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맞이 패브릭 커버 만들기

봄맞이 패브릭 커버 만들기

봄맞이 패브릭 커버 만들기

컴퓨터 모니터와 키보드에 내려앉은 먼지가 신경 쓰였다면 컴퓨터를 위한 패브릭 커버를 만들어 씌워주는 것은 어떨까?

©MaisonKorea

봄이 오면 꽁꽁 닫았던 창문을 조금씩 열어놓게 된다.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따스한 봄바람도 좋지만 바람을 타고 오는 것은 기분 좋은 봄기운만은 아니다. 미세하고 작은 먼지와 꽃가루로 봄에는 실내에 유독 먼지가 많이 쌓이게 된다. 특히 컴퓨터의 경우 틈이 많은 모니터와 키보드에 먼지가 수비게 내려앉기 마련이다. 흔하게 볼 수 있는 비닐 질감의 덮개를 사용하기가 꺼려졌다면 이참에 컴퓨터 커버를 만들어보자. 모니터 커버 앞면에는 연필을 꽂을 수 있는 작은 포켓을 만들었으며 쉽게 벗길 수 있도록 옆에는 리본 끈을 달았다. 가볍게 덮어두는 것만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는 키보드 커버는 내추럴한 리넨 소재와 잘 어울리는 데님 원단으로 제작했다. 여기에 조금만 욕심을 내서 연필꽂이 커버도 만든다면 근사한 데스크 커버 세트가 될 듯 하다. 전자제품이 주는 투박하고 딱딱한 느낌을 슬며시 감출 수 있음은 물론이다.

 

준비물

©MaisonKorea

리넨 50 X 79cm 1장, 데님 끈(3.5cm X 20 cm) 6개, 데님 원단(15 X 10cm) 1장, 데님 원단(46X20cm) 1장, 연필꽂이용 린넨(27.5 X 11.5cm) 1장, 연필꽂이용 데님 원단(27.5 X 11.5cm) 1장, 바늘, 실 가위

 

모니터&키보드 커버

©MaisonKorea

1 린넨을 모니터 크기 (46 X 36cm)로 재단하되 세로 길이는 모니터 세로 길이의 두 배로 하고 사방에 시접 1.5cm를 남긴다.

2 데님 끈을 3.5cm 폭으로 재단해 세로로 길게 반으로 접은 뒤 0.7cm 시접을 안쪽으로 접는다. 시접과 시접을 마주 포갠 후 박음질한다.

3 15 X 10cm으로 재단한 데님의 세로 윗면을 안쪽으로 1cm씩 두 번 접어 박음질한다. 나머지 세 면을 1cm 시접으로 접은 후 모니터 커버에 박음질로 달아 포켓을 만든다.

TIP 주머니를 달고 2cm 폭의 박음질 선을 만들면 필기구를 예쁘게 꽂아서 쓸 수 있다.

4 모니터 커버의 사방을 박음질한 후 마주보고 묶을 수 있는 적당한 위치에 4개의 끈을 놓고 함께 박음질한다.

연필꽂이 커버

©MaisonKorea

1 연필꽂이로 쓸 컵의 둘레에 맞게 리넨과 데님 원단을 재단한 후 다시 두 원단을 재단한 후 다시 두 원단을 마주 대고 사방 0.7cm의 시접을 남기고 재단한다.

2 데님을 3.5cm 폭으로 재단해 반으로 접은 뒤 0.7cm 시접을 안쪽으로 접어 시접과 시접을 마주해 포갠 후 박음질한다.

3 리넨과 데님의 겉끼리 마주보게 한 뒤 시접 0.7cm를 남기고 박음질하되 나중에 뒤집을 수 있도록 창구멍을 남긴다.

TIP 묶을 수 있는 위치에 양쪽으로 끈을 안쪽으로 넣어 같이 박아주면 뒤집었을 때 연필꽂이 커버에 끈을 깔끔하게 달 수 있다.

4 창구멍을 통해 원단을 뒤집은 후 창구멍을 박음질로 막고 완성된 커버를 컵에 두른 뒤 끈을 리본으로 묶어서 고정한다.

CREDIT

에디터

TAGS
소담한 채소 밥상

소담한 채소 밥상

소담한 채소 밥상

나뭇가지에 파릇파릇한 새순이 들듯, 우리 집 밥상에 싱싱한 채소를 풍성하게 올려 건강한 색으로 물들여보자. 영양가 풍부한 채소 밥상 레시피.

