톡 쏘는 칵테일처럼

톡 쏘는 칵테일처럼

톡 쏘는 칵테일처럼

프랑스 유명 텍스타일 회사 ‘피에르 프레이 Pierre Frey’ 창업자의 손자가 사는 파리 아파트. 그는 호기심 많고 생동감 넘치는 브랜드 이미지를 집 안에 그대로 구현했다.



피에르 프레이는 라틴아메리카에서 가져온 수많은 오브제를 빨간색 책장에 전시했다. 두 개의 암체어 ‘도빌 Deauville’은 1920년대 화가 레옹 텍시에의 그림에서 영감을 얻어 디자인한 피에르 프레이의 패브릭으로 커버링했다.



거실에 있는 테이블은 피에르와 에밀리가 생투앙 벼룩시장에서 구입한 것으로 상판을 연장하면 최대 15명까지 앉을 수 있다. 테이블은 영화감독인 에밀리가 작업할 때 주로 사용한다. 앵무새가 앉아 있는 모습이 인상적인 금색의 주석 펜던트 조명은 파리의 메종 샤를 Maison Charles에서 구입했다.



아파트의 중심부에 자리한 부엌은 넓은 거실을 거쳐 현관까지 이어진다. 흰색 대리석 상판을 올린 나무 테이블과 조리대는 주문 제작한 것. 천장에는 콩스탕스 귀세가 디자인한 프티트 프리튀르 Petite Friture의 가벼운 메탈 조명을 놓았고 조리대 위에는 오리지널 BTC의 펜던트 조명을 두 개 달았다. 의자와 스툴은 메이드닷컴 Made.com 제품. 오븐은 스메그 Smeg, 후드는 브란트 Brandt 제품이다.



빛이 잘 드는 넓은 거실은 침실과 연결된다. 북아메리카와 중앙아메리카 해안에 주로 분포하는 식물인 유카 화분이 녹색 소파와 어우러지며 이국적인 색채를 더한다. 소파를 커버링한 패브릭은 피에르 프레이의 ‘조르주 Georges’. 소파 앞에 있는 낮은 테이블은 피에르 프레이의 ‘파푸 Papou’ 패브릭을 씌웠다. 왼쪽 벽에는 아프리카 카메룬의 원주민이 쓰는 모자 ‘주주 해트 Juju Hat’를 걸어 놨고 콘솔 위에는 메종 데이롤에서 구입한 나비 박제를 놓았다. 큰 창 앞에는 생투앙 벼룩시장에서 구입한 테이블을 놓았다. 스트라이프 장식의 커튼은 피에르 프레이의 ‘제니스 Zenith’.


