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김치 활용 노하우

신 김치 활용 노하우

신 김치 활용 노하우

손님 초대 요리로도 손색없는 폼 나는 신 김치 활용요리를 제안한다.

“신 김치 요리는 신 김치에 이미 간이 충분히 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간 조절을 유의해야 한다. 신 김치 특유의 신맛과 군내를 줄이기 위해 김치를 물에 헹군 다음 김치 맛과 상반된 양념이나 소스를 사용하고, ,같이 사용할 재료도 신 김치의 맛이나 질감에 잘 어울리는 것을 선택한다. 김치 고등어찜의 경우, 고등어를 가열하면 나오는 기름이 신 김치의 맛을 중화시켜 주며 담백하고 부드러운 살코기가 아삭한 김치의 질감과 잘 어울리는 것이다.”

 

인절미 김치 고구마 말이

인절미(콩고물을 묻히지 않은 맵쌀 떡) 150g, 다진 김치 1/2컵, 양념(포도씨 오일 • 설탕 1 작은 술씩), 으깬 찐 고구마 2/3컵, 콩고물 2 큰 술

©MaisonKorea

1 인절미는 고물을 바르지 않은 덩어리 떡으로 구입한다.

2 김치는 물기를 꼭 짜고 잘게 채 썰어 달군 팬에 포도씨 오일을 두르고 볶는다. 이때 분량의 설탕을 함께 넣고 볶는다.

3 고구마는 푹 무르게 쪄서 껍질을 벗긴 후 곱게 으깬다.

4 인절미를 밀대로 잘 밀어내어 랩 위에 넓게 편다.

5 인절미 위에 으깬 고구마를 인절미 보다 1cm 정도 작은 사이즈로 넓게 펴준다.

6 고구마 위에 2의 김치를 펴고 김밥을 말 듯 돌돌 만다.

7 랩과 함께 단단히 만 후 잠시 두었다가 랩을 제거하고 콩고물에 굴린 후 먹기 좋은 크기로 썰어 접시에 담아낸다.

신 김치 볶을 때 설탕 넣기 

©MaisonKorea

신 김치 고유의 시큼한 맛을 줄이기 위해 볶을 때 약간의 설탕을 넣는다. 설탕을 넣으면 신맛을 줄일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맛이 나게 된다.

 

물고구마 사용하기 

©MaisonKorea

쫄깃한 인절미와 아삭한 김치의 상반되는 질감을 잡아주면서 접착제 역할을 하기 위해 고구마를 사용했다. 이때 고구마는 수분이 많은 물 고구마나 호박고구마를 사용해야 김치말이에서 김치 속이 빠져나오지 않는다.

 

랩으로 말기

©MaisonKorea

마치 김밥을 말 때 김 발을 활용하듯 도마 위에 평평하게 편 인절미 보다 크게 자른 비닐 랩을 깔고 인절미, 속 재료 순으로 올린다. 이렇게 하면 인절미로 속 재료를 돌돌 말 때 편리하고, 김치말이가 풀어지지 않게 단단하게 힘을 주기에도 좋다.

 

신 김치 무사카 

가지 1개, 다진 쇠고기 200g, 토마토소스 1컵, 다진 양파 1/2컵, 다진 마늘 1 큰 술, 베샤멜 소스(우유 1컵, 밀가루 • 버터 1 큰 술씩, 넛맥 • 소금 • 후춧가루 적당량), 다진 신 김치 • 모차렐라 치즈 1컵씩, 소금 1 작은 술, 후춧가루 조금, 올리브오일 적당량

1 가지는 사용할 오븐 용기의 길이에 맞게 0.5cm 두께로 슬라이스하여 올리브오일을 두른 팬에 살짝 볶는다.

2 달군 팬에 올리브오일을 두르고 다진 마늘과 양파를 볶다가 양파가 투명해지면 쇠고기를 소금과 후춧가루로 밑간을 하고 볶는다.

3 2의 쇠고기가 익기 시작하면 토마토소스를 넣고 끓이다가 다진 신 김치를 넣어 함께 볶는다.

