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상에서 부르는 여름 노래 (part2. 옥상의 비밀 정원)

옥상에서 부르는 여름 노래 (part2. 옥상의 비밀 정원)

옥상에서 부르는 여름 노래 (part2. 옥상의 비밀 정원)

옥상에서 한 박자 쉬어가기! 직원들의 낙원이 된 옥상의 비밀 정원으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옥상의 재발견

건물의 자투리 공간으로 여겨졌던 옥상이 변화하고 있다. 그곳에는 꽃도 피고, 채소도 자라며, 운동을 즐길 수 있는 시설도 있다. 직원들의 휴식 공간이자 놀이터로 변신한 옥상 두 곳을 소개한다.

여의도 현대캐피탈 사옥 The Garden

↑ 탁 트인 여의도의 하늘을 바라볼 수 있는 옥상

2009년 황두진 건축사무소에서 설계한 이 옥상은 사원들을 위한 야외 휴식 공간으로 조성되었다. 건물은 빌딩 숲 안에 자리하고 있지만 옥상에서는 국회의사당과 서강대교, 양화대교가 한눈에 보이는 탁 트인 경관을 감상할 수 있다. 특이한 점은 건물 난간을 따라 만든 모노레일 위에 사각 박스로 만든 놀이기구가 설치되어 있다는 것. 화물 운반용 레일을 재활용해 설치한 이 놀이기구는 자전거처럼 페달을 돌리면 움직이는 형태로 마치 놀이공원에서 기구를 타는 듯한 재미를 준다. 최근 디자인 알레와 협업해 만든 텃밭이 추가되면서 ‘더 가든’이라는 이름을 달고 생동감 있는 모습의 옥상으로 거듭났다.
옥상 텃밭에 ‘From Farm to Table’이라는 컨셉트를 부여해 직원들에게 도심 속 농장과 같은 자연을 느끼게 해주고, 직접 재배한 야채와 허브를 이용해 신선한 식사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매일 아침 조리사들이 직접 옥상에서 재배한 작물들을 수확해 직원 식당의 조식이나 사옥 내에 있는 레스토랑 ‘더 박스’의 샐러드바 등에서 맛볼 수 있게 했다. 금속 소재로 만든 플랜트 박스를 활용해 바닥을 최대한 훼손시키지 않으면서도 농장의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조성한 것이 주목할 만하다. 플랜트에는 각종 허브를 비롯해 호박, 오이, 고추, 토마토, 블루베리 등의 다양한 식재료가 무럭무럭 자라고 있다. 텃밭 옆으로는 집 모양의 하우스를 만들어 텃밭을 가꾸는 농기구와 밀짚모자 등을 수납했다. 더불어 더 가든을 상징하는 오브제로서의 역할도 한다.

↑ 집 앞마당에 있는 정원처럼 정겨운 느낌의 가든.

↑ 농기구를 수납한 하우스.

1 기업 문화팀 장갑성 수석 셰프가 텃밭에 있는 채소를 수확하는 모습.
2 각종 허브가 모여 있는 플랜트.

↑ 해가 지고 어스름해질 무렵의 하늘이 장관이다.

↑ 운동기구와 움직이는 회의실, 텃밭으로 구성된 옥상.

판교 넥슨 사옥 Roof Terrace

↑ 농구와 배드민턴을 즐길 수 있는 멀티코트.

오전 10시, 일반 회사 직원들이라면 사무실에 앉아 분주하게 일하고 있을 시간이지만, 게임회사 넥슨 사옥의 옥상 풍경은 달랐다. 채소에 물을 주고 사진을 찍는 직원들, 넓은 데크에서는 직원들이 삼삼오오 모여 이야기꽃을 피우고 있다. ‘3re Space’라는 컨셉트로 Re Fresh, Re Charge, Re Creat라는 의미를 담아 조성된 옥상은 크게 4개의 공간으로 나뉜다. 조깅 트랙과 구기 종목을 즐길 수 있는 멀티코트와 넓은 데크 공간, 채소를 키울 수 있는 텃밭 ‘하늘N’으로 구성되어 있다.
건물의 둘레를 따라 만든 272m의 트랙을 한 바퀴 돌면 옥상의 곳곳을 감상할 수 있다. 특히 텃밭 ‘하늘N’은 직원들이 가장 애착을 갖고 있는 공간이다. 선착순으로 땅을 분양해 팀원끼리 기르고 싶은 채소나 꽃을 자유롭게 가꿀 수 있어 서로 경쟁하듯 자기 밭을 가꾸고 있다. 이곳에서 재배한 상추, 케일, 토마토 등의 식재료는 종종 점심과 저녁 식탁에 오르기도 한다. 멀티코트는 철제 박스를 옮겨놓은 모습으로 바깥에서도 농구나 배드민턴을 즐기는 직원들의 모습을 볼 수 있어 작은 경기장에 온 듯한 느낌이다. 곳곳에 빨간색 가림막을 친 넓은 데크는 직원들의 회의 공간이 되기도 하고 바비큐장이 되기도 하며 때론 야외 공연장으로도 변신한다. 집보다 사무실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직장인들. 일하는 사무실에서 생활을 위한 사무실로 거듭나고 있는 변화 속에서 도시의 옥상은 집의 마당과 같은 역할을 담당한다.

↑ 옥상의 둘레를 따라 만든 트랙.

↑ 농구를 즐기고 텃밭을 가꾸는 직원들의 모습.

