 분쇄해서 보관하거나 청소용 알약이 없을 경우에는 쌀이나 보리를 넣어서 분쇄해도 된다. 청소용 알약 성분이 곡물인데 곡물의 표면에 묻어 있는 하얀 가루가 파우더 역할을 해 날 사이에 남아 있는 커피 오일을 빨아들여 뽀송뽀송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드롱기 KG79

 

©드롱기

16단계의 분쇄도 조절 다이얼로 사용자의 편의에 맞춰 분쇄도 조절이 가능하다. 컨테이너 제거 시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는 안전 시스템이 작동한다.

 

칼리타 핸드밀 KH9-브라운

©칼리타

수동으로 그라인드 하는 클래식한 방식의 핸드밀. 소량의 원두만 간편하게 갈아 더욱 진한 풍미의 커피를 즐길 수 있다.

 

드롱기 데디카 

©드롱기

18단계의 분쇄도 조절 다이얼이 탑재된 그라인더 모델. 필터 홀더나 그라운딩 컨테이너에서 바로 커피를 그라인딩 할 수 있다. 튼튼한 메탈 소재로 안정감 있는 사용감을 자랑한다.

CREDIT

에디터

TAGS
상큼한 감귤 요리 노하우

상큼한 감귤 요리 노하우

상큼한 감귤 요리 노하우

감귤의 상큼한 맛과 풍부한 비타민 C는 겨울철 지친 몸에 활력을 불어넣어줍니다.  감귤의 매력을 한층 더 살릴 수 있는 레시피와 노하우를 소개해드릴게요!

감귤 펀치/ 감귤 양갱/ 메밀 샐러드/ 감귤 파스타

 

감귤 펀치

감귤 4개, 탄산수 2컵, 프레시 민트 적당량

1 감귤은 1/2개만 남기고 나머지 3 1/2개는 반으로 잘라 즙을 낸다.

2 남은 감귤 1/2개는 단면이 동그랗게 슬라이스한다.

3 롱 글라스에 1의 감귤 즙을 담고 탄산수를 부은 다음 민트 잎과 동그랗게 자른 감귤로 장식한다.

감귤 즙 짜기

반으로 자른 감귤을 손으로 감싸고 우드 레몬즙 짜개 (Lemon Reamer)로 감귤 즙을 낸다. 감귤은 과육이 무르므로 레몬 스퀴저로 짤 경우 거름망으로 거른다.

감귤 슬라이스 요령

반으로 자른 감귤을 슬라이스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가급적 칼날이 날카로운 세라믹 칼을 사용하고 먼저 살짝 칼집을 낸 후 힘의 중심을 칼의 뾰족한 부분에 두고 자른다.

감귤 양갱

 

감귤 1개, 생수 200ml, 설탕 120g, 한천가루 4g, 팥 앙금 적당량

1 물에 한천가루를 풀어 10분간 둔다.

2 1을 불에 올려 잘 저어가며 끓이다가 설탕을 넣어 잘 녹인다.

3 약한 불에서 점성이 생길 때까지 끓인다.

4 동글동글하게 만든 앙금에 3의 투명 양갱을 넣어 굳힌다.

한천가루 사용하기

한천은 식물성 재료이면서 젤리를 만들 수 있다. 동물성 재료인 젤라틴보다는 되도록 건강에 좋은 한천으로 만드는 것을 추천한다.

앙금 완자 빚기

팥 앙금은 매끈하게 만들어야 모양이 좋으므로 가급적 손바닥 중에서도 손금이 적은 부위에 반죽을 올려 놓고 굴려 완자를 만든다.

 

메밀 샐러드

 

메밀면 2인분, 오이 1개, 감귤 2개, 소스(간장 4큰술, 고추냉이 5작은술, 레몬즙 • 식초 • 설탕 4큰술씩, 맛술 2큰술, 포도씨 오일 8큰술, 참기름 4큰술), 감귤 제스트 1큰술

1 오이는 얇게 채썰고, 소스는 분량의 재료를 잘 섞어 차갑게 한다.

