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 Magician Time Magician Time Magician By 원지은| 시계가 아닌 시간을 보는 방법을 디자인한다. 스튜디오 웬은 쳇바퀴처럼 굴러가는 세상의 시간을 새롭고 흥미롭게 바라보는 방법을 제시한다. 때에 따라 벽에 걸어 시계로 활용하거나 12개의 물결무늬가 만들어낸 은은한 그림자가 아름다워 오브제로서의 역할도 톡톡히 해내는 고스트 클럭. By 원지은|
이것이 이탈리아 장인 정신 이것이 이탈리아 장인 정신 이것이 이탈리아 장인 정신 By 신진수| 세계적인 사진작가 팀 워커와 토즈 Tod’s가 함께 만든 ‘장인 정신의 미학 The Art of Craftsmanship’ 프로젝트를 보고 있으면 이탈리아 라이프스타일과 장인 정신을 이처럼 위트 있게 소개할 수 있다는 데 미소가 지어진다. 팀 워커는 점점 더 소중해지고 있는 장인 정신과 By 신진수|
나와 나 사이 나와 나 사이 나와 나 사이 By 강성엽| 당신의 삶에서 당신은 있는 그대로 온전한가요? 김희수 작가는 가늘게나마 떴던 눈을 다시 감았다. 불안으로 점철됐던 일상이 다시 반짝거렸다. 지하 1층과 1층을 ‘자문’ 시리즈로 구성한 전시 전경. 전시 제목이 <Monologue>예요. 혼자서 묻고 답하는 독백을 뜻하는데, 이번 By 강성엽|
춤을 추듯 유연하게 춤을 추듯 유연하게 춤을 추듯 유연하게 By 원지은| 스페이스비이 Space B-E에서 격자 형태의 그리드 시스템을 건축의 요소로 해석한 위트 있는 전시를 열었다. <댄싱 그리드 Dancing Grid>전이 바로 그것. 건축과 공예 분야에 몸담고 있는 15명의 작가가 그리드를 시작으로 창의성의 확장과 변형에 관한 이야기를 다루며 새로운 창작 패러다임을 선보였다. By 원지은|
Picasso Celebration Picasso Celebration Picasso Celebration By 원지은| 20세기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파블로 피카소가 무갱의 노트르담 드 비 자택에서 별세한 지 50주기를 맞이하는 올봄, 파리 국립 피카소 박물관에서 특별한 전시를 선보인다. 영국 디자이너 폴 스미스를 초빙해 그의 아티스틱 디렉션으로 재해석한 전시를 마련한 것. 폴 스미스는 박물관이 By 원지은|
건축가 조 나가사카의 모험 건축가 조 나가사카의 모험 건축가 조 나가사카의 모험 By 이소영| 아라리오갤러리 서울이 장소를 옮겨 다시 문을 열었다. 일본 건축가 조 나가사카가 1990년대 지은 벽돌 건물을 갤러리로 새롭게 디자인했다. 6층 VIP 공간은 화이트 큐브가 필요 없기 때문에 통유리창을 만들어 창덕궁 전망을 감상할 수 있다. 키친도 마련해 VIP를 위한 By 이소영|
목탄으로 써내려가는 이야기 목탄으로 써내려가는 이야기 목탄으로 써내려가는 이야기 By 강성엽| 청신 작가의 그림은 주말 오전의 순간을 포착한 듯 여유롭고 넉넉하다. 작품 속 배경을 닮은 동화적인 작업실에서 그녀를 만났다. 작업실 곳곳에 진열된 오브제는 작가의 의식 속에 입력되어 작품으로 탄생한다. 선명한 노란색 에너지가 완연하게 느껴지는 작품의 첫인상이 By 강성엽|
뿌리깊은 나무 뿌리깊은 나무 뿌리깊은 나무 By 신진수| 이탈리아의 역사 깊은 텍스타일 브랜드 라네로시 Lanerossi가 로베르토&세라피니 팔롬바가 이끄는 팔롬바 세라피니 스튜디오와 협업한 블랭킷 라디치 Radici를 만들었다. 캔버스에 정교하게 그린 듯한 나무가 그려진 블랭킷은 총 5가지 색상으로 만나볼 수 있는데 견고하고 단단하게 뿌리내리고 위로 퍼져나가는 나무의 모습은 브랜드의 By 신진수|
모험하듯 자유롭게 모험하듯 자유롭게 모험하듯 자유롭게 By 김민지| 흙으로 도자기를 빚는 조유연과 그 위에 그림을 그리는 김지은. 아뜰리에 유지는 지금도 여전히 긴 여행 중이다. 따뜻한 질감과 이야기가 전해지는 아뜰리에 유지의 다양한 기물. 원형 그릇은 남편 조유연을 그린 것. 아뜰리에 유지 Atelier Yuji의 작품을 By 김민지|
KOREAN STILL LIFE KOREAN STILL LIFE KOREAN STILL LIFE By 김민지| 2023년, 지금의 우리 공예가 담긴 모던 책거리. TABLEWARE 기물이 빚어낸 테이블 위의 흥취 1 노송을 연상시키는 분재는 에세테라. 2,9 음식을 나르는 전통 소반인 ‘공고상’에서 영감을 받아 디자인한 문소반과 흰색 전통 소반은 스튜디오 오수. 3,10,25 검은색 다관과 사발, By 김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