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페어의 열기를 뒤로하고, 3일간 머물며 발견한 인상적인 장소들.
호텔, 갤러리, 디자인 숍, 레스토랑과 카페까지 코펜하겐의 낮과 밤을 즐길 수 있는 투어 가이드.
손끝의 조형, 루이스 로
한때 온라인으로만 동경하던 오브제 브랜드 루이스로를 직접 마주하게 된 순간. 2018년 오픈한 루이스 로 갤러리는 브랜드의 조형적 미학을 오롯이 체험할 수 있는 곳이다. 미니멀하지만 결코 평면적이지 않은 디자인, 재료 고유의 질감과 형태에 집중한 조형 언어가 공간 전체를 채운다. 스툴, 글라스, 오브제, 조명 하나하나가 단정한 조각처럼 놓여 있고, 갤러리 한쪽에는 로컬들이 사랑하는 카페 ‘더 로 바 The Roe Bar’가 함께 자리한다. 이번 3dd에서는 디자이너 듀오 멘체 오텐스타인과 루이스 로 앤더슨의 협업으로 완성한 새로운 가구와 오브제를 대거 선보이기도 했다.
무채색 풍경, 스튜디오 올리버 구스타프
코펜하겐 기반의 디자이너 올리버 구스타프의 스튜디오. 역사적 뮤지엄 빌딩을 개조해, 그의 독창적인 ‘멜랑콜리적 순수미’를 경험할 수 있는 곳이다. 자체 제작 가구 라인과 리미티드 오브제, 세계 각국에서 엄선한 디자인 제품, 희귀 앤티크로 가득하다. 15년간의 세계 탐험에서 비롯된, 장르와 시대를 초월하는 모노크롬적 미학이 오감을 사로잡는다. 현재 이곳에서는 미셸 라미와 함께한 전시 이 열리고 있다. 릭 오웬스의 조각 같은 가구를 중심으로, 스칼렛 루즈, 지오반니 바산 등의 예술 작품이 공간을 채운다. 사전 예약은 필수며, 운이 좋다면 열정 가득한 구스타프의 큐레이션 아래 전시를 관람할 수 있다.
50년대로의 체크인, 호텔 알렉산드라
덴마크 디자인의 황금기이던 1950년대를 고스란히 품은 부티크 호텔. 핀 율, 아르네 야콥센, 베르너 팬톤 등 데니시 모던을 대표하는 디자이너들의 오리지널 가구가 객실마다 놓여 있다. 각기 다른 디자이너에서 영감을 받아 꾸민 22개 객실은 작지만 조화롭고, 시대적 디테일을 충실히 재현하고 있다. 맞춤형 멀티 퍼니처, 우드 톤 중심의 따뜻한 소재감, 최소한의 조명까지. 작지만 포근했고, 무엇보다 폭 안기는 듯한 침대 덕분에 꿀잠이 가능한 곳. 호텔에서 운영하는 자전거 렌털 서비스도 꼭 이용해볼 것! 도시를 천천히 둘러보기에 이보다 더 코펜하겐다운 방법은 없으니까.
탐독하는 서점, 뉴 맥스
책과 예술이 만나는 공간. 2016년 덴마크 유틀란드의 호르센스에서 예스퍼스반가드와 예스퍼 옥스홀름 미켈센에 의해 설립되어, 2021년 코펜하겐 첫 쇼룸으로 확장됐다. 놈 아키텍츠의 요나스 비에르 푸울센이 설계한 쇼룸은 고전 도서관의 품격을 현대 노르딕 감각으로 재해석했다. 그저 책을 진열하는 데 그치지 않고, ‘머물며 탐독’하고픈 분위기가 특징. 이번 3dd 기간에는 펌리빙과 함께 욘 웃손의 집에서 영감을 받은 전시와 북토크를 선보이며 책과 공간, 디자인을 입체적으로 엮어낸 바 있다.
낯선 호텔의 등장, 호텔 프라이하븐
노르드하븐은 코펜하겐 북동쪽 끝자락으로서, 오래된 항구를 재생해 만들어진 신흥 개발지다. 산업 유산을 그대로 품은 이곳엔 지금도 새 건물이 계속해서 들어서고 있고, 바다와 메트로가 공존하는 드문 구조 덕에 조용하고 느리게 흐른다. 이곳에 새롭게 등장한 호텔 프라이하븐 Frihavn은 이번 3dd 기간에 기자단을 위해 단 3일간 사전 오픈을 했다. 아직 구글 검색도 되지 않고, 외벽 공사가 한창이었다. 방 구조는 꽤 독특한 편이다. 낮은 계단을 몇 개 오르면 침대가 있고, 다시 계단을 타고 내려가면 아주 작은 라운지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대리석 위에 나무로 짠 의자 2개, 침대와 연결된 작은 책상과 벽 조명 등 호텔보다는 디자인 레지던시 성격에 가까워 보인다. 호텔 바로 앞엔 아틀리에 셉템버가, 가까운 거리엔 오도 하우스 호텔이 있다. 정식 오픈은 8월이다.
