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enda (5)

Agenda (5)

Agenda (5)

레디, 액션!, 바우하우스와 한국 현대미술, 밝고 따뜻한 방, 공간 탐구자의 집

레디, 액션!
액션 스투디오라는 재기발랄한 이름의 가구가 나타났다. 펀잇쳐스에서 선보이는 이 가구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층을 올릴 수 있는 신개념의 공간 활용 시스템 가구다. 액션 스투디오는 기존의 펀잇쳐스 대표 상품인 F1데스크, F1베드, 스마트 파티션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결합 또는 분리해서 사용이 가능하다. 이 제품으로 2014 코리아 디자인 어워드 리빙 부문에서 수상하는 영예도 안았다. 조만간 단독 쇼룸도 오픈할 예정이라니 제품의 품질을 확인하고 싶다면 방문해보자.
문의 www.funiturs.com
에디터 박명주

바우하우스와 한국 현대미술
<바우하우스의 무대실험-인간, 공간, 기계>전은 국립현대미술관과 독일 바우하우스 데사우 재단이 2012년부터 공동으로 기획한 전시다. 새로운 시대의 변화에 대응하는 인간상에 대한 바우하우스의 실험을 다루는 전시로 무대실험에 대해 살펴볼 수 있는 첫 번째 전시이다. 전시기간은 2015년 2월 22일까지.
문의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02-3701-9500
어시스턴트 에디터 김수지

밝고 따뜻한 방
카메라 루시다 캔들이 공식 온라인 쇼핑몰을 오픈했다. 카메라 루시다는 롤랑 바르트의 저서 <밝은 방>에서 착안한 이름으로 카메라는 라틴어로 ‘방’, 루시다는 ‘빛, 밝음’을 뜻한다. 향초로 밝고 따듯한 방을 만들고 싶다는 김상태, 엄선진 대표의 바람처럼 카메라 루시다의 캔들은 공간을 편안하고 아늑하게 비추는 햇살을 닮았다.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조명 기기도 곧 선보일 예정이라고. 오픈 기념으로 5만원 이상 구매 시 도자기 디퍼를 증정하는 이벤트도 진행 중이다. 특별한 선물을 준비하고 있다면 카메라 루시다의 쇼핑몰을 방문해보자.
문의 www.storefarm.naver.com/cameralucida
어시스턴트 에디터 김수지

공간 탐구자의 집
기둥, 몰딩, 문 등 건축을 이루는 요소를 재료 삼아 조각하는 이종건 작가와 대화를 나눴다.

공간에서 영감을 얻어 작업을 하고 있는데 그 시작은 언제부터인가? 2008년 미국 뉴잉글랜드 지역으로 유학을 떠났는데 그리스에서나 볼 법한 클래식한 양식의 집이 많았다. 건축양식이 다른 지역의 문화와 결합되어 새로운 모습으로 변하는 것에 흥미를 느끼기 시작했다.

어떤 점에서 건축양식에 흥미를 느꼈나? 우리나라에 있는 결혼식장을 예로 들면 이해가 쉬울 거 같다. 어떤 문화가 다른 지역으로 옮겨갔을 때 본래 갖고 있던 의미를 잃어버리고 껍데기만 취한다는 인상을 받았다. 여러 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는 요즘 현대인들도 그런 거 같다. 정체성이 명확하지 않은 상태에서 경험하는 대로 변하다 보면 진짜 자신의 것이 무엇인지 모르게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옳거나 그르다고 단정짓지는 않는다.

문화가 혼재되면서 상실해가는 과정을 어떻게 작품으로 담아냈나? 벽난로, 문, 계단 등 공간을 이루는 요소들을 왜곡하고 변형해서 연극 무대장치처럼 표현했다. 일부분만 보여줘서 관객들로 하여금 전체를 상상하게 하는 것이다. 희끗희끗하게 마감한 것은 기억 속에서 점차 사라져가는 느낌을 표현한 것이다.