활짝 열린 공간. 피에르 프레이 Pierre Frey의 아파트를 한마디로 정의하면 이렇다. 이곳은 그의 존재 방식을 완벽하게 반영하고 있다. 할아버지 피에르 프레이가 설립하고(그는 할아버지와 이름이 같다) 아버지 파트릭 프레이 Patrick Frey가 경영하는 회사에서 그는 홍보를 맡고 있으며 운 좋게도 할아버지가 마련한 이 건물에서 일하며 살고 있다. 파리 2구의 중심지에 위치한 이 건물에는 피에르 프레이의 쇼룸과 사무실이 있고 그가 거주하는 곳은 꼭대기 층이다. 결혼하기 전에는 60㎡에 불과한 작은 다락방이었는데, 지난 60년간 누구도 이 다락방에 발을 들여놓지 않았다. 그는 아틀리에 MKD의 건축가 마리카 드뤼 Marika Dru와 함께 레노베이션을 해서 140㎡의 거주 공간으로 만들었고 이 집에서 아내 에밀리 Emilie, 아들 조르주 Georges와 함께 지내고 있다. “대부분의 벽을 부수고 공간을 다시 나누었어요. 공간도 다시 배치했죠.” 길게 이어지는 공간이지만 동선은 유동적이다. 그리고 공간을 따라 길게 연결되는 유리창을 통해 수평선이 활짝 열린다. “이 아파트의 강점은 빛입니다. 빛이 모든 공간을 관통합니다.” 현관에서 부엌까지 일관된 톤이 이어져 이 집의 각 공간을 하나로 만들어준다. 방마다 여러 가지 소품과 오브제가 놓여 있고 저마다 이야기를 간직한 가구는 예술가의 아틀리에처럼 편안하면서도 활기찬 기운을 전한다. “몇 년간 뉴욕에서 살면서 일했어요. 그때의 경험이 삶의 방식에 많은 영향을 줬지요.” 뉴욕 스타일은 그가 일하는 방식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쉽게 연결될 것 같지 않는 두 가지를 접목해 색다른 제품을 탄생시키는 거다. 특히 음악과 스트리트 아트를 좋아하는 그는 최근 미국의 그래피스트 톡식 Toxic과 함께 새로운 컬렉션 ‘에이티/서티 Eighyt/Thirty’를 완성했다. 그리고 프랑스 여배우 루이즈 부르고앵 Louise Bourgoin과 프랑스의 디자이너이자 예술가인 마티아스 키스 Mathias Kiss가 함께 작업한 ‘포르토 Portor’를 선보이기도 했다. 지금은 다음 달에 선보일 깜짝 이벤트를 준비하고 있다. 바로 프랑스 모델 이네스 드 라 프레상주 Ines de la Fressange와 함께한 컬렉션을 새롭게 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1월 20일부터 파리 장식미술관에서 열리는 큰 전시와 1월에 선보일 7가지 이상의 새로운 컬렉션도 계획 중이다. 삶을 즐길 줄 아는 심미주의자는 바쁜 와중에도 잠깐 짬을 내서 겨울에 꼭 해보고 싶은 일을 하려고 한다. 곧 피에르 프레이의 원단으로 조끼를 만들어 입을 생각이다.



고요한 분위기의 침실 벽은 소리를 차단하는 피에르 프레이의 패브릭 ‘앵뒤 Indus’로 마감했고 바닥에는 브라크니에 Braquenie의 줄무늬 카펫을 깔아 편안한 인상을 더했다. 인디고 블루 색상의 침대 헤드가 피에르 프레이의 리넨 침대보 ‘돌리노 Dolino’와 잘 어울린다. 침대 옆 테이블은 디자이너 줄리 프리스카 Julie Prisca가 피에르 프레이를 위해 특별히 만들어준 것. 원형 테이블 조명은 르 됭 Le Deun 제품이다. 





침실에서 가까운 욕실은 벽과 바닥에 에모 드 브리아르 Emaux de Briare의 원형 모자이크 타일로 마감했다. 레트로풍의 욕조와 수전은 드봉&드봉 Devon&Devon 제품으로 미셸 콩트의 1980년대 사진 작품과 대조를 이룬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제롬 갈랑 Jerome Galland

빌려 쓰는 사무실 ‘카우앤독’

빌려 쓰는 사무실 ‘카우앤독’

빌려 쓰는 사무실 ‘카우앤독’

함께 모여 자유로이 일하는 코워킹 스페이스 카우앤독.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소셜 벤처를 지원하는 이곳에서 사무 공간의 미래를 보았다.


요즘 한창이라는 성수동은 특히 젊은이들 사이에서 ‘공유’ 문화가 생성되고 있다. 세상을 바꿀 수 있는 10가지 아이디어 중 하나로 손꼽힌 공유 경제를 적극 실천하는 코워킹 카페 ‘카우앤독 Cow&Dog’은 문을 연 지 1년이 채 안 되었지만 패기 넘치는 스타트업 기업을 위한 카페라는 신선함으로 유명세를 모으며 이 동네의 열기까지 높이고 있다. ‘함께 좋은 일을 한다’를 뜻하는 ‘Co work&Do good’의 약자인 카우앤독은 소셜 벤처 인큐베이팅 회사인 소풍 Sopoong이 문을 연 곳으로 현재는 독자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4층 건물에 1, 2층에 자리한 카우앤독은 소풍에서 지원하는 스타트업 회사들이 입주한 3층과 카셰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쏘카의 사무실이 있는 4층과 달리 누구나 출입할 수 있는 열린 공간. 부담스러운 사무실 임대 비용 때문에 막막할 초보 사업가들이 커피 한잔값에 이렇게 좋은 환경에서 일할 수 있다는 게 얼마나 든든한지 모른다. 또 조용하고 집중할 만한 카페를 찾는 일반인, 동네 주민들에게도 매력적이다.

