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미엄 와인 수입사 노던테라의 임태선 대표가 알려주는 캘리포니아 와인의 세계.

페렌 와이너리의 포도밭 전경.

페렌의 포도밭에서 서서히 익어가는 포도들.
‘캘리포니아 와인’ 하면 흔히 나파밸리를 떠올리곤 하지만 저마다 다른 기후적, 지리적 특징을 가진 또 다른 와인 산지들도 많죠. 그중에서도 가장 매력적이라고 생각하는 와인 산지는 어디인가요? 산타바바라 혹은 산타리타힐스 Santa Rita Hills 지역의 와인을 꼽고 싶습니다. 이 두 지역의 와인은 나파밸리를 비롯한 다른 미국 와인과는 확연히 다른 매력이 있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바로 기후와 지형의 차이에서 비롯되지요. 대부분의 캘리포니아 해안 지역은 산맥이 북남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습니다. 하지만 산타바바라 카운티, 특히 산타리타힐스 지역은 산맥이 동서 방향으로 뻗어 있어 태평양의 시원한 해풍과 안개가 계곡 안쪽으로 깊숙이 들어올 수 있습니다.
이러한 독특한 지형에서 비롯된 특징은 무엇이 있나요? 극심한 일교차와 긴 생장 기간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이 지역은 낮에는 햇살이 풍부하여 포도가 충분히 익지만, 밤에는 태평양에서 불어오는 차가운 바람과 안개 때문에 기온이 크게 떨어집니다. 이로 인해 포도의 산도가 보존되고, 당분과 풍미가 천천히 복합적으로 발달하게 됩니다. 긴 생장 기간의 경우, 서늘한 기후로 포도 수확 시기가 늦어져 포도가 나무에 더 오래 머무를 수 있게 되죠. 이는 와인에 깊고 복합적인 풍미를 더해줍니다.
두 지역의 와인이 ‘우아하고 섬세하다’는 평을 받는 이유도 그 때문일까요? 맞습니다. 특히 산타리타힐스의 피노누아는 프랑스 부르고뉴 와인과 비교될 정도로 미네랄리티와 산도가 뛰어납니다. 노던테라가 수입하는 지칸 G.Khan 와인이 미국에서 만들어지지만, 부르고뉴 와인과 흡사한 이유기도 하죠. 이지역은 피노누아와 샤르도네 외에도 시라 Syrah 등 다양한 품종에서 뛰어난 와인을 생산하며 새로운 시도를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신생 와인 산지로서 와인 메이커의 자유롭고 실험적인 시도가 돋보이는 곳이죠. 접근 가능한 가격과 분위기 또한 이 지역 와인의 특징입니다. 일반적으로 나파밸리 와인은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는 경우가 많지만, 산타바바라 와인은 상대적으로 합리적인 가격대에 훌륭한 품질의 와인을 만날 수 있습니다. 나파밸리보다 더 편안하고 캐주얼한 분위기에서 와인 체험을 즐길 수 있다는 점도 매력적이고요.

서늘하게 와인을 숙성시키는 페렌의 와인 저장 창고.

페렌의 프라이 로드 샤르도네와 실버 이글 피노누아.

지칸 샤르도네.

