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부한 질감과 질박한 아름다움, 시대를 반영하는 미감을 지닌 우리 도자. 도자는 옛것이라는 고착된 편견을 깨고 재료와 디자인의 한계를 넘어서는 현대 도자의 오늘을 담았다.
소박한 자연 감성
흙으로 빚고, 불 속에서 소성 과정을 거쳐 탄생하는 도자. 별다른 장식 없이 자연스러운 형태와 빛깔만으로 주변을 부드럽게 압도하는 도자의 질박한 아름다움.
왼쪽부터 인퓨저가 들어 있는 머그는 현상화 작가의 작품. 연한 하늘색의 길쭉한 화병과 스틸 질감이 나는 도자 병은 장진 작가의 작품. 우드와 그레이 컬러의 이중 톤 잔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사각형 펜슬 홀더는 하이픈 프로젝트 작품. 거친 표면의 베이지 머그와 눌린 종이컵을 형상화한 접시는 현상화 작가의 작품. 거칠고 매끈한 표면이 반복되는 병은 스타일리스트 소장품. 스프링 모양의 손잡이가 달린 머그와 종이를 돌돌 만 듯한 모양의 스틱, 갈색 접시는 현상화 작가의 작품. 스틸 질감이 나는 병은 장진 작가의 작품. 검은색 디퍼는 강희성 작가의 작품. 갈색 저그는 현상화 작가의 작품. 검은색과 우드 잔은 하이픈 프로젝트 작품. 검은색 캔들 홀더는 강희성 작가의 작품.
순백의 아름다움
단순한 형태와 고결한 빛깔이 매력적인 백자. 현대 작가들은 백자를 중심으로 위트 있는 디자인과 포인트 컬러를 넣은 작품을 더해 백자의 새로운 베리에이션을 선보인다.
왼쪽 아래부터 여러 개의 커트러리 모양을낸 유광 백자 접시와 커트러리를 하나 둘씩 올린 무광 백자 접시, 물을 쏟아 번진 형태의 백자 접시와 반으로 가른 형태의 잔과 티포트는 김하윤 작가의 작품. 회색빛 조약돌이 올라간 모양의 백자 접시는 박보영 작가의 작품. 아래쪽에 동그랗게 홈을 파 금색으로 칠한 독특한 머그는 이지수 작가의 작품. 연보라색 원을 재미있게 연결해 새로운 형태의 뚜껑을 만든 용기와 토끼 귀처럼 길쭉한 형태의 뚜껑이 달린 용기는 김자연 작가의 작품. 아래쪽이 흘러내린 듯한 형태의 종이컵 사이즈 머그는 남 세라믹 웍스 작품. 금색 무늬를 넣은 손잡이의 머그는 양지운 작가의 작품. 판재는 키엔호의 수퍼 에로션 빈티지 티크.
컬러 효과
재료의 한계를 넘어서고 새로운 형태와 컬러 매치를 시도하는 모던 도자의 또 다른 가능성.
왼쪽 위부터 선으로 깔끔하게 모양을 넣은 흰색 사각형 접시는 양지운 작가의 작품. 젓가락과 도자 받침은 저집 작품. 줄무늬가 들어간 젓가락 받침과 사각형 다용도 오브제, 삼각형 모양의 캔들 홀더, 벼루를 연상시키는 모양의 접시는 권진희 작가의 작품. 한쪽 끝을 구부린 모양의 흰색 접시는 양지운 작가의 작품. 젓가락과 도자 받침은 저집 작품. 동그란 구멍이 뚫린 홀더와 한쪽 끝이 반듯한 볼과 하늘색 정사각형 트레이와 볼, 작은 접시와 종지 세트, 다용도 받침은 권진희 작가의 작품. 한쪽 끝을 구부려 채색한 흰색 접시는 양지운 작가의 작품. 접시 위쪽의 젓가락과 도자 받침은 저집 작품. 집 모양의 캔들 홀더는 권진희 작가의 작품. 타일은 윤현상재.
고결한 빛깔
하늘색 도자의 고결한 빛깔과 백자의 심플하고 깨끗한 매력이 만나 빚어내는 서정적인 풍경.
왼쪽부터 한쪽 끝에 금색 오브제가 달린 볼은 장진 작가의 작품. 길쭉한 나무 손잡이가 달린 용기는 강희성 작가의 작품. 금색 오브제가 달린 연한 하늘색 병은 장진 작가의 작품. 표면이 거친 흰색 머그는 현상화 작가의 작품. 입구가 넓은 병은 장진 작가의 작품. 녹색 도자 코스터는 양지운 작가의 작품. 켜켜이 쌓아올린 디저트 접시는 강희성 작가의 작품. 컬러풀한 손잡이가 달린 심플한 흰색 머그는 조신현 작가의 작품. 머그에 있는 도톰한 스틱은 현상화 작가의 작품. 흰색과 연하늘색 병은 장진 작가의 작품. 판재는 키엔호 슈퍼 에로션 빈티지 티크.
에디터 송정림 | 포토그래퍼 이과용
스타일리스트 홍희수 | 어시스턴트 김지희 · 경선화 · 김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