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채색이 지닌 힘, 우관중 국내 첫 단독전 ‘흑과 백 사이’

무채색이 지닌 힘, 우관중 국내 첫 단독전 ‘흑과 백 사이’

무채색이 지닌 힘, 우관중 국내 첫 단독전 ‘흑과 백 사이’

©HKMOA

중국 현대미술의 거장 우관중의 국내 첫 단독전 < 우관중 : 흑과 백 사이 >가 예술의 전당 서울서예박물관에서 개최합니다.

©HKMOA

색채 이론에서 검정, 흰색, 회색은 색상 채도가 없는 무채색 음영으로 간주되는데요. 과학적 관점에서 보면 검정과 흰색은 색깔이 아니라고 주장하기도 하지만, 예술에서는 오히려 다른 색채보다 더 강렬한 메시지를 전달하기도 합니다. 우관중은 일찍부터 예술의 본질을 뚜렷이 하는 무채색의 힘, 디자인 세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흑과 백의 색을 탐구해왔죠.

©HKMOA

전통 수묵화의 감성과 서양 모더니즘 표현 기법을 융합한 독창적인 화풍으로 평생에 걸쳐 동서양 예술의 조화를 탐구한 그는 무한한 상상력으로 흑과 백의 세계 속 발현되는 특유의 색채 미학을 깊이 있게 질문해왔습니다.

©HKMOA

“저의 예술적 여정은 고향인 강남 지역의 은회색 톤으로 시작되었으며, 시적인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평생 동안 저는 물의 마을과 끝없는 시적인 골목길이 있는 강남의 풍경을 그려왔습니다.

박힌 다채로운 점들은 그림 속의 진주와 보석, 일상생활의 의복과 같습니다.”

── 우관중 (1919 – 2010)

 

이번 전시에서는 홍콩예술박물관이 소장한 <두 마리 제비>, <강남 회상>, <수로> 등 홍콩예술박물관이 소장한 우관중의 대표작 17점을 소개하며, 작가의 글에서 직접 발췌한 인상적인 문구들과 함께 구성되었습니다.

©HKMOA

특히 홍콩 미디어 아티스트 장한겸 정이 제작한 몰입형 설치작품 <감성의 연못 – 서울 판> (Sentient Pond – Seoul Edition)도 선보입니다. 관람객은 인공 지능을 통해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각자의 고유한 회화와 우관중의 작품 세계를 기반으로 개발된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예술과 기술의 새로운 접점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동양과 서양을 잇는 섬세한 붓끝, ‘흑과 백 사이’ 피어나는 우관중의 폭넓은 예술 세계를 직접 만나보세요.

<우관중 : 흑과 백 사이>

기간 2025년 7월 25일(금) – 10월 19일(토)

시간 화-일 10:00 – 19:00 (월요일 휴무)

장소 예술의전당 서울서예박물관 제3전시실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406)

CREDIT

에디터

TAGS
돌로미티의 고요한 안식처, 아만 로사 알피나 오픈

돌로미티의 고요한 안식처, 아만 로사 알피나 오픈

돌로미티의 고요한 안식처, 아만 로사 알피나 오픈

대형 창문을 통해 탁 트인 전망을 선사하는 대자연은

모든 공간의 중심이 되어,

투숙객은 웅장한 자연 경관에 푹 빠져들게 된다.

©Aman

이탈리아 북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돌로미티 산맥 중심부에 위치한 ‘아만 로사 알피나 Aman Rosa Alpina’가 리노베이션을 마치고 새롭게 문을 열었다. 아만은 기존 호텔의 전통을 계승하는 동시에 브랜드 정체성을 반영해 공간을 다시 구성했다.

©Aman

이번 리노베이션은 아만의 오랜 파트너이자 세계적인 건축가 ‘장 미셸 개티 Jean-Michel Gathy’가 맡았다. 그가 설계한 51개의 객실과 스위트는 마을, 숲, 산맥을 향한 넓은 창과 발코니를 통해 대자연을 실내로 끌어들인다. 내부는 목재와 천연석 등 자연 소재로 마감해 주변의 자연을 더욱 가깝게 느낄 수 있도록 했다.

©Aman

객실 외에도 아만 특유의 프라이버시와 맞춤형 서비스가 호텔 전반에 적용됐다. 외부의 소음을 차단한 고요한 공간 안에서 투숙객은 오롯이 자신에게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을 누릴 수 있다.

©Aman

20미터 길이의 야외 온수 인피니티 풀, 실내 수영장, 핀란드식 사우나, 트리트먼트 공간 등 다양한 웰니스 시설도 갖췄다. 아만의 다른 호텔들과 마찬가지로 웰니스는 핵심 요소로 자리한다.

