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Wooden Tales

The Wooden Tales

The Wooden Tales

다듬고 다듬어 매끈한 것이 더 많아지는 세상에서 자연에 대한 동경은 오히려 깊어진다. 본질 그리고 순수성의 다른 이름, 나무. 숲 속 정령들의 호위를 받으며 나무 가구는 그들의 시작점으로 돌아갔다.

Spirit of Craft
어디에서 왔을까. 장인의 손끝에서 선택되어 마무리되기까지 이 작은 소품들이 걸어온 길은 장인의 인생, 그것과도 닮았다. 길고 긴 인내의 시간 속에 고유의 이야기를 품게 된 작은 나무 소품은 테이블 위의 표정을 바꾼다.

장미목으로 만든 매끄한 단면의 접시는 서기열 작가의 작품으로 KCDF. 먹감나무의 색조화가 멋스러움을 더한 촛대는 반김. 옹이가 있는 캔들 홀더는 챕터원. 커다란 느릅나무와 산벗나무의 속을 파내 만든 함지박은 모두 김용회 작가의 작품으로 KCDF. 나무의 결을 살려 만든 블루레뇨 도마는 NNN에서 판매. 사각형 트레이는 김희수 작가의 작품으로 KCDF. 원목 그대로의 숨결이 느껴지는 차시는 김용회 작가의 작품으로 KCDF.

Travelling Chair
세상 사람들의 얼굴만큼이나 다양한 의자. 지지대를 잡고 상판을 얹고 무게중심을 계산하는 지상 위의 최초의 건축물인 의자. 이토록 매력적인 나무 의자는 수많은 작가들의 연서를 받아왔고 지금도 탄생하고 있다.

가죽을 덧대 만든 참나무 소재의 한스 베그너 의자, CH29는 칼 한센&선스 제품으로 에이후스. 물푸레나무로 만든 의자는 땅뜨디자인. 버려진 폐 목재를 활용해 만든 의자는 피트 하인 이크 작품으로 에이후스. 성냥개비 모양의 조명은 에스갤러리. 원목으로 만든 그랑프리 의자는 아르네 야콥센 작품으로 프리츠한센 제품으로 에이후스.

Brotherhood in forest
서로 다른 탄생 비화를 품고 있지만 아무리 꾸미고 치장해도 나무라는 원형질은 이질적인 조형성을 하나로 묶어준다. 스쳐 지나가지 못할 강렬한 디자인, 그러나 몸을 기대고 등을 대면 나무는 나지막이 이야기를 들려준다.

마크 뉴슨의 유기적인 디자인이 특징인 나무 의자는 카펠리니. 버려진 나뭇조각들로 만든 의자 파벨라는 캄파나 형제의 디자인. 에드라 제품으로 웰즈. 목 받침이 있어 편안한 시빌 이지 체어는 보쿠즈. 아프리카의 동물 가죽을 모티프로 디자인한 벽지는 엘리티스 제품으로 다브. 종이를 말아놓은 듯한 참나무 시계는 이헤베뜨.

Let it Slow
도시의 굉음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숲 속 세상. 시간의 흐름도, 공기의 흐름도 달라진다. 내밀한 공상이 피어나는 순간, 나무와 가구는 가장 가까운 친구가 된다.

바 형태의 원형 목제 테이블과 커피 테이블, 스툴은 모두 스네드커 가든 제품으로 덴스크. 사람이 걸터앉아 있는 듯한 위트 있는 디자인의 테이블 램프는 에스갤러리. 닐스 홀거 무어만이 디자인한 사이드 테이블은 무어만 제품으로 인엔. 제비와 꽃잎이 날아다니는 서정적인 느낌의 원단은 장 폴 고티에 제품으로 다브. 원목 받침이 있는 유리 보관함은 메종드실비.

Empty Your Mind
나무는 일평생 서서 살지만 그것으로부터 비롯된 가구는 사람을 앉게 하고 채우게 한다. 그 유연함과 포용력은 완전한 비움까지도 허락한다. 비운 채로도 충만한 책상 위의 모습은 마음에 평정을 안겨준다.