↑ 직원들에게 땅을 분양해 원하는 채소와 꽃을 키울 수 있게 한 텃밭.

↑ 넓은 데크 공간에는 차양을 곳곳에 설치해 직원들의 휴식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에디터 박명주ㅣ포토그래퍼 박상국·신국범

***
여름 하늘을 공유할 수 있는 다양한 스타일의 옥상을 소개합니다.
관련기사 `옥상에서 부르는 여름 노래 (part1. 옥상의 달빛 낭만)` 보러가기>>

CREDIT
Agenda (1)

Agenda (1)

Agenda (1)

한남동의 비트라, H&M 홈의 서울 상륙 작전, 단순한 아름다움

한남동의 비트라
비트라가 한남동에 새로운 매장을 오픈했다. 각 층을 다른 컨셉트의 가구로 구성한 청담점과 달리 탁 트인 공간을 나눠 가구와 소품을 배치한 것이 특징. 단순한 가구 제안을 넘어 공간에 대한 이해와 배치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비트라 플래그십 스토어의 컨셉트에 맞게 비트라 한남점 역시 소파, 의자, 홈 오피스 가구 등 고객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분위기다. 현재 연도별로 비트라의 행보를 볼 수 있는 미니어처 가구와 디자이너 장 푸르베의 리미티드 에디션 가구를 전시 중이니 매장을 방문해 비트라가 선사하는 폭넓은 경험을 체험해 보자.

문의 비트라 02-511-7686
에디터 신진수 | 포토그래퍼 신국범 | 어시스턴트 김수지

H&M 홈의 서울 상륙 작전
올여름 잠실 롯데월드몰에 오픈할 H&M 홈의 컬렉션을 미리 둘러볼 수 있는 팝업 쇼룸이 진행됐다. 팔판동에 위치한 게스트하우스 에이비엔비 A.BNB에서 진행된 팝업 쇼룸에서는 H&M의 F/W 시즌 제품을 실제 공간에 적용하여 보여줌으로써 큰 호응을 이끌어냈다. H&M은 최근 홈 컬렉션에 박차를 가하면서 경제적인 가격에 좋은 품질의 리빙 제품을 원하는 이들로부터 큰 인기를 얻고 있다. 거실, 침실은 물론 욕실과 주방에서 사용할 수 있는 리빙 제품을 패브릭 중심으로 선보이며 리넨부터 가죽, 면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한 타월, 침구류, 쿠션, 키즈 아이템뿐만 아니라 촛대, 박스 등의 생활 소품도 함께 소개하고 있다. 올가을 컨셉트는 깔끔하면서도 우아한 스타일로 여성스러운 공간부터 글래머러스한 공간, 빈티지한 스타일까지 두루 선보인다. 각 방마다 확실한 컨셉트를 제안해 제품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팁도 얻을 수 있어 의미가 있었다는 후문.

문의 H&M 홈 1577-6347
에디터 신진수

단순한 아름다움
근대 건축의 정석이라고 할 수 있는 슈뢰더 하우스를 설계한 네덜란드의 건축가 게리트 리트벨트. 그는 1934년 기능에 충실한 디자인을 창조하고자 끊임없이 연구한 끝에 4장의 나무판으로만 구성된 단순한 형태의 의자 ‘지그재그’를 발표했다. 목재 이음새 부분을 쐐기 모양으로 제작해 못이나 나사 없이도 나무판을 연결하여 더욱 깔끔하고 멋스럽게 완성한 것이 특징. 까시나에 의해 새롭게 제작된 지그재그는 자연스러운 우드 톤을 기본으로 빨강, 파랑, 노랑, 검정, 흰색 등으로 출시되어 다양한 색을 선택할 수 있다.

문의 밀라노디자인빌리지 02-516-1743
에디터 최고은

CREDIT
즐거운 식물원

즐거운 식물원

즐거운 식물원

더 시스템 랩 김찬중 소장의 즐거운 식물원

지난 4월, 업무차 싱가포르에 방문했다가 ‘가든스 바이 더 베이 Gardens by the bay’ 식물원을 둘러보게 되었다. 보통 식물원이라고 하면 학술적인 분위기를 떠올리기 마련이지만 가든스 바이 더 베이는 식물을 관찰하는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식물을 아래에서 내려보고 올려다보거나 가까이에서 만질 수 있게 산책로를 낸 것이다. 때문에 식물을 바라보는 시점이 굉장히 입체적이고 다양했고 그동안 알지 못했던 식물의 모습을 감상할 수 있었다. 살면서 나무를 전지전능한 시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얼마나 될까? 자연이 지닌 기하학적인 아름다움을 발견하는 데 집중하느라 시간 가는 줄 몰랐고 흥미로움을 넘어 경외감까지 들었다. 야외에 설치된 나무 모양 탑 ‘슈퍼트리’는 이끼가 타고 자라는 조형물로, 밤이 되면 빛과 음악이 흘러나와 마치 영화 <아바타>의 한 장면을 연상케 했다. 나뿐만 아니라 어린아이부터 중장년, 노인층까지 이곳을 찾은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이 모두 호기심 어린 눈으로 즐겁게 관람하고 있었는데 그 모습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가든스 바이 더 베이는 식물과 인간이 서로 교감하기 위한 연결 고리로서 과학과 건축의 역할을 제대로 보여주고 있다.
에디터 최고은 │ 사진제공 싱가포르 관광청 │ 일러스트레이터 김종호

CR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