4 달군 냄비에 버터와 밀가루를 넣고 약한 불로 줄인 후 스패튤러로 재빨리 저으며 볶다가 밀가루가 익으면 우유를 부어 잘 푼다. 여기에 넛맥과 소금, 후춧가루로 간을 하고 농도가 생길 때까지 불에서 끓인다.

5 오븐 용기에 1의 가지를 깔고 그 위에 4의 내용물을 담고 그 위에 베샤멜 소스 덮기를 한 번 더 반복한 후 맨 위에 모차렐라 치즈를 올려 180°C의 오븐에서 15분간 굽는다.

 

고기와 김치 같이 볶기

©MaisonKorea

김치에는 다진 마늘, 생강즙 등 갖은 향신채가 들어있는 상태이므로 고기를 볶을 때 나는 잡내를 없애기 위해 추가로 청주나 향신채를 넣지 않아도 된다. 단, 고기를 먼저 익힌답시고 먼저 볶지 말고 김치를 같이 볶아야 고기 잡내를 없앨 수 있다.

 

베사멜 소스 만들기

©MaisonKorea

베샤멜 소스는 밀가루, 버터, 우유로 간단하게 만들 수 있지만 밀가루가 덜 익지도 타지도 않게 볶는 것이 포인트. 밀가루와 버터를 익힌 불에서 볶을 때 처음에는 버터 냄새만 나다가 밀가루가 익으면 고소한 냄새가 난다. 향을 맡으며 타지 않게 재빨리 볶는 것이 중요하다.

 

가지와 김치의 조화

©MaisonKorea

신 김치의 강한 맛은 토마토소스와 베샤멜 소스가 잡아주고, 신 김치의 아삭한 식감은 부드러운 가지와 치즈가 살려준다. 가지는 자체에 특별한 맛과 질감이 없어 신 김치와 특히 잘 어울리는 식재료이다.

CREDIT

에디터

TAGS
봄맞이 패브릭 커버 만들기

봄맞이 패브릭 커버 만들기

봄맞이 패브릭 커버 만들기

컴퓨터 모니터와 키보드에 내려앉은 먼지가 신경 쓰였다면 컴퓨터를 위한 패브릭 커버를 만들어 씌워주는 것은 어떨까?

©MaisonKorea

봄이 오면 꽁꽁 닫았던 창문을 조금씩 열어놓게 된다.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따스한 봄바람도 좋지만 바람을 타고 오는 것은 기분 좋은 봄기운만은 아니다. 미세하고 작은 먼지와 꽃가루로 봄에는 실내에 유독 먼지가 많이 쌓이게 된다. 특히 컴퓨터의 경우 틈이 많은 모니터와 키보드에 먼지가 수비게 내려앉기 마련이다. 흔하게 볼 수 있는 비닐 질감의 덮개를 사용하기가 꺼려졌다면 이참에 컴퓨터 커버를 만들어보자. 모니터 커버 앞면에는 연필을 꽂을 수 있는 작은 포켓을 만들었으며 쉽게 벗길 수 있도록 옆에는 리본 끈을 달았다. 가볍게 덮어두는 것만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는 키보드 커버는 내추럴한 리넨 소재와 잘 어울리는 데님 원단으로 제작했다. 여기에 조금만 욕심을 내서 연필꽂이 커버도 만든다면 근사한 데스크 커버 세트가 될 듯 하다. 전자제품이 주는 투박하고 딱딱한 느낌을 슬며시 감출 수 있음은 물론이다.

 

준비물

©MaisonKorea

리넨 50 X 79cm 1장, 데님 끈(3.5cm X 20 cm) 6개, 데님 원단(15 X 10cm) 1장, 데님 원단(46X20cm) 1장, 연필꽂이용 린넨(27.5 X 11.5cm) 1장, 연필꽂이용 데님 원단(27.5 X 11.5cm) 1장, 바늘, 실 가위

 

모니터&키보드 커버

©MaisonKorea

1 린넨을 모니터 크기 (46 X 36cm)로 재단하되 세로 길이는 모니터 세로 길이의 두 배로 하고 사방에 시접 1.5cm를 남긴다.

