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재에도 흔들리지 않은 LA 게티 미술관. 철저한 방화 시스템과 혁신적 설계로 예술품을 보호하며, 문화 유산을 지키는
모범적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위기 속에서도 예술을 보존하고 나누는 게티의 역할이 더욱 빛난다.

게티 미술관 전경.

로버트 어윈이 디자인한 게티 미술관의 센트럴 가든.

전 세계인 모두를 안타깝게 한 지난 LA 지역 산불 모습.
지난 1월 초, 미국 LA 지역에 일어난 거대한 산불은 세계인 모두를 안타깝게 했다. 건물 1만2000여 채가 파괴되었고, 10만 명 이상의 주민이 대피해야 했다. 사망자가 24명이나 발생하는 등 약 한 달 동안 지속된 화재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다. 불길이 번져가면서 사람들이 걱정한 또 하나의 요충지는 바로 LA 게티 미술관이다. 부지 면적 약 46만8377㎡(14만 평)에 6개 건물과 가든으로 이루어진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대형 미술관이자 가장 큰 미술도서관이 있는 지역이기 때문이다. 약 13만 점에 달하는 소장품 중에는 대중에게 잘 알려져 있는 반 고흐의 아이리스, 렘브란트의 자화상 등이 있으며, 로마 및 에트루리아의 유물에서부터 현대 사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를 포함한다. 다행히 화재는 게티 미술관 인접 2km 부근에서 멈췄다고 한다. 그러나 화재에 대비해 소장품을 옮길 필요는 없었다. 1974년 리처드 마이어 설계로 미술관을 계획할 때부터 철저히 방화 시스템을 갖춰 지어졌고, 관리도 철저했기 때문이다. 설계에서 시공까지 13년이 걸려 1997년 개관한 미술관은 철저한 방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미술관의 첫인상을 만들어내고 있는 하얀 베이지 톤의 돌 건물이 바로 내화성 석회암 재료인 트래버틴이며, 지붕은 잘게 자른 돌로 덮어 불씨가 붙지 못한다. 주변 조경도 내화성이 뛰어난 관목으로 조성했다. 빨리 타지 않는 참나무, 물을 많이 함유하는 아카시아 등을 선택하고, 상시 잡초를 제거하는 등 철저히 관리하고 있다. 지하에는 약 380만L의 물이 저장된 물탱크가 있고, 파이프에는 스프링쿨러가 연결되어 있다. 단, 미술 작품이 있는 공간이기 때문에 건물 내부의 스프링쿨러는 최후의 수단으로 작동한다. 각 전시실은 독립형 구조로서, 건물 안에 또 다른 작은 박스가 있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화재 시 자동 방화문이 닫혀 불길 번짐을 막아주고 연기를 차단하는 특수 공기 시스템이 갖춰져 있다. 이번 화재는 게티 미술관의 진가를 다시 한 번 확인한 계기였다. 게티 미술관은 지진에 대해서도 철저한 대비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고 한다. 이번 화재를 계기로 세계 각국의 언론이 게티 미술관의 철저한 화재 대비 시스템을 분석하며, 문화 기관의 모범으로 삼으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그동안 미술품 창고에서 화재가 일어나 큰 손실을 보았다는 뉴스가 종종 있었기 때문이다. 2004년 영국 런던의 모마트 미술품 창고의 화재로 유명 컬렉터 찰스 사치의 소장품이 불타버린 사건은 지금까지 회자되고 있고, 지난 2월 초에는 용산 국립한글박물관 공사 중 화재로 인해 일부 소장품을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이송하는 사건도 있었다. 이번 LA 재로 예술가 또는 컬렉터의 집이나 창고에 있는 작품들도 상당수 손실되었을 것이다.

적극적인 구호 활동을 펼친 프리즈 로스앤젤레스.
게티 미술관에서는 ‘LA 아트 커뮤니티 화재 구호 기금’을 긴급 발족시켜, 예술가와 예술 종사자들에게 도움의 손길을 건네는 운동을 진행 중이다. 주요 미술관과 재단이 기금 모음에 협력할 뿐 아니라, 게티 미술관 홈페이지 메인에 이 프로젝트를 소개해서 누구나 전자 결제를 통해 소액 지원금을 즉시 건넬 수 있게 한 것도 인상적이다. 또한 피해를 입은 예술가와 예술 종사자는 즉시 긴급 지원금을 신청할 수도 있다. 프리즈 아트 페어의 개최 여부가 불투명하다는 의견이 나오기도 했지만, 예정대로 문을 열어 구호 활동과 적극 연대하는 정책을 마련했다. 화재로 인해 아트 페어에 참여하지 못한 갤러리를 위해 부스 한쪽에 작품 전시 공간을 내주거나, LA 거주 아티스트들의 작품을 적극 소개하고 판매 수익금을 기증하는 등이다. 뜻밖의 화재였지만, 이로 인해 LA 아트 커뮤니티의 결속력과 화재에 대한 경각심은 더욱 높아질 것이 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