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지락 바지락

바지락 바지락

바지락 바지락

개운한 맛을 내는 바지락. 더욱이 추운 겨울, 뽀얀 바지락 국물을 마시면 속이 뜨끈해지면서 시원한 맛이 일품이다.

개운한 맛을 내는 바지락. 더욱이 추운 겨울, 뽀얀 바지락 국물을 마시면 속이 뜨끈해지면서 시원한 맛이 일품이다. 그 비밀은 바로 바지락의 아미노산. 밍밍한 맹물에 바지락만 넣어도 맛있는 이유가 바로 바지락의 아미노산이 내는 감칠맛 때문이다. 맛있는 아미노산은 피로와 숙취 해소에도 큰 도움을 준다. 간 기능이 저하될 때 바지락을 넣어 팔팔 끓인 국물을 먹으면 몸살 기운을 떨칠 수 있다. 바지락국, 바지락 칼국수, 바지락 수제비, 바지락 된장찌개 등 바지락 하면 역시 국물 요리가 가장 잘 어울린다. 여기서 보다 맛있게 즐기는 방법! 끓는 물에 바지락을 넣으면 바지락이 먹은 모래가 빠져나오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바지락을 넣고 끓인 국물은 체에 걸러 사용하는 것이 좋다. 마트에서 판매하는 봉지 바지락은 해감할 필요 없이 옅은 소금물에 바락바락 문질러 씻는다. 손질한 바지락을 물에 넣고 한소끔 끓여 국물색이 뽀얗게 되면 국물은 체에 거르고 살은 먹기 좋게 바른다. 이렇게 완성된 바지락 국물에 각종 채소와 양념을 넣고 끓인다. 팔팔 끓이다가 상에 내기 전 발라낸 살을 넣고 한소끔 더 끓이면 개운한 국물과 질기지 않고 부드러운 바지락을 맛볼 수 있다. 이탈리아식 바지락찜은 별미 중에 별미. 달군 팬에 올리브오일을 두르고 바지락을 넣어 볶다가 먹고 남은 화이트와인을 넣고 끓인다. 이때 와인의 알코올과 바지락의 비린내가 동시에 날아간다. 바지락이 입을 열 때까지 끓이다가 소금과 후춧가루로 간하면 진한 국물 맛이 술안주로도 좋다.

에디터 이경현 | 포토그래퍼 진희석 | 드로잉 장우석 | 도움말 김영빈(수랏간)

CREDIT
얼린 재료 백분 활용법

얼린 재료 백분 활용법

얼린 재료 백분 활용법

아끼자는 심산에 남은 재료를 냉동고에 보관한다. 하지만 몇 달이 지나도록 화석처럼 굳어버린 재료를 결국 사용하지 못하고 버리기 일쑤. 번거롭지만 최소한의 손질을 해두었다 적재적소에 요리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브로콜리
흐르는 물에 씻고 송이와 줄기를 따로 잘라 얼린다. 얼린 송이는 찌개나 찜, 파스타 등에 사용한다. 얼린 줄기는 각종 볶음에 넣어 아삭한 맛을 더한다.

브로콜리 달걀찜
얼린 브로콜리 20g, 달걀 3개, 물 2와1/2컵, 맛술 1큰술, 새우젓 1작은술

1 달걀, 물, 맛술을 고루 섞어 고운체에 내린다.
2 1에 새우젓으로 간한다.
3 내열용기에 2의 달걀물을 붓는다. 표면에 뜬 거품을 숟가락으로 걷고 쿠킹포일로 덮는다.
4 김이 오른 찜통에 3을 넣고 약한 불에서 20분간 찐다.
5 4의 달걀찜에 얼린 브로콜리를 올리고 다시 쿠킹포일로 덮어 10분간 찐다.

매생이
매생이는 옅은 소금물에 흔들어 헹군다. 고운체에 밭쳐 물기를 꼭 짠 다음 우유팩에 넣고 얼린다. 끓는 국이나 칼국수 등에 넣거나 곱게 푼 반죽에 넣어 전으로 부쳐 먹는다.