마룻바닥에 카펫을 새긴 작품이 특히 인상적이다. 집 안에서 가장 오래된 흔적이 남아 있는 곳을 이용하고 싶어서 마루를 선택했다. 마루에 새긴 카펫은 17~18세기 페르시아 지역에서 만들던 정원 카펫인데 이상적인 파라다이스를 표현한 정원을 축소해서 담은 것이다. 카펫을 마룻바닥에 조각하면서 한 몸처럼 만들었더니 마루가 마치 카펫처럼 다른 공간으로 옮겨갈 수 있는 이미지로 표현되었다.

가장 영감을 주었던 건축물이 있다면 어디인가? 뉴욕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을 말할 수 있겠다.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은 오래된 건물과 이어서 지었기 때문에 실내에 외벽이 있는 독특한 모습을 볼 수 있다. 내부와 외부의 구조가 엉켜 있는 모습이 나에게 많은 영감을 주었다.

앞으로는 어떤 작업을 계획 중인가? 환경의 변화에 예민한 편이라 다작은 잘 못한다. 전시할 장소를 미리 방문하고 그에 맞게 신작을 준비하는 데 1년 정도 기간을 두고 천천히 작업한다. 11월 말까지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전시하는 <코리아 투모로우>를 마무리하면 내년 후반쯤 갤러리 조선에서 열릴 개인전을 준비할 계획이다. 실내의 건축 요소들이 뒤엉켜서 자연의 형상을 이루는 방식이 될 거 같다.

에디터 최고은│포토그래퍼 신국범(인물)

CREDIT
불의 전령을 기다리며

불의 전령을 기다리며

불의 전령을 기다리며

겨울철 차가운 실, 내외를 온기 가득한 공간으로 채워 줄
디자인 난로를 모았다.

1 이탈리아의 라 노르디카 벽난로는 장인이 직접 손으로 빚어 만든다. 연료는 장작. 공간감 있는 주택과 상업 공간에 안성맞춤. 수프라코리아에서 판매. 124×113.5×68cm. 1천만원.
2 화이트와 오크 테이블 중 선택이 가능. 연료는 바이오 에탄올. 플라니카 제품. 하준무역에서 판매. 140×80cm. 가격 미정.
3 1934년 덴마크 조각가 콘스탄틴 소렌슨에 의해 제작된 주철 화목난로. 모르소에서 판매. 32.8×109×71.8cm. 5백4만9천원.
4 수가공한 무늬를 입힌 가이아 난로. 10초 만에 점화가 가능해 손쉬운 조작이 특징. 라 노르디카 제품. 수프라코리아에서 판매. 49.5×90.6×46.8cm. 가격 미정.

1 바르셀로나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일본 디자이너 히로시 츠노다가 디자인한 ‘스틱’ 난로. 아웃도어에서 사용하기 좋다. 에코스마트 제품. 삼진벽난로에서 판매. 73×55.7cm. 가격 미정.
2 폴란드 난로 기업 플라니카와 아릭 레비가 함께 만들었다. 실,내외 편리하게 이동이 가능하다. 플라니카 제품. 94.6×62cm. 하준무역에서 판매. 가격 미정.
3 리모콘으로 불꽃의 크기를 조절 가능. 플라니카 제품. 하준무역에서 판매. 99×36.5×14.3cm. 가격 미정.

1 커다란 볼에 자갈을 담아 내추럴한 분위기를 연출해주는 믹스 파이어볼. 블랙과 내추럴 스톤 중 선택 가능. 에코스마트 제품. 삼진벽난로에서 판매. 23.5×85cm. 가격 미정.
2 입체적인 큐빅 모양의 화롯대가 액세서리처럼 달려 있는 다이아몬드 난로. 세프레티 제품. 한국베로에서 판매. 31×18.5×25cm. 1백20만원.
3 북유럽 디자이너 모니카 리터밴드가 디자인. 3개의 유리창을 통해 180도 파노라마식 불꽃을 감상할 수 있다. 모르소에서 판매. 45.1×95×38.6cm. 7백4만원.