 

봄나물 영양밥

맵쌀 1컵, 참나물 50g, 곰취 10장, 우엉 1대, 불린 표고버섯 2개, 죽순 30g, 은행 10알, 깐 밤 3개, 대추 2개, 다시마 1장, 깐 밤 3개, 청장 1 작은 술, 청주 1/2 작은 술, 참기름 • 식용유 조금씩, 양념장(달래 10줄기, 간장 3 큰 술, 고춧가루 • 참기름 1 큰 술씩, 깨소금 조금)

©MaisonKorea

 COOKING TIP

곰취는 너무 질기지 않고 부드러우며, 잎이 싱싱하며 선명한 녹색으로 고른다. 연한 잎을 깨끗이 씻어 냉동했다가 녹즙으로 사용해도 좋다. 참나물은 잎 크기가 미나리 잎처럼 작고 윤기가 돌며 밑줄기는 붉은빛이 나는 것이 싱싱하다.

1 쌀은 씻어서 30분간 불리고, 다시마는 2컵 분량의 물에 불려 다시마 우린 물을 만든다.

2 표고버섯은 먹기 좋은 크기로 썰고, 우엉은 껍질을 벗기고 어슷 썰어 물에 담가둔다.

3 죽순은 빗살 사이의 석회질을 제거해 썰고, 은행은 식용유를 두른 팬에 볶아 껍질을 벗긴다.

4 참나물과 곰취는 깨끗이 씻어 물기를 제거한 다음 참나물은 먹기 좋은 길이로 썰고, 곰취는 채 썬다.

5 달래는 깨끗이 씻어 물기를 제거하고 송송 썬 다음 분량의 재료와 모두 섞어 양념장을 만든다.

6 돌솥에 참기름을 두르고 센 불에서 쌀을 볶다가 다시마 우린 물과 청장, 청주, 밤, 대추, 우엉, 버섯, 은행을 넣어 밥을 짓는다.

7 밥물이 잦아들면 중간 불로 줄여 뚜껑을 덮고 뜸을 들인다.

8 완성된 밥을 주걱으로 잘 섞어 그릇에 담고 손질해놓은 참나물, 곰취와 양념장을 곁들여 낸다.

발사믹 검은깨 페이스트에 버무린

아스파라거스 샐러드

아스파라거스 4대, 껍질콩 70g, 레디시 2개, 소금 조금, 발사믹 검은깨 페이스트(검은깨 30g, 설탕 7g, 발사믹 식초 2 큰 술), 드레싱(포도씨 오일 3 큰 술,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오일 1 큰 술, 사과 식초 • 레드 와인 비네거 적당량씩, 셰리 비네거 1/2 작은 술씩, 소금 • 후춧가루 조금씩)

©MaisonKorea

COOKING TIP

아스파라거스는 선명한 녹색에 물기가 돌고 향기가 진할수록 신선하며 너무 굵지 않고 약간 두툼한 것으로 골라야 맛이 좋다. 드레싱에 사용하는 셰리 비네거는 셰리주를 오크통에 넣어 발효시킨 식초로 다른 와인 식초에 비해 과일 향이 풍부하며 산도가 낮고 훨씬 달콤한 것이 특징이다.

1 아스파라거스, 껍질콩은 끓는 소금물에 데쳐 찬물로 헹군 후 물기를 뺀다.

2 래디시는 얇게 슬라이스한다.

3 분량의 재료를 모두 섞어 드레싱을 만든다.

4 준비해 놓은 아스파라거스, 껍질콩, 래디시에 드레싱을 뿌리고 고루 버무린다.

5 검은깨를 절구에 담아 방망이로 가볍게 으깬 다음 설탕, 발사믹 식초를 넣고 다시 가볍게 으깨 페이스트를 만든다.

6 아스파라거스, 껍질콩, 래디시에 드레싱이 어느 정도 배면 5의 발사믹 검은깨 페이스트를 넣어 골고루 섞는다.

 

돌미나리 새우 라이스페이퍼 랩

새우 6마리, 돌미나리 1/4단, 돌나물 50g, 숙주 70g, 게맛살 3줄, 라이스페이퍼 6장, 소스(피시소스 • 생수 2 큰 술씩, 라임즙 • 설탕 3 큰 술씩, 다진 홍고추 • 다진 마늘 1 작은 술씩)

©MaisonKorea

COOKING TIP

돌미나리는 줄기가 연하고 선명한 녹색을 띠며 향긋한 냄새가 나는 것을 고르고, 돌나물은 잎이 도톰하고 작으며 신선한 것을 고른다. 돌나물 특유의 향미를 음미하고 싶다면 줄기를 잘라 깨끗이 다듬어 생채로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페이퍼 랩의 소스는 피시소스 대신 초고추장이나 초고추장을 베이스로 한 소스를 만들어 사용해도 좋다.

