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ENES ON THE SEINE SCENES ON THE SEINE SCENES ON THE SEINE by 메종| 파스칼과 티에리의 플로팅 하우스에서는 지루할 틈이 전혀 없다. 이 부부는 이곳을 꾸미는 데 있어 실내건축가 자비에 드 생 장에게 전권을 주었다. 아주 풍부하고 절충적인 인테리어는 공간을 드라마틱하게 만든다. 평온한 삶의 장면. 테라스는 센강과 바로 맞닿아 있다. 카나페 ‘카놀레 Cannole’는 by 메종|
NEW HERITAGE NEW HERITAGE NEW HERITAGE by 원하영| 김나연 작가 김수연 작가 임서윤 작가 신세계백화점이 한국적 라이프스타일의 본질을 조명하는 브랜드 하우스오브신세계 헤리티지를 론칭한다. 공예의 귀한 가치와 정성이 담긴 선물을 제안하는 이 공간은 전시와 워크숍, 디저트 살롱, 기프트 숍을 아우르며 전통과 현재를 잇는 by 원하영|
The Art of Nature The Art of Nature The Art of Nature by 문혜준| 보르도의 포도밭 속,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완벽한 휴식처. 레 수스 드 꼬달리는 와인의 본고장에서 경험하는 가장 순수한 웰빙과 테라피를 선사한다. 목가적인 풍경이 펼쳐지는 레 수스 드 꼬달리의 외관. 직접 관리하는 포도밭에서는 투어를 통해 농장에서 생성된 1, 2급 by 문혜준|
빛과 공간의 예술 빛과 공간의 예술 빛과 공간의 예술 by 원하영| 루이스폴센이 덴마크의 전설적인 디자이너 빌헬름 라우리첸의 ‘VL 45 라디오하우스 컬렉션’을 새롭게 선보인다. 공간을 빛으로 채우는 예술적 철학이 다시금 빛을 발하고 있다. 공간을 변화시키는 가장 강력한 요소는 빛이다. 조명은 단순히 기능을 넘어 분위기를 조성하고 감각을 확장하는 역할을 한다. 루이스폴센은 이 본질을 by 원하영|
자연이 빚은 휴식 자연이 빚은 휴식 자연이 빚은 휴식 by 원하영| 17세기 수도원을 품고, 록시땅의 철학을 담은 스파 호텔, 르 쿠방 데 미님. 프로방스의 자연 속에서, 몸과 마음의 진정한 회복을 찾을 수 있는 특별한 공간이다. 수영장 위로 계단식 테라스 정원이 펼쳐지는 호텔 전경. 올리브 나무와 라벤더, 로즈마리, 세이지 등 지중해 by 원하영|
골목에 피어난 작은 도시 골목에 피어난 작은 도시 골목에 피어난 작은 도시 by 문혜준| 도심 속 힐링의 가치를 담아 탄생한 공간, 페즈. 한남동 골목에 자리한 곳으로서 자연, 문화, 공동체가 공존하는 ‘최소 단위의 도시’를 지향하며 지역 커뮤니티를 형성해가고 있다. 지난해 말, 한남동의 한 구석진 골목에 4층 규모의 새로운 커뮤니티 몰이 문을 열었다. 벽돌과 나무라는 건축적 by 문혜준|
Fabric Landscape Fabric Landscape Fabric Landscape by 원하영| 자연에서 영감을 얻은 유기적인 질감부터 예술적 터치를 가미한 대담한 패턴까지, 한층 깊이 있는 공간을 만들어가는 2025 패브릭 컬렉션을 소개한다. 보기만 해도 시원한 아쿠아 컬러의 울 새틴 소재에, 핸드 자수와 드로잉으로 이국적인 풍경을 완성한 ‘자자’ 컬렉션. 아르데코의 유산, 드 by 원하영|
Elevated Harmony Elevated Harmony Elevated Harmony by 원하영| 허드슨강의 탁 트인 전망을 배경으로, 기능성과 아름다움을 동시에 담아낸 맨해튼 펜트하우스. 컬렉터블 디자인과 맞춤 가구가 조화를 이루며 가족과 손님을 위한 완벽한 공간으로 완성되었다. 허드슨강이 보이는 패밀리 룸. 소파와 벽면 스틸 책장은 줄리 힐만이 직접 제작한 것. 책장 앞 하프 by 원하영|
대화하는 예술 대화하는 예술 대화하는 예술 by 원지은| ‘나’를 돌아다니는 시간 속에서, 대화는 예술이 되고 존재는 형상이 된다. TTOS 다이얼로그 갤러리는 완성된 작품을 감상하는 곳이 아니다. 이곳에서의 대화는 예술로 전환되고, 관객은 작품의 일부가 된다. 세 개의 스크린에 띄운 사진 작품 <죽은 나무–가장 강력한 생명>은 하얗게 말라 죽은 by 원지은|
감각을 깨우는 예술 감각을 깨우는 예술 감각을 깨우는 예술 by 원하영| 향과 차, 공예의 그윽한 품격을 경험할 수 있는 ‘일지’의 새로운 공간. 청자 삼족 향로, 오리 향로 등 다양한 형태의 향로. “영어에는 ‘향기’라는 단어가 없어요. 좋은 냄새와 나쁜 냄새뿐이죠. 우리 동양 언어에서는 향을 왜 ‘기(氣)’와 같이 사용했을까요? 좋은 냄새에 by 원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