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절약 달인 되기

전기 절약 달인 되기

전기 절약 달인 되기

점차 더워지는 날씨와 맞서기 위해 에어컨, 선풍기가 출격할 준비를 하고 있다. 전기 사용량이 늘어나는 여름, 잠시 잊고 있던 전기 절약법을 상기해야 할 때다.

에어컨 사용량이 급격히 늘어나 전력 수급이 많아지는 여름철. 매년 찾아오는 전력난의 압박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전기 절약만이 해답이다. 여름철 실내 적정 온도인 26°C를 지키고 하루 중 전기 사용량이 가장 많은 오후 2시부터 4시까지는 냉방기 가동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전력 소모량이 많은 전기 제품으로는 에어컨(1750W), 다리미(1255W), 청소기(1155W), 전자레인지(1150W) 등이 있다. 에어컨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겠지만 점점 심해지는 무더위를 견디기 위해 에어컨 사용을 피할 수 없으므로 최대한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활용하도록 한다.

가장 손쉬운 방법으로는 에어컨의 실내 온도를 1°C 높게 설정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는 것만으로도 약 7%의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또 에어컨 필터를 2주에 한 번씩 주기적으로 청소하면 5% 정도의 절전 효과를 볼 수 있다. 필터를 청소할 때는 미지근한 물에 중성세제를 풀고 부드러운 솔로 세척한 다음 직사광선을 피해 그늘진 곳에서 완전히 말린다. 에어컨을 ‘강’으로 설정하는 대신 ‘약’으로 해두고 에어컨 밑에 선풍기를 두고 회전 상태로 하면 약 20~30%의 냉방 에너지를 절약하면서 ‘강’으로 설정했을 때와 비슷한 수준으로 냉방을 할 수 있다. 이때 선풍기 대신 공기순환기를 사용한다면 훨씬 더 효과적이다. 선풍기는 퍼진 바람을 근거리에만 전달하지만 공기순환기는 직진성을 지닌 회오리바람을 최대 21m까지 보낸다. 이를 통해 정체된 실내 공기를 원활히 순환시켜 실내 구석구석까지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고 보다 쾌적한 실내를 만들어준다. 세탁기는 사용 횟수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세탁기에 빨래가 80%가량 채워졌을 때 세탁을 하고, 더운물로 세탁하면 에너지의 90%가 물을 데우는 에너지로 소비되니 반드시 삶아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찬물로 설정한다. 반대로 냉장고의 냉장실은 가득 채우지 않아야 전기를 절약할 수 있다. 냉장실에 내용물이 많으면 냉기 순환이 되지 않으므로 냉장고 용량의 60%만 넣도록 한다. 하지만 냉동실은 내부가 가득 찰수록 냉기가 잘 전달되어 전기료가 절감된다.

또 전등은 저효율 조명인 백열등 대신 고효율 조명인 LED로 교체하는 것이 좋다. LED 램프는 백열전구에 비해 80% 적은 에너지로도 약 5배나 밝은 빛을 낼 수 있을 뿐 아니라 백열 램프보다 발열도 적다. 백열 램프는 전력의 90% 이상을 열로 발산하는 반면 LED 램프는 전기의 80%를 빛을 내는 데 사용해 조명 기기에서 발생되는 열이 훨씬 덜한 것이다. 또 LED 조명은 수명도 3만 시간 가까이 되어 한번 바꾸면 오래 사용할 수 있어 더욱 경제적이며, 점등과 소등 속도도 빠르고 수은을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가장 기본적이지만 잘 지키지 못하는 습관으로는 사용하지 않는 전원 플러그를 뽑아두는 것이 있다. TV, 컴퓨터, 충전기 등을 사용한 후 플러그를 뽑지 않으면 전기 흡혈귀라 불리는 대기 전력이 발생해 가정의 소비 전력이 6%나 낭비된다. 이 대기 전력을 차단하면 약 60만kW의 전력을 아낄 수 있고 가정에서도 연간 한 달 치 전기 요금의 약 70%를 아낄 수 있다. 멀티탭 역시 절전형 멀티탭으로 바꾸고 눈에 보이는 곳이나 손이 닿기 쉬운 곳에 멀티탭을 두어 잠들거나 외출 전에 전원 버튼으로 멀티탭을 끄는 습관을 갖도록 한다. 또 컴퓨터에는 절전 모드를 설정하고 TV와 컴퓨터를 사용한 후에는 디지털 방송의 수신 장치인 셋톱박스의 전원까지 같이 끄는 것을 잊지 말자.