매생이 비지전
얼린 매생이 30g, 시판 콩비지 1봉, 밀가루 1/4컵, 포도씨오일 적당량, 간장 소스(간장 2큰술, 식초 1/2큰술, 맛술 1큰술)

1 얼린 매생이는 꺼내어 실온에서 반나절 녹인다.
2 콩비지에 녹인 매생이와 밀가루를 넣고 고루 섞는다.
3 달군 팬에 포도씨오일을 두르고 2의 반죽을 한 숟가락씩 떠서 넣는다.
4 앞뒤로 노릇하게 지지고 간장 소스를 곁들인다.


생이나 무침으로 먹고 남은 굴은 옅은 소금물에 헹궈 이물질을 제거한다. 물기를 제거한 다음 우유팩에 넣고 얼린다. 국, 찌개, 칼국수, 라면 등 끓는 국물에 얼린 굴을 넣고 한소끔 끓이면 시원한 맛을 즐길 수 있다.

굴 라면
얼린 굴 60g, 라면 1봉, 대파 조금

1 얼린 굴은 실온에서 30분간 녹인다.
2 끓는 물에 라면 스프와 건더기를 넣고 끓인다.
3 팔팔 끓으면 면을 넣고 끓인다.
4 면이 적당히 익으면 녹인 굴을 넣는다.
5 한소끔 끓으면 어슷하게 썬 대파를 넣는다.

쇠고기
남은 쇠고기는 한입 크기로 큼직하게 자른다. 육즙이 빠지지 않도록 올리브오일을 뿌려 버무린 다음 소금과 후춧가루로 간한다. 이렇게 얼린 쇠고기는 찹 스테이크를 비롯한 각종 볶음에 사용한다.

찹 스테이크
얼린 채끝살 150g, 브로콜리 4작은송이, 빨강 파프리카 · 노랑 파프리카1/2개씩, 양파 1/4개, 마늘 3쪽, 포도씨오일 1작은술, 소스(시판 스테이크 소스 3과1/2큰술, 토마토케첩 · 우스터소스 2큰술씩, 물엿 1과1/2큰술, 우유 1큰술), 소금 · 후춧가루 조금씩

1 얼린 채끝살은 전자레인지에서 2분간 해동한다.
2 브로콜리, 파프리카, 양파는 한입 크기로 썬다. 마늘은 편으로 썬다.
3 달군 팬에 포도씨오일을 두르고 마늘과 양파를 볶는다.
4 매운 향이 돌면 해동한 고기와 브로콜리, 파프리카를 넣고 소금과 후춧가루로 간하여 볶는다.
5 고기가 다 익으면 분량의 소스를 넣고 간이 고루 배도록 볶는다.

시금치
밑동을 자르고 소금을 넣은 끓는 물에 데친다. 색이 파랗게 변하면 흐르는 물에 헹궈 열을 식힌다. 물기를 꼭 짠 다음 우유팩에 넣고 얼렸다가 국, 무침, 볶음에 활용한다.

시금치 된장국
얼린 시금치 70g, 바지락 1봉, 물 · 멸치 국물1컵씩, 된장 2큰술, 다진 마늘 1작은술

1 얼린 시금치는 실온에서 녹인다.
2 냄비에 멸치 국물과 물 1컵을 넣는다.
3 2에 된장을 넣고 곱게 푼 다음 중간 불에서 끓인다.
4 한소끔 끓으면 녹인 시금치와 바지락을 넣고 끓인다.
5 바지락이 입을 벌리면 다진 마늘을 넣고 팔팔 끓인다.

다진 고기
구슬 모양으로 둥글게 뭉쳐서 얼리면 필요할 때마다 한 알씩 떼어 국이나 찌개, 볶음에 활용할 수 있다. 간 쇠고기 100g에 빵가루 2큰술을 넣고 소금과 후춧가루로 간해서 미트볼로 만들어 토마토소스 파스타에 곁들여도 좋다.