오리가미에서 영감을 받아 마치 종이가 접힌 듯한 느낌의 패턴과 플라워 패턴이 입체감을 만드는 벽지는 엘리티스 제품으로 다브. 나무가 서 있는 모양의 코트랙은 카리모쿠 제품으로 리모드. 자연스러운 나무 테이블 램프는 프렌치헤리티지 제품. 아띠끄디자인. 나무로 만든 보관함은 디자이너이미지. 유기적인 디자인의 티크목 의자는 인엔. 다각형의 상판과 불규칙한 각도의 다리가 특징인 테이블은 프레그셋. 육각 형태의 간이 월넛 테이블은 땅뜨디자인.

Soulmate
책과 나무 책장. 이들의 탄생은 모두 나무에게 빚을 지고 있다. 우리는 숲 속의 나무를 집으로 가져올 수는 없지만 거실에서 또는 방 안에서 나무를 마주하며 살 수 있다. 나무에서 가구로, 책으로 이어지는 오래된 순환은 말 없는 정직한 친구처럼 생활 속에 자리한다.

기하학적 패턴이 돋보이는 패브릭은 데다 제품으로 유앤어스. 부드러운 곡선의 월넛 프레임과 알루미늄 판의 조화가 아름다운 선반은 양웅걸 작가의 작품으로 엘스토어. 집 모양의 캔들 홀더는 NNN. 삼각 큐브 형태의 단풍나무 소재 캔들 홀더는 루밍. 얇은 환봉을 이용하여 시각적인 경쾌함과 선반 특유의 안정감을 동시에 갖춘 책장은 타입파이브. 나무와 유리로 이루어진 조명은 에스갤러리. 꽃을 형상화한 리넨 소재의 쿠션은 엘리티스 제품으로 다브. 진한 남색 바탕에 다양한 식물과 동물 패턴이 어우러진 쿠션은 엘리티스 제품으로 다브. 3개의 다리가 안정감을 주는 원목 플로어 조명은 와츠. 기하학적 패턴이 만드는 입체에서 새어나오는 빛과 그림자가 아름다운 조명은 루밍. 사다리 형태의 장식 선반은 메종드실비.

에디터 박명주 | 포토그래퍼 임태준 | 스타일리스트 최지아 (가라지) | 어시스턴트 송유진·장인우

CREDIT
우리의 첫 번째 집

우리의 첫 번째 집

우리의 첫 번째 집

결혼한 지 반년도 되지 않은 신혼부부의 보금자리를 찾았다. 직접 할 수 없는 공사만 외부에 맡기고 하나부터 열까지 직접 고르고 계획해 꾸민 안주영, 안지연 부부의 첫 번째 집.

↑ 얼마전 꽃시장에 가서 사온 다양한 종류의 선인장.

신혼집치고는 넓은 평수예요. 큰 평수로 결정하게 된 이유가 있나요?
이 집은 돌아가신 외할머니가 사시던 집이었어요. 결혼을 앞두고 집을 구하면서 외할머니가 사시던 집에서 살기로 결정했어요. 집은 161㎡인데 바닥에 폭이 넓은 회색 타일을 깔아서 더 넓어 보여요.

방이 총 4개인데 어떻게 활용하고 있나요?
부부 침실과 옷 방, 서재 그리고 아직 정리하지 못한 방이 있어요. 아이가 태어나면 아이 방이 될 것 같기도 하고 고민 중이에요. 결혼한 지 4개월 정도 됐는데 둘 다 너무 바빠서 미처 정리하지 못한 짐을 일단 이 방에 넣어두었어요.

↑ 우거진 나무가 보이는 1층. 에어컨부터 소파, 의자 등을 검은색과 회색으로 맞췄다.

