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마이애미 최초 아시아 전시, DDP에 펼쳐진 한국의 빛

디자인 마이애미 최초 아시아 전시, DDP에 펼쳐진 한국의 빛

디자인 마이애미 최초 아시아 전시, DDP에 펼쳐진 한국의 빛

세계가 주목한 한국 디자인,

서울의 상징적 건축물에서 창작의 빛을 비추다.

서울디자인재단이 DDP에서 열리는 ‘디자인 마이애미 Design Miami’ 서울 전시의 하이라이트를 일부 공개했습니다. 2025년 9월 1일부터 14일까지 DDP에서 열리는 디자인 마이애미는 170여 점에 이르는 작품을 통해 한국 디자인의 감각과 철학을 세계에 소개할 예정인데요. 한국어 ‘조명 照明’에서 영감을 받은 전시 ‘Illuminated’는 시대와 장르를 넘나들며 한국 디자인의 다채로운 스펙트럼을 조명합니다. 전시에는 세계적 디자인 갤러리 16곳과 국내외에서 주목받는 작가 71명이 참여해 다양한 소재를 통해 한국의 미학을 현대 디자인 언어로 재해석한 작업들을 모았습니다.

최병훈, (Afterimage of beginning 018-499), 2018

한국 디자인은 단순히 전통을 재현하거나 현대성을 추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옛것과 새로운 것의 균형을 기반으로 독창적인 미감을 형성해왔습니다. 유교적 가치에 뿌리를 둔 세대 간 존중과 교류는 한국 디자인 감수성의 출발점이며, 이번 전시에서 과거와 현대의 언어를 시각적으로 풀어낸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손동훈, (Blue and Orange Bar Stool), 2025, SIDE Gallery,

김민재, (Ruffled Chair), 2025

박원민, (Stone & Steel Bench), 2025, 카펜터즈 워크숍 갤러리

큐레이터 조혜영은 이번 전시에서 협업과 관점 교류를 전시 기획의 중심 전략으로 제시한다고 밝혔습니다. 전통에 뿌리를 두면서도 세계적 흐름과 맞닿아 있는 한국 디자인은 글로벌 디자인 흐름에서도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고 있죠. 디자인 마이애미라는 세계적 플랫폼과의 협업은 서울이 디자인 도시로서 갖는 의미를 재조명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정다혜, (A Time of Sincerity), 2025, 솔루나 파인 크래프트

한국 디자인의 또 다른 핵심 가치는 ‘공예와 물성’에 대한 깊은 존중입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도 재료에 대한 존중과 느린 호흡의 장인 정신, 세심한 재료 탐구는 여전히 중요한 가치로 여겨지고 있는데요. 이번 전시에 참여한 작가들은 이러한 철학을 작업에 담아 공예가 지닌 가치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김경희, (Door), 2022

또한, 한국 디자인은 자연에 대한 존중과 오랜 시간 쌓여온 보존 기술에 기반합니다. 한국의 보존 기술은 식문화부터 유물 관리까지 오랜 시간에 걸쳐 발전하며 다양한 분야에 녹아 있습니다. 특히 김경희 작가는 전통 보자기에서 영감을 받은 실크 오간자를 활용한 누빔 작품을 선보이며, 한국 고유의 지속 가능성과 순환 미학을 재해석합니다.

한편, 전시 외에도 디자인 분야의 주요 이슈를 다루는 토크 프로그램과 VIP 프로그램도 진행됩니다. 다층적이고 역동적인 도시 서울에서 디자인 커뮤니티의 만남과 교류가 활발하게 열릴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창작의 빛: 한국을 비추다(Illuminated: A Spotlight on Korean Design)》

일시 2025년 9월 1일(월) ~ 2025년 9월 14일(일)

장소 동대문디자인플라자 DDP 이간수문전시장

CREDIT

에디터

TAGS
소장품 2500점 최초 공개, 까르띠에 재단의 새로운 시작

소장품 2500점 최초 공개, 까르띠에 재단의 새로운 시작

소장품 2500점 최초 공개, 까르띠에 재단의 새로운 시작

팔레 루아얄로 이전한 까르띠에 재단이

첫 전시 <Exposition Générale>를 개최한다.

 

까르띠에 현대미술재단 Fondation Cartier pour l’art contemporain이 2025년 가을, 파리 중심부 팔레 루아얄 광장에서 새로운 시작을 알린다. 14구 몽파르나스에서 자리를 옮긴 재단은 루브르 박물관 인근 8,500㎡ 규모의 건물에서 새롭게 문을 연다. 리노베이션은 장 누벨이 맡았다.

