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유럽에서는 겨울 동안 강렬하고 온화한 햇빛을 만끽하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제트와 모겐스 부부는 볕이 잘 드는 지역을 찾아 보금자리를 만들기로 결정했다. 코펜하겐 부둣가의 옛 공장을 개조한 이곳이 바로 그들의 안식처다.
↑ 편안한 거실의 휴식 공간. 플래그 핼야드 체어는 한스 베그너가 PP 뫼블러를 통해 선보인 것으로 삼으로 엮은 좌판과 양가죽으로 제작된 헤드 레스트가 특징. 진회색 양털로 짠 카펫은 카스탈 Kasthall의 제품이다. 미켈레 데 루키 Michele de Lucchi와 지안카를로 파시나 Giancarlo Fassina가 디자인한 램프 톨로메오는 아르테미데 제품.
34개의 창문에 유리창이 400여 개나 뚫려 있다. 침실과 욕실을 구분하는 벽은 애초부터 존재하지도 않았다. 시시각각 변모하고 있는 산업 지역에 위치한 그들의 아파트는 정말이지 광활하다는 점이 유일한 미덕이었다. 처음 이곳에 발을 디뎠을 때는 마치 영화 세트장에 들어온 듯한 기분이었다. 코펜하겐 강 왼쪽 지대에 나란히 선 로프트 중 아마도 평수가 넓은 집일 터였다. 오케스트라 지휘자 출신인 모겐스 달 Morgens Dahl은 직업적인 특성상 공간의 음향에 매우 민감했다. 그리고 아내 제트 에겔룬트 Jette Egelund는 인테리어 제품 회사인 비프 Vipp를 운영하고 있어서인지 누구보다 빛에 민감했다. 그래서 실내의 가구와 소품을 햇빛의 이동 경로에 따라 배치했다. 덴마크의 특성상 특히 겨울에는 일조량이 많지 않기 때문에 부족한 햇빛을 최대한 많이 쬐려면 달리 방법이 없는 것도 사실. 이렇다 보니 부부는 동향에 자리한 침실에서 아침 햇살을 받으며 눈을 뜬다. 햇빛은 서서히 손님방 쪽으로 이동한 다음, 남향에 위치한 거실을 비추게 된다.
↑ 화이트 & 블랙 톤의 욕실은 산업디자인 스타일을 고수하며 매우 실용적인 인테리어를 강조했다. 바닥과 세면대의 일부는 블랙 스톤으로 연출했으며 세면대의 수도꼭지는 아르네 야콥센 Arne Jacobsen이 볼라 Vola를 위해 디자인한 모델이다. 욕실 있는 휴지통, 빨래통, 선반, 빗, 비누 받침대, 칫솔통은 모두 비프 제품이다.
이 집은 가족 모두를 위한 식당과 주방이 하나로 이어진 열린 주방으로 설계되었다. 그 대신 여러 톤의 베이지 컬러로 연출하여 해 질 무렵에는 일몰이 연출하는 장관과 은은하게 조화를 이룬다. 제트와 모겐스는 한스 베그너뿐만 아니라 장 푸르베, 소리 야나기, 아킬레 카스틸리오니 등 디자인계의 녹슬지 않는 명품 디자이너의 작품을 수집한다. 20세기를 대표하는 디자인 아이콘을 여러 개 소장하고 있는 것도 그런 이유다. 두 사람은 현대 예술품을 수집하는 것도 좋아한다. 물론 예술품의 위치를 때때로 바꾸기도 한다. 마치 햇빛이 이 로프트의 여러 공간을 떠도는 것처럼 예술품은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자리를 바꾸며 존재하는 듯하다.
↑ 메탈 프레임에 나무 상판을 올린 테이블 위에 놓인 세라믹 제품은 모두 비프에서 제작한 것이다. 과거의 비프는 휴지통을 크기별로 제작하는 사업에 집중했지만 현재는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테이블 양 옆에는 장 프루베가 디자인한 의자가 나란히 놓여 있다. 천장에 설치한 조명등은 카스텔라니&스미스 Castellani & Smith 제품. 왼쪽 벽에 걸린 그림은 피터 보넨 Peter Bonnen의 작품이고 오른쪽은 영국 출신의 익명의 작가가 그린 것이다.
↑ 작은 사각 유리로 된 34개 창문이 로프트를 한층 더 매력적으로 연출하고 있다. 거실에는 한네스 베트슈타인 Hannes Wettstein이 에릭 요르겐센 Erik Jørgensen을 위해 디자인한 소파 ‘델피 Delphi’가 중성적이고 차분한 거실과 어우러진다. PP 뫼블러의 로 테이블은 세라믹 소재로 만든 비프 제품이다. 한쪽에 있는 양 인형은 글러럽스 Glerups의 제품이며 소리 야나기의 스툴 겸 발받침인 ‘버터 플라이’가 카펫 위에 놓여 있다.
에디터 카트린 코르니 Catherine Cornille | 포토그래퍼 로망 리카르 Romain Ric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