집의 컨셉트가 확실한 것 같아요. 인테리어 업체에 의뢰를 했나요?
오랫동안 살아도 질리지 않게 여백이 있는 공간으로 꾸미고 싶었어요. 공사는 직접 진행하기가 어렵잖아요. 바닥부터 벽, 옷장 맞춤 등 큰 공사만 업체에 따로 맡겼어요.

그럼 가구나 내부 스타일링은 부부가 함께 고르고 진행했나요?
결혼 전에 사용하던 것들도 있으며 가구는 모두 직접 골랐어요. 심플하고 깔끔한 디자인의 가구를 주로 골랐는데 색깔도 너무 튀지 않는 것으로 선택했죠.

↑ 철제 격자 중문을 단 현관. 바닥에는 그래픽 액자와 추억이 담긴 사진 액자를 두었다.

집이 거의 무채색인데,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무채색을 좋아해서 옷이랑 소품은 물론 집 안도 자연스럽게 회색이나 검정색으로 기본 공사를 했어요. 1층이라 빛이 덜 드는 편이어서 너무 어두울 것 같아 걱정이 되더라고요. 또 집 전체를 검정과 흰색으로만 가면 너무 차갑고 딱딱한 분위기가 될 것 같아서 바닥의 타일은 회색으로 골라 긴장감을 줄였어요. 핀터레스트나 셀프 인테리어를 소개하는 외국 사이트 등을 참고했고요.

정확히 북유럽 스타일의 집은 아닌 것 같아요. 어떤 스타일을 좋아하나요?
북유럽 브랜드의 가구나 소품이 있긴 하지만 저희 부부는 그냥 단순하고 간결한 디자인을 좋아해요. 그런 디자인을 찾다 보니 자연스럽게 북유럽 브랜드가 섞일 수밖에 없었지요. 뉴욕에서 구입한 우리 부부의 이니셜 오브제, 친정엄마가 주신 세라믹 장식품 등 이야기가 있는 아이템을 모아보려고 해요.

1 부부 침실과 옷 방 사이. 천장에 포인트 조명을 달아 갤러리 같은 느낌을 준다. 2 거실에서 바라본 부엌. 선반을 달아서 좋아하는 소품으로 장식했다. 손님이 많이 오는 편이라 넓은 테이블을 식탁으로 사용하고 있다.

집 안 곳곳에 향초가 참 많네요. 특별히 모으는 아이템인가요?
공간을 빛나게 하는 인테리어의 완성은 향기인 것 같아요. 그래서 향초나 디퓨저를 좋아해요. 은은한 향기는 공간의 분위기를 바꾸는 힘이 있는 것 같아요. 침실, 욕실, 부엌 등 각각의 장소나 날씨, 그날의 기분에 따라 여러 개의 향초를 섞어서 켜고 있어요.

아직 정리 중인 서재가 궁금하네요.
간단하게 집에서 컴퓨터를 하거나 책을 볼 수 있는 작은 서재인데, 남편의 직업이 포토그래퍼라 책이 정말 많아요. 아직 일부만 꺼내서 정리했는데도 양이 상당하더라고요. 2개의 책장 중 하나는 책의 표지를 볼 수 있게 정리할 수 있는 제품이라 자주 보는 책을 수납하기 좋고 흰색 스트링 시스템은 다양한 디자인의 책을 깔끔하게 정리하기에 좋아요.

어떤 방식으로 가구나 소품을 구입하나요?
가구나 소품은 직접 보고 사는 걸 선호해서 온라인으로 주문하기보다는 시간을 내서라도 숍에 가서 찬찬히 살펴봐요.

↑ 뉴욕에서 산 부부의 이니셜 오브제와 친정엄마가 주신 세라믹 제품 등으로 아기자기하게 꾸민 부엌.

1층이라 좋은 점이 더 많은가요?
확실히 빛이 덜 들어서 조금 어둡다는 점은 단점이고요. 대신 오래된 아파트 단지라 나무가 우거져 내 집 앞마당처럼 자연을 즐길 수 있다는 점이 좋아요.