현대미술의 심장, 코펜하겐 컨템포러리
현대미술을 사랑한다면 반드시 들러야 할 곳. 리프스할레 섬의 대형 용접 공장을 개조해 만든 7000㎡ 규모의 국제 아트센터로 설치미술, 퍼포먼스, 비디오아트 등 대규모 현대미술을 전시한다. 2016년 설립 이래 요코 오노, 브루스 나우먼, 클라우디아 콤테 등 세계적 아티스트들의 전시를 개최해왔다. 현재는 전시 가 진행 중이다. 인간과 기계 사이의 감정, 정체성, 기술의 윤리를 탐색하는 15개 팀 작가들이 각자의 언어로 미래 기술 생태를 표현한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자전거를 타고 갈 계획이라면, 근처 코펜하겐 스트리트 푸드 마켓에서 음식을 즐기거나 항구를 바라보며 여유를 만끽해볼 것을 추천한다.
한입의 코펜하겐, 스튜디오×키친
코펜하겐 중심가, 프레데릭스스타덴 인근의 가장 트렌디한 카페 중 하나. 아틀리에 셉템버, 프라마, 보테가 발리에 등과 함께 이 지역 특유의 ‘쿨 바이브’를 퍼뜨린다. 이 힙하면서도 활기찬 분위기 속에서, 스튜디오×키친은 벨기에 듀오 뮬러 반 세베른의 디자인 가구들이 중심을 이루는 공간이다. 미니멀하면서도 차가운 듯 세련된 노르딕 감성을 전한다. 아침엔 커피와 조식, 낮에는 가벼운 런치와 달콤한 페이스트리를 즐길 수 있다. 피크 타임에 방문하면 오랜 시간 웨이팅하게 될 수 있으니 붐비는 시간을 피할 것!
시대를 넘나드는 안목, 뤼 베르트
1994년, 미칼라 예센이 설립한 뤼 베르트는 코펜하겐 디자인 신의 상징 같은 존재다. 1700년대 건물 특유의 우아함 위에, 동시대 디자인과 빈티지 오브제를 절묘하게 조율해 감각적인 공간을 완성한다. 한 점 한 점 선별한 아트 피스와 가구가 어우러진 쇼룸에는 시간의 결이 느껴지고, 같은 공간에 자리한 뤼 베르트 갤러리는 덴마크에서는 좀처럼 보기 힘든 신진 및 기성 작가들의 전시도 이어진다. 이번 3dd 기간에는 세계 각지의 디자이너들과 협업한 하이엔드 가구와 예술 오브제를 큐레이션해, 뤼 베르트만의 안목이 돋보이는 특별한 쇼케이스를 펼쳤다.
한낮의 낭만, 라 반치나
코펜하겐에서도 독보적인 존재감을 가진 곳. 항만 노동자들의 대기실로 사용되던 작은 목조 건물에 들어선 레스토랑 겸 와인바. 매일 아침 조식을 시작으로, 그날그날의 농장에서 직접 들여온 재료로 만든 요리를 선보인다. 메뉴에는 고기가 없고, 대신 신선한 생선 요리와 커피, 구운 빵, 내추럴 와인이 자리한다. 메뉴는 매일 창문에 써 붙인다. 예약 없이 매력적인 블루 하우스 안팎 어디든 자리를 잡으면 된다. 레스토랑 옆 부두에서는 연중 수영을 즐길 수 있고, 웹사이트를 통해 사우나도 예약할 수 있다. 데크에 자리를 잡고 하나둘 물속으로 뛰어드는 코펜하겐 사람들을 바라보며 ‘이곳이야말로 천국이 아닐까’ 싶던, 그 여유롭고도 아름다운 풍경이 아직 눈에 선하다.
미쉐린 스뫼레브뢰드, 아만스 1921
스뫼레브뢰드 하나로 미쉐린의 주목을 받은 곳. 덴마크 점심 문화의 품격을 완전히 새로 쓴 레스토랑 아만스 1921은 아담 아만스가 2006년 문을 연 이래, 한때 저급한 패스트푸드로 치부되던 오픈 샌드위치를 섬세한 요리로 끌어올렸다. 직접 갈아 만든 사워도우 호밀빵 위에 수제로 마리네이드한 청어, 크리미한 무스, 신선한 채소와 크런치한 토핑이 정교하게 겹쳐진다. 그 완성도는, ‘오픈 샌드위치계의 에르메스’라 불릴 만하다. 정통 덴마크식으로 즐기고 싶다면, 스뫼레브뢰드 한 접시에 덴마크 스타일의 샷 스냅스를 곁들여보자. 허브를 우려낸 스냅스는 매끄러우면서 깊은 풍미로 음식의 감도를 한층 끌어올려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