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라 홈의 서울 입성, 2015년을 부탁해!, 북유럽 스타일 수전, 진화하는 메종&오브제의 대표 필립 보카르트
↑ 자라 홈의 S/S 컬렉션 자라 홈의 서울 입성
패션 브랜드 자라의 홈 데코 브랜드 자라 홈 Zara home이 서울에 첫 매장을 오픈했다. 리뉴얼한 코엑스몰에 들어선 자라 홈은 35㎡의 매장에 리빙 관련 제품을 두루 선보인다. 매장은 무채색과 밤나무 소재, 대리석 바닥 등을 사용했으며 모든 조명을 LED로 사용해 자라 홈이 지향하는 친환경적인 인테리어를 강조한 것이 특징. 자라 홈은 전 세계 다른 매장과 동일하게 매 시즌 트렌드를 반영한 컬렉션을 1년에 2번씩 선보일 예정이며 신제품은 패션과 동일하게 일주일에 2번 입고돼 발 빠르고 유행에 민감한 소비자들을 배려했다. 뿐만 아니라 방향제 코너부터 키즈 섹션, 바다 모티프의 마린 섹션, 주방과 생활 소품, 침구 코너 등 집 안 전체를 꾸밀 수 있는 대부분의 아이템을 경제적인 가격대로 선보이고 있어 자라 홈 론칭을 기다려온 이들을 만족시킬 것이다.
문의 02-3453-9395
에디터 신진수
2015년을 부탁해!
새해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철저한 일정 관리는 필수. 한 해 동안의 기록을 담아낼 신년 다이어리를 모았다. 1 천연 소가죽으로 만든 수제 다이어리는 가죽 공방 헤비츠 제품. 6만9천원. 2 무지 노트 안에 월별 정리가 가능한 그리드 노트가 북인북 형태로 구성된 제품은 페이퍼팩에서 판매. 9천원. 3 월별, 일별로 정리할 수 있는 속지와 그리드 노트가 포함된 다이어리는 북바인더스 디자인 제품. 각 4만5천원. 4 감각적인 그래픽디자인이 돋보이는 플래너는 덴스 제품. 1만3천5백원. 5 겉표지를 접어서 스마트폰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는 독특한 다이어리는 올레멤버십 한정판. 가격 미정. 에디터 최고은 | 포토그래퍼 차가연 | 어시스턴트 송유진
북유럽 스타일 수전
욕실 브랜드 아메리칸 스탠다드에서 신제품 수전 노만 Norman을 출시했다. 노만은 실용적이고 간결한 디자인을 추구하는 북유럽 스타일의 수전으로 절제된 디자인을 통해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핸들 부분이 얇고 가벼워 보이지만 만졌을 때는 손에 감기는 편안함을 느낄 수 있으며 샤워 욕조 수전은 전환 밸브를 측면에 설치해 군더더기 없이 깔끔하다. 실리를 추구하면서도 디자인 감각을 놓치지 않는 북유럽 디자인을 이제 욕실에서도 느껴볼 수 있을 듯하다.
문의 아메리칸 스탠다드 1588-5903
에디터 신진수
진화하는 메종&오브제의 대표 필립 보카르트 서울을 방문한 이유와 서울의 리빙 시장에 대한 소감이 궁금하다. 이번 아시아 페어에서도 300명 이상의 한국인이 방문한 만큼 서울은 우리에게 의미 있는 도시다. 어제 서울 시내의 숍과 업체들을 둘러봤는데 여러 면에서 한국의 리빙 수준이 높고 고급스럽다는 걸 느꼈다. 메종&오브제 아시아 주최국으로 싱가포르를 선정한 이유는? 싱가포르는 교통과 접근성, 시설 등이 좋은 곳이다. 지리적으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중심부이기 때문에 아시아권에서 방문하기에도 편리하다. 파리나 마이애미가 그렇듯 예술이나 건축 문화, 디자인 분야에서 싱가포르는 주목받는 국가다. 메종&오브제 아시아의 경쟁력은 무엇인가? 메종&오브제 아시아는 독창성이 있고 부가가치가 높은 브랜드와 작품들을 엄선했다. 규모가 작기 때문에 수준별 전시보다는 최고급 디자인을 소개하는 데 집중했다.2015년 1월에 시작될 메종&오브제 파리에서 중요한 이슈는 무엇인가? 넬리 로디, 뱅상 그레고르, 엘리자베스 르리슈의 트렌드관은 단연 중요하다. 또 급부상하고 있는 푸드 시장의 영향으로 쿡앤디자인관도 커졌다. 홀7에서 열릴 일본 디자이너팀 랩의 디지털 전시물도 꼭 보길. 메종&오브제 아시아에서 아시아 탤런트로 박원민 작가가 선정됐다. 어떤 이유인가? 메종&오브제에는 디자이너를 선정하는 팀이 따로 있다. 이들은 정말 다양한 채널을 통해서 디자이너에 대한 정보를 얻고 수집한다. 그 후 논의를 거쳐서 선정하는데 한국의 박원민 작가는 여러 면에서 최근 부각된 디자이너라고 생각했다. 메종&오브제에 참가하려는 브랜드나 작가들에게 조언을 한다면? 밀라노 국제가구박람회와는 다르게 메종&오브제는 모두에게 열려 있다. 하지만 우리가 중시하는 품질과 디자인을 만족시켜야 한다. 일본의 세라믹관처럼 그 나라에 특화된 전시관은 국가의 이미지나 위상을 높인다. 한국도 그럴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에디터 신진수│포토그래퍼 차가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