2 감귤의 겉껍질은 제스트로 만들고 과육은 껍질을 벗겨서 준비한다.

3 끓는 물에 메밀면을 삶아 체에 건진 다음 소스와 오이, 감귤 제스트를 골고루 버무린 후 감귤로 장식한다.

오이 손질하기

갱칼이 있으면 손쉽게 오이를 소면처럼 자를 수 있다. 갱칼이 없다면 강판을 이용해 채썰어 사용하면 된다.

감귤 제스트 만들기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은 감귤을 ‘레몬 제스터(제스트를 만드는 도구)’로 살짝 벗겨서 감귤 제스트를 만든다.

 

감귤 파스타

 

파스타 120g, 미니 파프리카 4개, 마늘 2쪽, 중하 5~6마리, 감귤 2개, 소금 1작은술, 후춧가루 조금,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 적당량

1 파스타는 끓는 물에 소금을 조금 넣어 알단테로 삶는다.

2 감귤은 겉껍질만 얇게 채썰어 1큰술 정도 만들고 과육은 1/2개 분량만 남겨두고 깨끗하게 발라내고 마늘은 얇게 저민다.

3 팬에 올리브 오일을 두르고 마늘과 파프리카, 새우를 넣어 볶은 다음 파스타와 감귤 과육을 넣어 살짝 버무린다.

4 소금과 후춧가루로 간을 하고 남은 감귤 즙을 먹기 직전에 짜서 뿌린다.

길쭉한 제스트 만들기

레몬 제스터가 없으면 껍질을 얇게 벗겨 칼로 채를 썰어도 제스트로 활용할 수 있다. 얇게 채썬 제스트가 깔끔해 보인다.

감귤 속껍질(양낭막) 벗기기

시중에 판매하는 감귤 통조림은 약품으로 속껍질을 녹일 우려가 있으므로 가급적 감귤의 속껍질을 직접 손으로 벗겨 사용한다. 잘 익은 감귤일수록 속껍질이 얇아 벗기기 쉽다.

CREDIT

에디터

TAGS
따뜻하게 마시는 술

따뜻하게 마시는 술

따뜻하게 마시는 술

날씨는 추운데 따뜻하게 마시는 술은 없을까? 정답은 YES! 와인과 위스키도 따끈하게 데우면 모락모락 나는 김을 호호 불어가며 온기와 취기를 함께 즐길 수 있다.

 

술은 입술에 닿는 감촉에 의해서 변하기도 하고 공기와 닿는 순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맛이 변하기도 하며 손끝의 온도에 의해서도 맛의 차이를 보인다. 이처럼 술맛을 가장 크게 좌우하는 것은 온도. 늘 상온으로 즐기거나 차갑게 마시던 술을 따뜻하게 데우면 어떤 맛으로 변할까?

“사케”

‘따뜻한 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단연 ‘사케’일 것이다. 일본의 직장인들은 추운 겨울, 집으로 가는 길에 선술집에 들러 따뜻한 사케와 꼬치 요리를 먹는 것도 빼먹지 않는 일과 중 하나라고 한다. 이렇게 마시는 소박한 술 한 잔으로 하룻동안 쌓인 피로와 스트레스를 푸는 것은 따뜻한 사케가 덜 취하기 때문이다. 사케를 따뜻하게 데우면 향이 진해져 향을 음미하면서 조금씩 마시게 되며 덕분에 과음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사케를 데워 마시면 입 안에서부터 알코올이 분해되기 때문에 차게 해서 마시는 것보다 좀더 쓰게 느껴진다.

“와인”

유럽에선 겨울에 ‘글루바인’을 마신다. 독일어로 ‘따뜻한 와인’이란 뜻으로 프랑스에서는 ‘뱅쇼’라고 부른다. 뱅쇼는 겨울이 일찍 오는 유럽에서 몸을 따뜻하게 하기 위해 끓여 마시는 술이다. 와인은 일반적으로 서늘하게 보관해 적정 온도에서 즐기는 술이지만 유럽에서는 겨울철이 되면 뱅쇼를 파는 곳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주전자에 뱅쇼를 담아 가스 버너로끓여 길거리에서 팔기도 한다. 만들기가 쉬워 가정에서도 직접 끓여 마시는데 감기에 걸리면 약 대신 뱅쇼를 마시기도 했다고. 뱅쇼는 스위트 레드 와인으로 만들어야 맛이 좋지만 마시다 남은 와인이나 저렴한 가격의 대용량 와인을 활용하는 것도 현명한 방법이다.