에디터 최고은 | 도움말 보네이도·에너지관리공단·필립스조명·한국지역난방공사ㅣ사진 Getty Images / 멀티비츠
출처 〈MAISON〉 2014년 5월호

CREDIT
든든한 옷장

든든한 옷장

든든한 옷장

행어가 달린 개방형 옷장도 간편하지만 먼지를 막아주고 산만한 옷 수납을 가려줄 옷장이야말로 봄맞이 수납을 위한 기본 아이템이다.

1 둥근 모서리가 돋보이는 ‘모더니카’ A와 B타입 옷장은 내부의 탈착식 선반으로 용도에 따라 다양한 수납공간을 만들 수 있다. 매스티지데코 제품. 80×60×180cm. 왼쪽 A타입 80만원, 오른쪽 B타입 85만원.
2 앤티크한 디자인의 다리부분이 사랑스러운 느낌을 주는 ‘로맨틱’ 옷장은 디자인벤처스 제품. 108×63.5×200.5cm. 1백63만원.
3 친환경 도료로 표면을 마감한 아메리칸 오크 원목과 무늬목 소재의 ‘밀튼’ 옷장은 고전적인 몰딩 디테일이 특징으로 까사미아 제품. 110×65×200cm.1백56만원.

1 ‘폴린 갤러리 오크’ 옷장은 입체감 있는 갤러리 살이 돋보이는 제품으로 따뜻하면서도 편안한 공간을 연출하기에 제격이다. 한샘 제품. 315×60×226.9cm. 1백46만9천원.
2 메이플 소재의 ‘나무’ 장롱은 은은한 진주 펄의 흰색이 특징이며 작은 공간에서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리바트 제품. 308×62.5×227cm. 1백39만4천원.
3 ‘어반 옷장 시리즈’는 옆판에 부착된 연결 부위를 활용해 크기가 다른 옷장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 두닷 제품. 161.1×61.6×201.4cm. 85만원(어반 1600 옷장 세트3 기준).
4 공간의 크기와 용도에 따라 기본장과 화장대장, 다양한 수납공간이 있는 시크릿장 등 옵션을 선택하여 조합할 수 있는 ‘메이 시리즈 옷장’은 일룸 제품. 왼쪽부터 기본장 47만3천원, 데일리장 1백8만원, 화장대장 69만9천원, 시크릿장 1백8만원.
5 ‘폴카 2S 오크’ 옷장은 내구성이 좋은 아메리칸 화이트 오크 소재로 제작돼 습기에 강하며 서랍 내부는 병충해에 강한 소나무로 제작돼 옷감 손상을 줄여준다. 디자인벤처스 제품. 105×66.5×200.5cm. 1백99만원.

에디터 신진수│어시스턴트 이현재
출처 〈MAISON〉 2014년 5월호

CREDIT
거실 속 숨은 보석

거실 속 숨은 보석

거실 속 숨은 보석

흔히 거실장이라고도 부르는 AV장은 중요한 거실 가구 중 하나. TV 등 가전제품을 올려놓는 탁자의 역할과 수납 기능을 동시에 충족하는 기특한 아이템이다.

1 서랍장의 칸을 비례감 있게 나눈 ‘엘시 캐시어스 스탠더드 LC Casiers Standard’는 르코르뷔지에가 디자인한 것으로 밀라노디자인빌리지에서 판매. 3천만원대.
2 하단에는 월넛 소재, 상단에는 흰색으로 도장한 장을 결합한 ‘라포레’ 거실장은 공간에 맞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품으로 체리쉬에서 판매. 1백만원대.
3 복고풍 디자인이 특징인 ‘스캅’은 아이폰, 아이팟과 호환되는 입체 음향 시스템을 갖춘 제품으로 더플레이스에서 판매. 6백79만원.
4 고무나무로 만든 ‘코너 보드’는 ㄱ자 형태라 벽 모서리에 배치 하기 좋다. 가리모쿠60 제품으로 리모드에서 판매. 1백59만5천원.

1 월넛 무늬목과 블랙 컬러 스틸 다리의 조합이 돋보이는 ‘트레비’는 손으로 가볍게 눌러 서랍을 여닫을 수 있도록 디자인했다. 까사미아 제품. 86만원.
2 사선으로 살짝 기운 몸체가 돋보이는 ’아키 플랫’ 거실장은 체리쉬에서 판매. 90만원대.
3 선명한 민트색으로 도장한 목재와 메탈 소재를 결합한 ‘스윙잉런던 인팝’은 메스티지데코 제품. 39만8천원.
4 밝고 따뜻한 분위기를 연출해주는 애시 무늬목 소재의 ‘클라인2’ 거실장은 한샘 제품. 39만9천원.

에디터 최고은│포토그래퍼 채승준│어시스턴트 이현재
출처 〈MAISON〉 2014년 5월호

CR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