2 데님 끈을 3.5cm 폭으로 재단해 세로로 길게 반으로 접은 뒤 0.7cm 시접을 안쪽으로 접는다. 시접과 시접을 마주 포갠 후 박음질한다.

3 15 X 10cm으로 재단한 데님의 세로 윗면을 안쪽으로 1cm씩 두 번 접어 박음질한다. 나머지 세 면을 1cm 시접으로 접은 후 모니터 커버에 박음질로 달아 포켓을 만든다.

TIP 주머니를 달고 2cm 폭의 박음질 선을 만들면 필기구를 예쁘게 꽂아서 쓸 수 있다.

4 모니터 커버의 사방을 박음질한 후 마주보고 묶을 수 있는 적당한 위치에 4개의 끈을 놓고 함께 박음질한다.

연필꽂이 커버

©MaisonKorea

1 연필꽂이로 쓸 컵의 둘레에 맞게 리넨과 데님 원단을 재단한 후 다시 두 원단을 재단한 후 다시 두 원단을 마주 대고 사방 0.7cm의 시접을 남기고 재단한다.

2 데님을 3.5cm 폭으로 재단해 반으로 접은 뒤 0.7cm 시접을 안쪽으로 접어 시접과 시접을 마주해 포갠 후 박음질한다.

3 리넨과 데님의 겉끼리 마주보게 한 뒤 시접 0.7cm를 남기고 박음질하되 나중에 뒤집을 수 있도록 창구멍을 남긴다.

TIP 묶을 수 있는 위치에 양쪽으로 끈을 안쪽으로 넣어 같이 박아주면 뒤집었을 때 연필꽂이 커버에 끈을 깔끔하게 달 수 있다.

4 창구멍을 통해 원단을 뒤집은 후 창구멍을 박음질로 막고 완성된 커버를 컵에 두른 뒤 끈을 리본으로 묶어서 고정한다.

CREDIT

에디터

TAGS
소담한 채소 밥상

소담한 채소 밥상

소담한 채소 밥상

나뭇가지에 파릇파릇한 새순이 들듯, 우리 집 밥상에 싱싱한 채소를 풍성하게 올려 건강한 색으로 물들여보자. 영양가 풍부한 채소 밥상 레시피.

 

봄나물 영양밥

맵쌀 1컵, 참나물 50g, 곰취 10장, 우엉 1대, 불린 표고버섯 2개, 죽순 30g, 은행 10알, 깐 밤 3개, 대추 2개, 다시마 1장, 깐 밤 3개, 청장 1 작은 술, 청주 1/2 작은 술, 참기름 • 식용유 조금씩, 양념장(달래 10줄기, 간장 3 큰 술, 고춧가루 • 참기름 1 큰 술씩, 깨소금 조금)

©MaisonKorea

 COOKING TIP

곰취는 너무 질기지 않고 부드러우며, 잎이 싱싱하며 선명한 녹색으로 고른다. 연한 잎을 깨끗이 씻어 냉동했다가 녹즙으로 사용해도 좋다. 참나물은 잎 크기가 미나리 잎처럼 작고 윤기가 돌며 밑줄기는 붉은빛이 나는 것이 싱싱하다.

1 쌀은 씻어서 30분간 불리고, 다시마는 2컵 분량의 물에 불려 다시마 우린 물을 만든다.

2 표고버섯은 먹기 좋은 크기로 썰고, 우엉은 껍질을 벗기고 어슷 썰어 물에 담가둔다.

3 죽순은 빗살 사이의 석회질을 제거해 썰고, 은행은 식용유를 두른 팬에 볶아 껍질을 벗긴다.

4 참나물과 곰취는 깨끗이 씻어 물기를 제거한 다음 참나물은 먹기 좋은 길이로 썰고, 곰취는 채 썬다.

5 달래는 깨끗이 씻어 물기를 제거하고 송송 썬 다음 분량의 재료와 모두 섞어 양념장을 만든다.