7m 높이의 시원한 천장이 압도하는 이곳은 01스튜디오의 조재원 소장이 완성했다. 셰어하우스 통의동집에 직접 살고 있는 만큼 공유하는 공간에 대한 이해가 높았던 그녀는 유동적인 성격을 지닌 스타트업의 특성을 고려해 이 공간에 어울리는 가구를 함께 디자인했다. 두 명에서 갑자기 열 명으로, 그러다 다시 두 명이 되기도 하기에 구성원에 따라 다양하게 쓸 수 있는 테이블을 고안한 것. 2층에는 한 명부터 최대 열두 명이 모일 수 있는 회의실, 계단식 의자를 놓아 50인까지 수용할 수 있는 컨퍼런스룸, 남녀 샤워실 등도 마련했다.

카우앤독은 단순히 공간만 제공하지 않는다. 코워커들이 퇴근하는 저녁 6시부터 9시 반까지는 대관을 하는데 공유 경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세미나와 컨퍼런스가 주로 열리고 있다. 또 성수동에서 사회 혁신가들의 모임인 디웰살롱을 운영하는 루트 임팩트, 기업과 사회를 변화시키는 긍정적인 콘텐츠를 제공하는 베네핏 매거진, 소풍, 카우앤독이 공동 기획한 서울숲 플리마켓을 여는 등 다채로운 이벤트를 마련하고 있다. 

 

“이곳이 열린 공간인 만큼 정체성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어요. 아무나 올 수 있는 조용한 카페이긴 하지만 카우앤독은 엄연히 사회 혁신을 추구하는 벤처기업을 지원하는 곳이죠. 공유 경제를 낯설어하는 사람들이 조금 더 관심을 가질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이런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있어요.” 카우앤독의 프로젝트 매니저 김은진 씨가 설명했다. 그녀가 하는 일은 다양하다. 서로 성격이 맞아 도움이 될 거 같다 싶으면 카우앤독에 온 창업자와 3층에 입주한 창업자들을 종종 연결해주기도 한다. 소셜 벤처기업과 기업, 대중을 잇는 중간 다리 역할을 하는 카우앤독은 아직 해야 할 일이 많다.



1
공장 지대인 성수동의 특성을 반영해 노출 콘크리트와 철골을 주재료로 사용했다. 2 카페에는 소 장식품으로 위트를 더했다. 3 작은 가게를 연상시키는 게시판.



옥상에 태양광 전지판을 설치해 에너지 재생에 적극 힘쓰고 있다.



시원하게 뚫인 천장 아래 자유롭게 변형 가능한 테이블을 배치했다.



1
카우앤독을 이용하는 코워커들을 위한 사물함. 2 사람들을 불러 모아 성과를 알리고 싶을 때 활용할 수있는 2층 컨퍼런스룸.



1
타일 조각으로 각 층마다 숫자를 새겨놓았다. 2 심플한 디자인의 우편함.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안종환

TAGS
동물 모티프 벽지&패브릭

동물 모티프 벽지&패브릭

동물 모티프 벽지&패브릭

이국적인 정글과 드넓은 초원에 사는 동물들이 집 안으로 들어왔다. 동물을 모티프로 디자인한 벽지와 패브릭을 이용해 재미있는 인테리어를 완성해보자.



Forest Festival


1
공작새의 파란색 깃털을 프린트한 벽지는 노빌리스 Nobilis의 ‘플라스 도핀 Place Dauphine 컬렉션의 ‘플륌 Plume’. 0.69×10m, 롤당 125유로. 2 새와 나비를 프린트한 벽지는 오스본&리틀 Osborne&Little의 ‘버드 송 Bird Song’. 0.70×9m, 롤당 273유로. 3 숲 속의 한 장면을 파노라마로 프린트한 벽지는 ‘베제탈 Vegetale’ 컬렉션의 ‘세르프 Cerf’로 데이롤 Deyrolle 제품. 오 피 데 쿨뢰르 Au Fil des Couleurs, 네오드코 Neodko에서 판매. 250×180cm, 405유로. 4 아기 사슴의 털을 모방한 밤비 스타일의 벽지는 라쉬 Rasch의 ‘블랙 포레스트 Black Forest’ 컬렉션. 0.49×10m, 롤당 40.70유로. 5 면 위에 깃털을 프린트한 벽지는 카사망스 Casamance의 ‘투라코 Touraco’. 폭 145cm, 미터당 128.90유로. 6 열대의 숲을 프린트한 벽지는 로베르 달레가 디자인한 에르메스 Hermes의 ‘에콰퇴르 Equateur’. 데다르 Dedar에서 판매. 0.70×10m, 롤당 146유로.