1 새우는 이쑤시개로 등 쪽의 내장을 제거하고 끓는 물에 데쳐 껍질을 벗기고 길이로 반 자른다.

2 돌미나리와 돌나물은 깨끗하게 다듬고 씻어 물기를 제거하고, 돌미나리는 잎 부분과 줄기를 먹기 좋은 크기로 썬다.

3 숙주는 머리와 꼬리를 떼고 끓는 물에 살짝 데쳐 물기를 제거한다.

4 게맛살은 잘게 찢는다.

5 분량의 재료를 섞어 소스를 만든다

6 라이스 페이퍼를 미지근한 물에 담가 부드럽게 불린 후 준비한 속 재료를 넣고 만다.

7 라이스 페이퍼 랩을 접시에 담고 소스를 곁들여 낸다.

CREDIT

에디터

TAGS
Colorful Indoor Garden Ideas

Colorful Indoor Garden Ideas

Colorful Indoor Garden Ideas

자연의 평온함과 동화 같은 화려함을 동시에 담은 인도어 가든 아이디어 다섯 가지.

©MaisonKorea

소담스러운 모양의 소정철화(하늘색 화분), 크고 작은 둥근 선인장 금호(녹색 화분과 바닥), 다양한 컬러의 변종 선인장, 조화, 조명, 초 등을 매치해 이색적인 가든을 완성했다. 추위도 더위도 잘 견디는 선인장은 특히 봄, 가을에 왕성하게 자란다. 보통의 화초처럼 물을 많이 주면 뿌리가 썩을 수 있어 실외보다는 물 조절이 용이한 실내에서 키우는 것이 적합하다. 너무 뜨거운 전구가 아닌 이상 간접 조명일지라도 빛은 식물에게 언제나 조력자. 가꾸는 공간이자 즐거운 볼거리가 되는 프레임 속 정원이다.

©MaisonKorea

화려한 꽃을 대신할 귀여운 센터피스 정원. 플레이모빌의 마을이 된 큰 돔 속의 초록은 비단 이끼, 작은 돔 속의 미니 사이즈 다육식물은 슈가드이다. 특히 이끼는 물이 없이는 결코 살 수 없는 식물이니 계속 촉촉한 상태를 유지시켜야 한다.

©MaisonKorea

공기 중의 수분과 영양분만으로 사는 공중 식물 에어 플랜트 틸란드시아의 한 종류인 막누시아나. 화분이 필요하지 않은 식물이라 다양한 방법으로 연출할 수 있지만, 여기선 특별히 발처럼 엮어서 매달아 보았다. 공기 중의 습도가 높아야 잘 자라므로 잎에 종종 스프레이로 물을 주면 좋다. 함께 연출한 양란과의 분홍색 절화는 카틀레야.

©MaisonKorea

절화와 컬러풀한 화분, 화분 받침만을 이용해 컬러 팔레트 같은 데커레이션을 연출했다. 위에서부터 노란색 양란 심비디움, 파란 수국, 하트 모양 오아시스에 장식한 유칼립투스와 장미, 짙은 홍색의 거베라, 보라색과 녹색이 감도는 꽃양배추, 늘어뜨린 아이비를 매치했다.

©MaisonKorea

나무에 가려진 파란 화분은 청옥, 항아리 모양의 하늘색 화분은 워터 메리, 컵 같은 모양의 보라색&하늘색 화분 속 꽃은 칼세오라리아(주머니꽃), 얇은 잎이 무성한 독특한 모양의 분홍색 꽃은 틸란드시아, 시계 밑에 놓인 화분은 우주목, 바닥에 놓인 굵은 잎의 식물은 산세베리아과의 스타키다. 여기에 매치한 꽃으로는 가녀린 줄기를 가진 양귀비, 살아 움직이는 듯한 극락조화, 바다에 눕힌 녹색의 안투리움, 퍼플&핑크색의 히아신스 등이다. 다양한 컬러의 화분에 이색적인 모양의 꽃, 조형적인 모양의 식물들을 매치해 화려한 코너 정원을 완성했다.

CREDIT

에디터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