6 돌솥에 참기름을 두르고 센 불에서 쌀을 볶다가 다시마 우린 물과 청장, 청주, 밤, 대추, 우엉, 버섯, 은행을 넣어 밥을 짓는다.

7 밥물이 잦아들면 중간 불로 줄여 뚜껑을 덮고 뜸을 들인다.

8 완성된 밥을 주걱으로 잘 섞어 그릇에 담고 손질해놓은 참나물, 곰취와 양념장을 곁들여 낸다.

발사믹 검은깨 페이스트에 버무린

아스파라거스 샐러드

아스파라거스 4대, 껍질콩 70g, 레디시 2개, 소금 조금, 발사믹 검은깨 페이스트(검은깨 30g, 설탕 7g, 발사믹 식초 2 큰 술), 드레싱(포도씨 오일 3 큰 술,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오일 1 큰 술, 사과 식초 • 레드 와인 비네거 적당량씩, 셰리 비네거 1/2 작은 술씩, 소금 • 후춧가루 조금씩)

©MaisonKorea

COOKING TIP

아스파라거스는 선명한 녹색에 물기가 돌고 향기가 진할수록 신선하며 너무 굵지 않고 약간 두툼한 것으로 골라야 맛이 좋다. 드레싱에 사용하는 셰리 비네거는 셰리주를 오크통에 넣어 발효시킨 식초로 다른 와인 식초에 비해 과일 향이 풍부하며 산도가 낮고 훨씬 달콤한 것이 특징이다.

1 아스파라거스, 껍질콩은 끓는 소금물에 데쳐 찬물로 헹군 후 물기를 뺀다.

2 래디시는 얇게 슬라이스한다.

3 분량의 재료를 모두 섞어 드레싱을 만든다.

4 준비해 놓은 아스파라거스, 껍질콩, 래디시에 드레싱을 뿌리고 고루 버무린다.

5 검은깨를 절구에 담아 방망이로 가볍게 으깬 다음 설탕, 발사믹 식초를 넣고 다시 가볍게 으깨 페이스트를 만든다.

6 아스파라거스, 껍질콩, 래디시에 드레싱이 어느 정도 배면 5의 발사믹 검은깨 페이스트를 넣어 골고루 섞는다.

 

돌미나리 새우 라이스페이퍼 랩

새우 6마리, 돌미나리 1/4단, 돌나물 50g, 숙주 70g, 게맛살 3줄, 라이스페이퍼 6장, 소스(피시소스 • 생수 2 큰 술씩, 라임즙 • 설탕 3 큰 술씩, 다진 홍고추 • 다진 마늘 1 작은 술씩)

©MaisonKorea

COOKING TIP

돌미나리는 줄기가 연하고 선명한 녹색을 띠며 향긋한 냄새가 나는 것을 고르고, 돌나물은 잎이 도톰하고 작으며 신선한 것을 고른다. 돌나물 특유의 향미를 음미하고 싶다면 줄기를 잘라 깨끗이 다듬어 생채로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페이퍼 랩의 소스는 피시소스 대신 초고추장이나 초고추장을 베이스로 한 소스를 만들어 사용해도 좋다.

1 새우는 이쑤시개로 등 쪽의 내장을 제거하고 끓는 물에 데쳐 껍질을 벗기고 길이로 반 자른다.

2 돌미나리와 돌나물은 깨끗하게 다듬고 씻어 물기를 제거하고, 돌미나리는 잎 부분과 줄기를 먹기 좋은 크기로 썬다.

3 숙주는 머리와 꼬리를 떼고 끓는 물에 살짝 데쳐 물기를 제거한다.

4 게맛살은 잘게 찢는다.

5 분량의 재료를 섞어 소스를 만든다

6 라이스 페이퍼를 미지근한 물에 담가 부드럽게 불린 후 준비한 속 재료를 넣고 만다.

7 라이스 페이퍼 랩을 접시에 담고 소스를 곁들여 낸다.

CREDIT

에디터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