미트 파스타
얼린 미트볼 150g, 스파게티면 100g, 양파 1/2개, 마늘 3쪽, 시판 토마토소스 1컵, 올리브오일 1큰술, 소금 · 후춧가루 조금씩

1 마늘은 편으로 썰고 양파는 굵직하게 채 썬다.
2 얼린 미트볼은 전자레인지에서 2분간 해동한다.
3 끓는 물에 소금 1작은술을 넣고 스파게티면을 8분간 삶는다.
4 달군 팬에 올리브오일을 두르고 1의 마늘과 양파를 넣고 볶는다.
5 매운 향이 돌면 해동한 미트볼을 넣고 굴리면서 볶는다.
6 미트볼이 익으면 토마토소스를 넣고 끓인다.
7 한소끔 끓으면 삶은 파스타면을 넣고 간이 고루 배도록 볶고 소금과 후춧가루로 간한다.


식초를 옅게 푼 물에 헹궈 비린 맛을 제거하고 흐르는 물에 헹군다. 물기를 꼭 짠 다음 우유팩에 넣고 얼린다. 새콤한 초고추장이나 두부와 참기름 등을 넣고 조물조물 무쳐 먹거나 샐러드에 넣어 생으로 먹는다.

유자 톳 샐러드
얼린 톳 50g, 딸기 10개, 감 1개, 유자 소스(유자청 2큰술, 레몬즙 1개분, 식초 1큰술, 올리브오일 2큰술, 다진 마늘 · 소금 1/2작은술, 빻은 통후추 조금)

1 얼린 톳은 실온에서 30분간 녹인다.
2 딸기는 꼭지를 떼고 감은 껍질과 씨를 제거한다.
3 2의 과일을 한입 크기로 썬다.
4 분량의 유자 재료를 고루 섞는다.
5 녹인 톳에 손질한 과일과 유자 소스를 넣고 고루 버무린다.

통조림 죽순
흐르는 물에 씻어 마디마디의 하얀 석회질을 제거한다. 끓는 물에 데쳐서 얇게 썬 다음 우유팩에 넣고 얼린다. 이렇게 얼린 죽순은 간장 소스나 매콤한 중식 소스를 곁들인 볶음 요리에 사용한다.

굴소스 죽순볶음
얼린 죽순 70g, 새우 10마리, 양파 1/2개, 다진 마늘 1큰술, 포도씨오일 적당량, 시판 굴소스 1큰술, 후춧가루 조금, 참기름 1작은술

1 새우는 껍질과 내장을 제거한다.
2 양파는 한입 크기로 썬다.
3 달군 팬에 포도씨오일을 두르고 다진 마늘을 넣고 볶는다.
4 매운 향이 돌면 양파를 넣고 볶는다.
5 양파가 투명해지면 새우와 얼린 죽순을 넣고 볶는다.
6 죽순이 녹으면 굴소스와 후춧가루를 넣고 볶는다.
7 고루 간이 배면 불을 끄고 참기름을 넣어 섞는다.

에디터 이경현 | 포토그래퍼 김대형
요리 김윤정(그린테이블) | 그릇 스타일링 원혜민 | 어시스턴트 강은미

CREDIT
Korean Fantasy

Korean Fantasy

Korean Fantasy

풍부한 질감과 질박한 아름다움, 시대를 반영하는 미감을 지닌 우리 도자. 도자는 옛것이라는 고착된 편견을 깨고 재료와 디자인의 한계를 넘어서는 현대 도자의 오늘을 담았다.

소박한 자연 감성
흙으로 빚고, 불 속에서 소성 과정을 거쳐 탄생하는 도자. 별다른 장식 없이 자연스러운 형태와 빛깔만으로 주변을 부드럽게 압도하는 도자의 질박한 아름다움.

왼쪽부터 인퓨저가 들어 있는 머그는 현상화 작가의 작품. 연한 하늘색의 길쭉한 화병과 스틸 질감이 나는 도자 병은 장진 작가의 작품. 우드와 그레이 컬러의 이중 톤 잔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사각형 펜슬 홀더는 하이픈 프로젝트 작품. 거친 표면의 베이지 머그와 눌린 종이컵을 형상화한 접시는 현상화 작가의 작품. 거칠고 매끈한 표면이 반복되는 병은 스타일리스트 소장품. 스프링 모양의 손잡이가 달린 머그와 종이를 돌돌 만 듯한 모양의 스틱, 갈색 접시는 현상화 작가의 작품. 스틸 질감이 나는 병은 장진 작가의 작품. 검은색 디퍼는 강희성 작가의 작품. 갈색 저그는 현상화 작가의 작품. 검은색과 우드 잔은 하이픈 프로젝트 작품. 검은색 캔들 홀더는 강희성 작가의 작품.