뱅쇼

레드 와인 1병, 대충 조각 낸 오렌지 1개분, 정향 • 설탕 적당량씩, 시나몬 스틱 3~4개, 레몬 1개

1 레몬즙을 짜서 주스를 만들고, 남은 레몬은 0.5cm 두께로 썬다.

2 냄비에 레드 와인, 오렌지, 정향, 시나몬 스틱, 레몬즙을 넣어 약한 불에 10분간 끓인다.

3 와인에 거품이 생기면 설탕을 넣는다.

4 다시 5~10분간 약한 불에 끓인다.

5 머그에 레몬 슬라이스 1조각을 넣고 끓인 와인을 붓는다.

 

“칵테일”

위스키를 베이스로 한 칵테일인 ‘핫 토디’는 추운 날 마시기에 좋은 칵테일이다. 핫 토디에 넣는 정향은 구취를 제거하고 위를 튼튼하게 하며 강장 등에 효과가 있다. 크리스마스용으로 고안된 따뜻한 칵테일 ‘톰과 제리’는 19세기 말에 유명한 바텐더 제리 토마스가 만든 것이 시초다. 원기를 북돋우고 치료 효과가 있어 미국의 금주 시대에도 유일하게 금지되지 않았던 코냑. 코냑의 향은 심신을 차분하게 하고 몸을 따뜻하게 만들어주는데 코냑에 뜨거운 커피와 레몬, 시나몬, 설탕을 넣어 마시면 원기 회복에 도움을 준다. 올겨울 따뜻하게 마시는 칵테일 한 잔으로 잠을 청하는 것도 추위와 스트레스를 이기는 데 도움이 될듯싶다.

Hot Toddy

블렌디드 위스키 • 뜨거운 물 45ml씩, 각설탕 1개, 레몬 슬라이스 1/2조각

1 따뜻하게 데운 위스키 잔에 각설탕을 넣고 뜨거운 물을 부어 설탕을 녹인다.

2 1에 위스키를 붓고 나머지 뜨거운 물을 첨가해서 가볍게 젓는다

3 레몬 슬라이스를 넣고 머들러나 롱 스푼을 함께 낸다.

“Hot Brandy Egg Nog”

브랜디 30ml, 다크 럼 15ml, 달걀 1개, 설탕 2작은술, 핫 밀크 적당량

1 달걀의 흰자와 노른자를 각각 거품을 낸다.

2 볼에 거품을 함께 넣고 설탕을 넣은 다음 다시 거품을 내어 글라스로 옮긴 후 브랜디와 럼을 붓고 따뜻한 우유를 넣고 섞는다.

그랑 마르니에 카페”

그랑 마르니에 30ml, 레귤러 커피 70ml, 생크림 25g, 설탕 조금

1 커피잔에 뜨거운 커피와 그랑 마르니에를 붓고 입맛에 맞게 설탕을 넣고 젓는다.

2 1의 설탕이 녹으면 생크림을 올려 낸다.

Tom & Jerry

브랜디 15ml, 화이트 럼 30ml, 설탕 2작은술, 달걀 1개, 뜨거운 물 적당량

1 달걀의 노른자와 흰자를 각각 거품을 낸다. 노른자에는 설탕을 넉넉히 넣어 더 많은 거품을 만들고 흰자에도 설탕을 조금 넣는다. 두 거품 모두 단단해지면 한데 섞는다.

2 글라스에 1을 1/2 정도 담고 잘 섞은 브랜디와 화이트 럼을 넣고 머들러로 젓는다. 글라스의 7부 정도 되게 뜨거운 물을 채우고 다시 가볍게 젓는다.

 

CREDIT

에디터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