배경에 칠한 매트한 페인트는 르수르스 Ressource의 ‘더 1960’s 컬러스 The 1960’s Colours’ 컬렉션의 ‘미카도 Mikado’. 거위는 데이롤 제품.



In the Lovely Woods


1
다양한 나비가 가득한 벽지는 세놀리아 Scenolia의 ‘라 당스 데 파피옹 La Danse des Papillons’ 컬렉션. 0.52×10m, 롤당 59유로. 2 큰 새를 프린트한 파노라마 벽지는 월&데코 Wall&Deco의 ‘스페이스 오디티 Space Oddity’. 폭 2.50m, 미터당 110유로. 3 사슴 머리를 3D로 프린트한 접착식 패널 벽지는 엘리티스 Elitis의 ‘완더랜드-루돌프 Wanderland-Rudolf’. 27×43cm, 9장 세트 119유로. 4 실크스크린을 모티프로 한 벽지는 에머리&시 Emery&Cie의 ‘브레멘의 음악대 les Musiciens de Breme’. 93×63cm, 91유로. 5 카무플라주 느낌이 나는 다마스크 패브릭은 면과 비스코스 혼방 소재로 도미니크 키퍼 Dominique Kieffer의 ‘샤믈레옹 Chameleon’. 폭 140cm, 미터당 113유로. 6 분홍색 홍학이 프린트된 벽지는 콜앤손 Cole&Son의 ‘컨템포러리 1 Contemporary 1’ 컬렉션의 ‘플라밍고스 Flamingos’. 오 피 데 쿨뢰르에서 판매. 0.52×10m, 롤당 99유로. 7 동물의 뼈 그림이 프린트된 띠 벽지는 스튜디오 욥 Studio Job 디자인으로 아르트 앵테르나시오날 Arte Internationale의 ‘아르트 아키브 Arte Archives’ 컬렉션. 0.49×9m, 롤당 199유로.


배경에 칠한 매트한 페인트는 르수르스의 ‘세르주 벵시몽 Serge Bensimon’ 컬렉션의 ‘탈리스망 Talisman’. 코끼리가 프린트된 면 쿠션 커버는 마두라 Madura의 ‘서커스’. 40×40cm, 두루미 오브제는 데이롤 제품.



A Wild World


1
춤추는 얼룩말을 핸드 프린트한 벽지는 클레오 세 Cleo C의 ‘제브라 스칼라망드르 Zebra scalamandre’. 0.50×4.60m, 롤당 198유로. 2 만화경 속 얼룩말을 프린트한 벽지는 뮤 디자인 Mues Design의 ‘레 나나 Les Nanas’ 컬렉션의 ‘클로에 Chloe’. 0.52×10m, 롤당 39유로. 3 판화처럼 디자인한 파노라마 벽지는 월&데코의 ‘슬립스트림 Slipstream’. 폭 2.50m, 미터당 110유로. 4 화려한 꽃을 프린트한 면 패브릭은 마뉴엘 카노바스 Manuel Canovas의 ‘세렌딥 Serendip’. 폭 134cm, 미터당 131유로. 5 아프리카 지도를 프린트한 면 패브릭은 피에르 프레이 Pierre Frey의 ‘아프리칸 사파리 African Safari’. 폭 145cm, 미터당 117유로.


배경에 칠한 페인트는 르수르스의 ‘더 1960’s 컬러스’ 컬렉션의 ‘빌리지 그린 Village Green’. 고슴도치는 데이롤 제품.

모든 컬렉션은 1월 22일부터 25일까지 열리는 살롱 파리 데코(www.paris-decoff.com)에서 만날 수 있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소피 부사바 Sophie Boussahba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