순백의 아름다움
단순한 형태와 고결한 빛깔이 매력적인 백자. 현대 작가들은 백자를 중심으로 위트 있는 디자인과 포인트 컬러를 넣은 작품을 더해 백자의 새로운 베리에이션을 선보인다.

왼쪽 아래부터 여러 개의 커트러리 모양을낸 유광 백자 접시와 커트러리를 하나 둘씩 올린 무광 백자 접시, 물을 쏟아 번진 형태의 백자 접시와 반으로 가른 형태의 잔과 티포트는 김하윤 작가의 작품. 회색빛 조약돌이 올라간 모양의 백자 접시는 박보영 작가의 작품. 아래쪽에 동그랗게 홈을 파 금색으로 칠한 독특한 머그는 이지수 작가의 작품. 연보라색 원을 재미있게 연결해 새로운 형태의 뚜껑을 만든 용기와 토끼 귀처럼 길쭉한 형태의 뚜껑이 달린 용기는 김자연 작가의 작품. 아래쪽이 흘러내린 듯한 형태의 종이컵 사이즈 머그는 남 세라믹 웍스 작품. 금색 무늬를 넣은 손잡이의 머그는 양지운 작가의 작품. 판재는 키엔호의 수퍼 에로션 빈티지 티크.

컬러 효과
재료의 한계를 넘어서고 새로운 형태와 컬러 매치를 시도하는 모던 도자의 또 다른 가능성.

왼쪽 위부터 선으로 깔끔하게 모양을 넣은 흰색 사각형 접시는 양지운 작가의 작품. 젓가락과 도자 받침은 저집 작품. 줄무늬가 들어간 젓가락 받침과 사각형 다용도 오브제, 삼각형 모양의 캔들 홀더, 벼루를 연상시키는 모양의 접시는 권진희 작가의 작품. 한쪽 끝을 구부린 모양의 흰색 접시는 양지운 작가의 작품. 젓가락과 도자 받침은 저집 작품. 동그란 구멍이 뚫린 홀더와 한쪽 끝이 반듯한 볼과 하늘색 정사각형 트레이와 볼, 작은 접시와 종지 세트, 다용도 받침은 권진희 작가의 작품. 한쪽 끝을 구부려 채색한 흰색 접시는 양지운 작가의 작품. 접시 위쪽의 젓가락과 도자 받침은 저집 작품. 집 모양의 캔들 홀더는 권진희 작가의 작품. 타일은 윤현상재.

고결한 빛깔
하늘색 도자의 고결한 빛깔과 백자의 심플하고 깨끗한 매력이 만나 빚어내는 서정적인 풍경.

왼쪽부터 한쪽 끝에 금색 오브제가 달린 볼은 장진 작가의 작품. 길쭉한 나무 손잡이가 달린 용기는 강희성 작가의 작품. 금색 오브제가 달린 연한 하늘색 병은 장진 작가의 작품. 표면이 거친 흰색 머그는 현상화 작가의 작품. 입구가 넓은 병은 장진 작가의 작품. 녹색 도자 코스터는 양지운 작가의 작품. 켜켜이 쌓아올린 디저트 접시는 강희성 작가의 작품. 컬러풀한 손잡이가 달린 심플한 흰색 머그는 조신현 작가의 작품. 머그에 있는 도톰한 스틱은 현상화 작가의 작품. 흰색과 연하늘색 병은 장진 작가의 작품. 판재는 키엔호 슈퍼 에로션 빈티지 티크.

에디터 송정림 | 포토그래퍼 이과용
스타일리스트 홍희수 | 어시스턴트 김지희 · 경선화 · 김정희

CR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