구입하길 가장 잘했다고 생각하는 가구는 무엇인가요?
부엌에 있는 테이블과 의자요. 집에 손님이 오면 보통 10명 정도 될 만큼 많이 오는 편인데 다 같이 앉아서 즐길 수 있는 커다란 테이블이 있는 부엌을 만들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활용도가 높으면서도 거실이랑 연결되는 느낌의 검정색 테이블을 골랐죠. 의자는 디자인을 통일하지 않고 다양하게 사용해도 좋을 것 같아서 컬러만 검정색으로 맞췄어요. 세트로 구입한 제품은 아니지만 다행히 잘 어울리더라고요. 조만간 디자인이 다른 의자 2개를 더 구입하려고 합니다.

↑ 흰색 스트링 시스템을 설치해 정리 중인 서재. 스트링 시스템으로 많은 책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다.

지금 집에 대해 고민하는 부분이 있다면요?
결혼한 지 4개월이 넘었는데 아직 방 하나가 비어 있어요. 이 방을 어떤 공간으로 꾸며야 할지 고민인데 둘 다 영화를 좋아하니 AV룸을 만들까 생각 중이에요. 또 북유럽 티크 소재의 사이드 보드랑 그릇장을 구입하고 싶어요. 나뭇결이 선명한 로즈우드로 만든 가구를 봤는데 정말 예쁘더라고요. 오래 쓰는 그릇이나 기념이 되는 소품 등을 보관할 수 있는 거실 코너 장식장으로 구입하고 싶어요.

나에게 지금 집은 어떤 의미일까요?
휴식과 새로운 에너지를 얻는 가장 편안하게 쉴 수 있는 안식처.

1,2 그래픽적인 무늬의 베드 스프레드를 얹은 침대. 침실 베란다 공간에도 식물을 두어 평온한 분위기다.

1 맞춤 제작한 옷장과 서랍장이 놓인 깔끔한 옷 방. 2 빈티지한 느낌이 좋아서 구입한 금테 두른 찻잔 세트.

1 욕실에는 좋아하는 코스메틱 브랜드인 이솝의 제품을 진열했다. 2 친구가 선물한 클래식한 프렌치 디자인의 접시.

1 천연 왁스와 퍼퓸 에센스가 아낌없이 담겨 있는 알로 캔들. 아끼는 핸드메이드 향초로 공병은 꽃병으로 사용해도 좋을 것 같다. 2 책의 표지를 볼 수 있게 설치한 서재의 책장. 3 신혼여행에서 산 자연스러운 디자인의 나무 도마.

에디터 신진수ㅣ포토그래퍼 이과용

CREDIT
멋진 신세계(3)

멋진 신세계(3)

멋진 신세계(3)

가족처럼 편안하게 머물 수 있는 디자인 게스트하우스와 컬러와 패턴으로 무장한 색다른 게스트하우스 그리고 감각적으로 구성한 부티크 호텔까지 오랫동안 머물고 싶은 마음을 불러일으키는 공간 세 곳을 소개한다.

영감을 충전하는 잠자리
휴식과 함께 새로운 감각을 불어넣어 줄 것 같은, 스타일과 편의성을 모두 충족시키는 부티크 호텔이 서초동에 들어섰다. 소설 호텔. 당신의 인생에 소설 같은 하룻밤을 선사해줄 것 같지 않은가.

↑ 점진적으로 나아가는 율동감 있는 패턴으로 마감한 트리플 시네마 펜트하우스. 여러 명의 투숙객이 계단에 앉아 영화를 감상할 수 있다.