에디터 박명주

CREDIT
Agenda (4)

Agenda (4)

Agenda (4)

분더샵의 특별함, 넉넉한 한국의 인심을 찾아서, 나만의 크리스마스트리, 즐거운 나의 집

분더샵의 특별함
지금까지 우리 럭셔리 패션은 백화점, 단독 부티크, 패션 멀티숍, 컨셉트 스토어를 통해 유통되어왔다. 그러나 지난 2014년 10월 13일, 분더샵 청담의 재개관을 기점으로 여기에 스페셜티 스토어라는 항목이 추가되었다. 지난 2000년 국내 최초로 멀티숍 개념을 도입한 이후 단순히 패션 부티크 이상의 역할을 해온 분더샵. 이곳이 ‘국내 최초의 모던 럭셔리 스페셜티 스토어’라는 컨셉트로 다시 태어난 것이다. 스페셜티 스토어란 바니스 뉴욕, 홍콩의 레인 크로포드와 같이 다양한 머천다이징, 서비스 시설, 차별화된 마케팅 콘텐츠가 결합된 매장을 말한다. 분더샵 청담의 재개관이 더욱 관심을 모은 것은 세계적인 건축가이자 인테리어 디자이너인 피터 마리노가 건축을 맡았기 때문이다. 내부는 총 6개 층으로 나뉘어 있으며 각 층별, 섹션별로 컨셉트로 달리해 차별화를 두었다. 젊고 트렌디한 브랜드들로 채워진 N(North)관은 블랙 메탈과 콘크리트를 사용해 거친 느낌으로, 전통 있는 하우스 브랜드와 VIP를 위한 퍼스널 쇼핑 플레이스로 구성된 S(South)관은 모던한 화이트 톤의 대리석을 사용해 고급스럽고 여유롭게 꾸몄다. 도대체 ‘모던 럭셔리 스페셜티 스토어’가 어떤 매장인지, 직접 한번 가보시라.
문의 02-2056-1234
에디터 최영은

넉넉한 한국의 인심을 찾아서
공간, 그래픽디자이너, 라이프스타일 컨설턴트, 포토그래퍼, 마케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강진주, 김아린, 구병준, 하진영, 한미현 5명이 의기투합한 낙낙 Knocknock은 묵묵히 한길을 걸어온 한국의 소규모 회사나 공예가들에게 주목했다. 그 첫 번째는 국내 유일의 인주 기업 ‘매표화학’. 낙낙은 도예가 김선미가 만든 그릇에 쑥을 첨가한 인주를 담아낸 제품을 제작하고 한남동에 자리한 쇼룸을 통해 선보였다. 그 외에도 안동에서 공수해온 빗자루와 반달 빗, 놋수저 등 한국의 숨은 장인이 만든 공예품을 멋스럽게 디자인한 패키지에 담아냈다. 외국 친구나 은사님 또는 부모님께 선물하기 좋은 아이템이 많은 것이 특징.

문의 070-7596-7348
에디터 최고은│포토그래퍼 차가연

나만의 크리스마스트리
니트 브랜드 ‘미수 아 바흐브’와 마이 알레가 크리스마스트리를 만들었다. 미수 아 바흐브의 따뜻한 색감과 마이 알레의 세련된 감각이 만난 크리스마스트리다. 한정 수량으로 출시한 크리스마스트리는 스타일별 번호가 매겨져 있어서 각자 자신이 원하는 트리의 번호를 선택할 수 있다. 마이 알레에서 12월 2일부터 구입 가능.
문의 마이알레 02-3678-9468
에디터 신진수

즐거운 나의 집
우리가 살고 싶은 집은 과연 무엇일까? 재물과 과시용으로서의 집이 아니라 삶의 터전으로 집을 탐구한 <즐거운 나의 집> 전시가 종로구 동숭동에 있는 아르코 미술관에서 열린다. 유년 시절을 보낸 ‘기억의 집’, ‘현재 사는 집’, ‘살아보고 싶은 꿈속의 집’이라는 3가지 주제로 구성된 이번 전시는 시각예술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작가 10인과 건축가 그룹, 디자이너 등이 참가했다. 전시 기간에는 가족과 집에 대한 가치관과 의미를 되새겨보는 워크숍 ‘어떤 집에 살고 싶으세요’를 진행한다고 하니 가족과 함께 참가하면 뜻깊은 시간이 될 듯. 전시는 12월 12일부터 2015년 2월 15일까지.
문의 아르코 미술관 02-760-4850
에디터 최고은

CR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