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번 보면 눈을 뗄 수 없는 강렬한 인상의 컬렉션을 선보여온 모로소. 장인 정신을 중시하는 이탈리아 태생의 브랜드 모로소를 만났다.
↑ 크바드랏과 협업한 원단과 제품을 선보인 ‘회전하는 방’ 쇼룸.
모로소는 모던 디자인의 한 흐름을 이끌어온 이탈리아의 브랜드다. 1952년부터 이탈리아 우디네에서 디자이너들과 함께 럭셔리한 소파와 의자를 만들기 시작해 오늘날 모로소 가족의 2세대들이 브랜드를 이끌고 있다. CEO인 로베르토와 아트 디렉터인 파트리샤가 그들이다. 1974년 소파 아메리카와 1986년 마시모 요사 기니의 다이내믹 컬렉션 Dynamic Collection이 우리가 알고 있는 모로소의 시작점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모로소는 전쟁 이후 이탈리아에 지배적으로 퍼져 있던 ‘무언가를 하고, 그 무언가를 잘 해내는 것’이란 철학을 계승해왔다. 특히 수공예나 재단 방식 등 장인의 손길과 기술력을 결합시키는 데 탁월한 재능을 발휘해왔기 때문에 모로소의 제품을 보면 공장에 찍어낸 것과는 다른 감성과 디테일이 살아 있으면서도 실용적이다. 아메리카와 다이내믹 컬렉션 이후 안토니오 치테리오의 소파 리치 Rich, 론 아라드의 소파 타미기 Tamigi 그리고 모로소에 큰 성공을 안겨준 마크 뉴슨의 의자 글루온 Gluon 등을 출시하며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굳건히 다져 나갔다.
약 70명의 장인들과 협업을 하는 모로소의 제품은 한마디로 강렬하다. 제품이 지닌 아름다움에 초점을 맞춘 모로소는 늘 진짜 예술, 진짜 아름다움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어한다. 또 제품의 품질을 결정하는 것이 요소 간의 결합에서 비롯된다고 믿는 모로소는 장인들, 재단사들과 함께 섬세한 손길로 제품 구석구석을 살핀다. 때문에 모로소의 제품은 고품질로 평가받고 있다.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모로소는 하비에르 마리스칼의 ‘알레산드라 Alessandra’, 론 아라드의 ‘빅토리아 앤 앨버트 Victoria And Albert’ 등 모로소의 정체성을 확실하게 드러내는 컬렉션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특히 우르퀴올라는 2002년 모로소를 통해 의자 ‘피오르드 Fjord’를 발표하면서 불세출의 색채 감각을 인정받았다.
벌어진 꽃잎을 형상화한 ‘안티보디 Antibodi’ 시리즈와 올록볼록한 시트 부분이 재미있는 ‘비크니트 Biknit’, 열대의 아름다움이 떠오르는 데이 베드 ‘트로피컬 벤치 Tropical Bench’ 등 특유의 강렬한 컬러 매치가 돋보이는 가구들이 모로소를 대표한다. 모로소가 중시하는 디테일과 장인 정신이 반영된 디자인을 보여준 우르퀴올라는 소파에 컬러를 더하고, 양감을 살려서 쉬는 용도 이상의 가치를 보여줬다. 특히 작년에는 밀라노 모로소 부티크 쇼룸에서 크바드랏과 협업한 원단과 모로소의 신제품을 ‘회전하는 방 The Revolving Room’ 컨셉트로 선보여 주목받았다.
모로소는 패션 브랜드 디젤과 함께 리빙 컬렉션을 선보이고 있다. 자유분방하고 에너지가 넘치는 디젤과 모로소는 찰떡궁합이다. 언더그라운드의 느낌과 밝고 경쾌한 분위기를 적절하게 표현해내고 있는 디젤 컬렉션은 테이블, 소파, 캐비닛 등 다양한 군의 리빙 컬렉션을 전개하며 그들의 모토대로 성공한 삶을 보여주고 있다. 새로운 표현 방식에 목말랐던 디자이너라면 탐날 수밖에 없는 브랜드 모로소. 모로소는 앞으로도 다른 브랜드의 대안인 동시에 브랜드의 정체성을 굳건히 지켜 나갈 것이다.
↑ 1 로스 러브그로그의 ‘슈퍼 내추럴’. 2 하비에르 마리스칼의 ‘알레산드라’ 암체어. 3 마크 뉴슨의 ‘글루온’.
↑ 1 유기적인 디자인의 ‘V&B’. 2 모듈로 구성할 수 있는 ‘돌로레즈’ 소파. 3 패턴대로 모양을 낸 ‘번트 두들’ 테이블. 4 2014 디젤 컬렉션.
↑ 1 아웃도어 라운지 체어 ‘섀도위’. 2 벤자민 휴버트의 ‘탈마’. 3 활짝 핀 꽃 모양의 ‘안티보디’. 4 가죽 소재의 ‘리치’ 암체어.
에디터 신진수│자료협조 모로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