서울은 지금 디자인 호텔 붐이다.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는 부티크 호텔 가운데 가장 눈길을 끄는 호텔을 꼽으라면 단연 ‘소설’이다. 건축주이자 시공을 맡은 빗살무늬 건축의 서영우 대표와 건축과 설계를 담당한 건축 집단 MA의 유병안 대표, 일구구공 도시건축 사무소의 윤근주, 황정환 소장이 인테리어를 맡아 유럽에나 가야 볼 수 있는 세련된 감성과 디자인에 충실한 호텔을 완성했기 때문. 업계에서 손꼽히는 쟁쟁한 이들의 의기투합이 만들어낸 공간은 서영우 대표의 바람처럼 외국인 친구들에게 추천하고 싶을 정도. 여느 부티크 호텔과 달리 로맨틱한 분위기 대신 남성적인 분위기를 내세운 호텔은 지하 3층, 지상 13층 높이의 건물에 12가지 테마로 총 52개의 객실로 이루어져 있다. 때론 스위트하게, 때론 낡은 듯 스타일리시하게, 때론 어둡고 서늘한 누아르적인 스타일을 즐길 수 있어 어떤 방을 고르느냐에 따라 휴식의 스타일도 달라진다. 때문에 내 집처럼 아늑한 분위기를 원하는 이들보다는 신비로운 곳에서 색다른 휴식을 만끽하고픈 이들에게 추천한다.

1 천장을 아치형으로 디자인한 붉은색 벽돌 방에서는 오래된 와인 창고에서 하룻밤을 보내는 이색적인 경험을 할 수 있다. 2 파트리시아 우르퀴올라의 안티보디 체어 위로 폴 헤닝센의 PH4/3 조명을 연출한 객실. 3 손을 씻을 수 있는 개수대를 갖춘 작은 탕비실을 수납장 안에 매입했다.

↑ 플 시네마 펜트하우스 옥상에 마련한 자쿠지 욕조.

최상 층에 자리하고 있는 2개의 펜트하우스는 이곳의 화룡정점. 객실 내 실내 수영장과 적삼목 통나무로 만든 건식 사우나를 갖춘 객실과 3개 층으로 이루어져 있는 트리플 시네마룸에서는 커다란 스크린을 통해 영화를 감상할 수 있고 야외에는 자쿠지를 갖추고 있어 색다른 파티도 즐길 수 있다. 일반 객실은 스위트 24개, 디럭스 26개로 나뉘는데, 특히 스위트 객실의 디자인이 매력적이다. 주변보다 침대를 낮춘 디자인의 다운 스위트부터 착시현상이 일어나는 일루전 스위트, 유럽 고성의 수도원 같은 돔 스위트, 거울로 둘러싸인 미러 스위트는 객실 투어만으로도 호사로운 마음이 들 정도. 주목할 점은 객실을 꾸민 디자인 가구와 소품이다. 한스 베그너의 에그 체어부터 파트리시아 우르퀴올라의 안티보디 체어와 피요르드 체어, 폴 헤닝센의 펜던트 조명 PH5와 PH4/3을 비롯해 파리에서 공수해온 앤티크 소품들로 공간을 단장해 오리지널 가구와 소품을 즐길 수 있다.

1 지하에 위치한 레스토랑에서는 젊은 작가들의 전시와 공연이 펼쳐진다. 2 테이블 위를 장식한 마른 꽃들.

모든 객실에 바람과 햇볕이 가득한 테라스가 있다는 것도 또 하나의 특징. 침실에는 에이스 침대의 파워 스프링 베드와 주변으로는 제네바와 아마하의 오디오 시스템을 갖췄다. 욕실에는 소설 호텔이 천연 성분으로 조향한 배스 용품과 디퓨저, 화장품과 천연 염색으로 가공한 배스 가운과 손 누비 슬리퍼, 일본의 아이디어코 튜블러의 휴지통까지 일상적인 소품에서도 좋은 디자인을 즐길 수 있도록 배려했다. 지하에 자리한 레스토랑에서는 식음료 서비스 외에도 국내외 젊은 아티스트들의 전시와 공연이 펼쳐질 예정이라 디자인과 문화를 동시에 즐기려는 이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을 듯하다.

↑ 실내 수영장 밖으로 적삼목 통나무로 만든 건식 사우나가 자리한 펜트하우스. 호텔 안에서도 테마파크에 놀러 온 듯한 기분을 만끽할 수 있다.

에디터 박명주 | 포토그래퍼 신국범 | 문의 www.snowhotel.co.kr

CR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