새 공간은 컨탬포러리한 전시 공간뿐 아니라 레스토랑, 사무실 등을 포함한 복합 문화 공간으로 구성된다. 개관과 함께 열리는 첫 전시는 재단의 회고전 성격을 띤 <Exposition Générale>. 1984년 이후 재단과 협업한 100여 명의 작가가 참여하며 약 600점의 작품이 전시된다.

전시는 2025년 10월 25일부터 2026년 8월 말까지 이어지며 론 뮤익, 데이비드 린치 등 세계적인 작가들이 설치미술, 조각, 회화, 사진 등 다양한 장르의 작업을 선보인다. 재단이 소장한 2,500여 점의 작품도 처음으로 공개된다.

까르띠에 재단은 이번 전시를 통해 40년간 구축해온 예술적 정체성을 정리하고 새로운 공간에서의 방향성을 제시할 예정이다. 파리 중심부에 새롭게 자리 잡은 문화 공간에서 현대미술의 흐름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기회. 올가을 파리를 찾는다면 체크리스트에 포함해두자.

CREDIT

에디터

TAGS
페달 빈 말고 타운하우스? Vipp, 프랑스 게스트하우스 오픈

페달 빈 말고 타운하우스? Vipp, 프랑스 게스트하우스 오픈

페달 빈 말고 타운하우스? Vipp, 프랑스 게스트하우스 오픈

페달 빈에서 출발한 덴마크 디자인 브랜드

‘빕 Vipp’이 프랑스 남부 라그라스 Lagrasse에

12번째 게스트하우스를 선보였다.

©Vipp

지난 10년간 Vipp은 브랜드 철학과 제품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전 세계에 예약형 게스트하우스를 운영해왔다. 이탈리아 풀리아의 빌라, 덴마크 콜드 하와이의 해변 숙소, 라트비아의 19세기 통나무집 등 각 공간은 지역성과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동시에 담아낸다.

©Vipp

이 라인업에 새롭게 추가된 프랑스 라그라스 하우스는 1350년대에 지어진 중세 타운하우스를 개조한 공간이다. 2년에 걸쳐 진행된 리노베이션은 프랑스 문화재 보존 지침을 따라 철저하게 복원되었으며 외벽의 두꺼운 돌담과 경사진 타일 지붕, 작은 창문 등 역사적 요소는 그대로 유지했다.

실내는 인테리어 디자이너 줄리 클루스 묄스가르드 Julie Cloos Mølsgaard가 설계했다. Vipp 특유의 미니멀한 감성 위에 다양한 질감을 조화롭게 더해, 중세 외관과는 대조되는 현대적인 분위기를 완성했다. 스테인리스 스틸, 대리석, 자갈, 석고 등 이질적인 소재들이 절제된 방식으로 배치돼 공간에 깊이를 더한다.

©Vipp

1층 라운지는 자갈 바닥과 따뜻한 톤의 벽면으로 마감해 마을의 거리와 수도원의 질감을 반영했다. 특히 지역 금속 세공 장인 알레한드로 베르콘스키 Alejandro Berconsky가 제작한 금속 계단은 조형물처럼 실내 중심에 배치되어 공간에 강한 존재감을 남긴다.

©Vipp

©Vipp

2층에는 Vipp의 V3 주방 아일랜드, 원형 테이블, 그리고 피에르 프레이의 투톤 패턴으로 마감한 스페셜 에디션 회전 의자가 놓였다. 회전 의자는 이번 프로젝트를 위해 특별 제작된 모델. 주방은 투숙객이 직접 요리하고 식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일상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머무는 구조다.

©Vipp

©Vipp

©Vipp

3층은 메인 침실과 욕실이 있다. 현지에서 공수한 붉은 대리석으로 만든 넓은 독립형 샤워부스와 Vipp 욕조 모듈과 세면대가 설치됐다. 침실에는 또 다른 테이블을 두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Vipp

©Vipp

빕의 공동 대표 카스퍼 에겔룬드 Kaspar Egelund는 “이번 프로젝트는 건물의 역사와 브랜드의 미래를 연결하는 다리이자 빕 게스트하우스 스토리의 새로운 장”이라고 전했다. 라그라스 오픈과 함께 전 세계 게스트하우스를 상징하는 새로운 키 스트랩 디자인도 공개됐다.

©Vipp

Lagrasse Vipp 게스트하우스는 침실 1개, 성인 2인 기준으로 1박 약 71만 원. 숙박 예약 및 상세 정보는 Vipp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Vipp

웹사이트 Vipp.com

CREDIT

에디터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