지칸 피노누아.
말씀하신 것처럼 다양성을 지닌 지역인 만큼 ‘캘리포니아 와인은 오크 향이 강하다’는 편견이 때로는 답답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오크 향이 강하다는 건 산미보다는 과실 등의 아로마 뉘앙스가 강렬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나파밸리는 내륙에 위치해 산타바바라보다 훨씬 더 따뜻하고 햇살이 강렬합니다. 그 때문에 나파밸리 와인은 대체로 진하고 강렬한 풍미를 지니게 됩니다. 하지만 산타바바라와 산타리타힐스의 와인은 서늘한 기후와 지형으로 인해서 전혀 다른 피노누아와 샤르도네가 탄생합니다. 이 지역의 피노누아는 딸기, 체리 등 붉은
과일 향과 함께 흙, 버섯, 미네랄 풍미가 느껴지는 섬세하고 우아한 스타일을 보여줍니다. 샤르도네 역시 신선한 산도와 미네랄리티가 살아 있는 스타일로, 잘 익은 열대 과일의 풍미가 지배적인 따뜻한 지역의 샤르도네와는 차별화되고요.
노던테라의 브로슈어를 보면 ‘세계 최고 수준의 희소성 있는 와인만을 찾고 공급한다’고 적혀 있는데요. 좋은 와인을 셀렉하는 대표님만의 기준이 궁금합니다. 단순히 희소성만으로 와인을 선택하지 않습니다. 세계적인 명성과 희소성도 중요하지만, 제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준은 ‘시간이 증명하는 가치’입니다. 와인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진가를 발휘하는 예술품과 같습니다. 젊은 빈티지 와인들이 활기차고 생생한 매력을 지닌다면, 백빈티지(에이징 빈티지 Aging Vintage) 와인은 숙성을 통해 얻는 깊이와 복합미가 있습니다. 잘 숙성된
와인 한 병에는 포도가 자란 땅의 이야기, 와인 메이커의 철학, 그리고 세월의 흔적이 모두 담겨 있습니다. 저는 바로 이 ‘세월의 흔적이 빚어낸 아름다움’을 고객에게 전하고 싶습니다.
높은 가격대나 적은 생산량만이 기준이 되는 것은 아니군요. 그보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자신만의 명확한 철학을 바탕으로 타협하지 않는 품질을 추구하는 와이너리의 철학입니다. 이런 곳에서 빚어낸 와인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빛을 발하며, 마시는 이에게 잊을 수 없는 경험을 선사합니다. 제가 좋은 와인을 고르는 기준은 크게 세 가지입니다. 단순히 지금 맛있기만 한 와인이 아니라, 시간이 흐르면서 더욱 복합적인 매력을 뿜어내는 ‘시간이 지날수록 진가를 발휘하는 숙성 잠재력’이 첫 번째라면, 상업적인 성공보다 자신만의 신념을 지키며 와인을 만드는 ‘와인 메이커의 확고한 철학’이 두 번째죠. 마지막으로, 그 땅이 가진 독특한 기후와 토양의 특성이 와인에 고스란히 표현된 ‘테루아의 개성을 온전히 담아내는 와인’을 찾습니다. 노던테라는 이러한 기준을 통해 쉽게 만날 수 없는 와인, 단순한 음료가 아닌 ‘이야기가 담긴 경험’을 제공하는 와인을 선보이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런 기준에서 고른, <메종> 독자들에게 특별히 소개하고 싶은 캘리포니아의 와이너리를 알려주세요. 노던테라가 공식 수입하고 있는 페렌 Ferren과 지칸 와인을 소개하고 싶습니다. 먼저, 페렌 와인은 캘리포니아를 대표하는 컬트 와인으로 발돋움 중입니다. 마카신 Marcassin의 마지막 제자로 일컬어지는 매트 코트니 Matt Courtney의 개인 프로젝트죠. 마카신이 강렬하고 힘 있는 스타일로 캘리포니아 샤르도네의 정점을 찍었다면, 페렌은 조금 더 섬세하고 우아한 쿨-클라이밋 와인을 지향합니다. ‘수제자의 새로운 여정’인 셈이죠. 와인 한 병에 담긴 뛰어난 균형미와 복합적인 풍미는 마카신의 오너 헬렌 털리 Helen Turley처럼 전설적인 와인 메이커로 올라서는 그만의 새로운 와인 세계를 보여주며, 와인 애호가들에게는 신선한 충격과 즐거움을 선사합니다.
지칸 와인도 궁금해집니다. 지칸 와인은 한마디로 ‘장인정신이 빚어낸 걸작’이라 할 수 있습니다. 캘리포니아 와인 역사에 큰 영향을 미친 베테랑 와인 메이커 제임스 스파크 James Spark와 로이킴의 역작입니다. 그는 수십 년간 쌓아온 노하우를 바탕으로, 풍부한 과일 풍미와 뛰어난 균형미, 그리고 구조적인 복합성을 동시에 갖춘 부르고뉴 와인을 만들어냅니다. 이 두 와인은 단순히 희귀한 와인을 넘어 와인 메이커의 철학과 시간을 담아낸 예술품으로서, 우리 노던테라가 추구하는 가치를 가장 잘 대변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