©Aman

미식 프로그램 역시 다양하다. ‘일 살로토 Il Salotto’는 낮에는 커피, 밤에는 칵테일과 라이브 음악을 제공하며, ‘더 그릴 The Grill’은 장작불로 조리한 해산물, 피자, 이탈리아식 스테이크 ‘비스테카 알라 피오렌티나 Bistecca alla Fiorentina’가 야외 테라스에서 제공된다. 겨울 시즌에는 일본식 레스토랑 ‘아카리 Akari’에서 사케를 곁들인 따뜻한 저녁이 제공된다. 와인 애호가라면 와인 라이브러리인 ‘디 비노 룸 Di Vino Room’에서 시음회를 예약해 여유를 더해도 좋겠다.

©Aman

아만 로사 알피나는 사계절 내내 매력을 발산한다. 여름과 가을엔 알프스의 청량한 자연과 트레킹, 겨울엔 돌로미티 슈퍼스키를 품은 스노우 스포츠 명소로 변신한다. 특히 자연과 도시 사이 균형을 원하는 이들에게 이만한 도피처도 없다.

©Aman

©Aman

CREDIT

에디터

TAGS
조개의 결이 빚어내는 우아한 식탁

조개의 결이 빚어내는 우아한 식탁

조개의 결이 빚어내는 우아한 식탁

바다가 품은 보물, 조개. 이제는 맛보는 것에 그치지 말고 식탁 위 탐나는 오브제로 초대할 때다. 고급스러운 광택과 독특한 무늬가 돋보이는 자개 테이블웨어를 큐레이션한 감각적인 브랜드들을 한자리에 모았다.

 

1 고하르 월드 Gohar World

©Gohar World

라일라 고하르의 유쾌한 상상력이 탄생시킨 ‘고하르 월드’의 자개 테이블웨어 컬렉션은 단순한 식기를 넘어, 식탁 위에 예술과 이야기를 더하는 오브제다. 새를 모티프로 한 샐러드 서버부터 귀여운 콩 모양 접시까지, 디테일 하나하나가 보는 재미를 선사한다. 오늘의 기분에 따라 이것저것 조합하다 보면, 평범한 식사도 유쾌한 테이블 모험으로 변신할 것이다.

WEB gohar.world

 

2 레 테므 LES THÈMES

©LES THÈMES

뮌헨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디자이너 겸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레베카 고다르가 전개하는 브랜드. 조개껍데기와 거북이 등 바다의 숨결이 깃든 소재를 활용한 테이블웨어를 선보인다. 부채꼴 모양의 서빙 스푼과 테슬 장식이 달린 접시 등 한 끗 다른 디테일이 남다르다. 작은 오브제지만, 테이블 위 무드는 분명히 달라질 것이다.

WEB lesthemes.com

 

3 센타 Centa

©Centa

로에베, 자라, H&M 등의 브랜드들과 협업을 이어온 크리에이티브 스튜디오. 푸드 스타일링부터 플로럴 디자인, 아트 디렉션까지 다방면에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시그니처 테이블웨어인 조개 와인잔은 실제 조개의 원형을 그대로 살린 것이 특징. 잔마다 다른 조개의 형태가 저마다의 개성을 더하며, 스템은 유리와 은 중 선택이 가능해 취향에 맞게 연출할 수 있다.

WEB centaproject.com

 

4 쿨투라 Kultura

©Kultura

필리핀 현지의 장인 정신을 발굴하고 소개하는 브랜드로, 커틀러리를 비롯한 다양한 자개 테이블웨어 제품을 만나볼 수 있다. 자개 조각을 모자이크처럼 정교하게 조합한 코스터와 트레이는 물론, 소라, 가리비, 함박조개 등 실제 조개의 형태를 그대로 담아낸 냅킨 링까지. 조개가 선사하는 무궁무진한 변주가 테이블 위에 매력적인 포인트가 되어준다.

WEB kulturafilipino.com

 

5 로렌지 밀라노 Lorenzi Milano

©Lorenzi Milano

그릇이나 커틀러리처럼 익숙한 테이블웨어가 아닌, 한 끗 다른 식기를 찾고 있다면 로렌지 밀라노에 주목할 것. 이탈리아 라이프스타일 브랜드인 이곳은 숙련된 장인들의 손길로 자개를 활용한 수준 높은 오브제를 완성한다. 특히 자개를 활용한 제품군은 애피타이저 볼과 아이스크림 메이커, 소금과 후추 분쇄기, 반숙 달걀용 식기 세트에 이르기까지 다채롭다. 로렌지 밀라노가 하나의 소재로 펼쳐낸 상상력을 우리 집 테이블에서 직접 만나보는 것은 어떨까?

WEB lorenzi-milano.com

 

6 엔알세라믹스

©엔알세라믹스

도예가 이누리가 이끄는 브랜드로, 세라믹, 나무, 유리, 오닉스 등 다양한 자연 소재를 활용해 완성도 높은 수공예 테이블웨어를 선보인다. 그중 자개를 사용한 시리즈는 모자이크와 마블 패턴을 가미해 조개 고유의 결과 무늬를 섬세하게 표현했다. 버터나이프, 수저받침 등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아이템들로 구성되어 실용성과 아름다움을 동시에 만족시키기에 제격이다.

WEB nrceramics.com

CREDIT

어시스턴트 에디터

김가은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