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티크에서 모던 빈티지 가구, 첨단 기술을 입은 현대적인 가구로 진화 중인
프레델시아를 알면 덴마크 가구의 역사가 보인다.
↑ 보르게 모겐센이 1963년에 디자인한 소파 ‘2209’.
1911년에 설립된 프레델시아 Fredericia는 고전적인 앤티크 가구를 전문으로 취급하는 회사로 출발했다. 1930년대 후반까지 프레델시아는 성장세를 이어갔고 스칸디나비아 국가 전체로 수출을 하는 등 전성기를 맞았다. 그러나 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자 자본이 부족해지고 가구에 대한 수요가 점차 감소하면서 불황을 겪었다. 전쟁이 지나자 간결한 형태의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유행이 바뀐 것도 회사가 쇠퇴하는 데 한몫했다. 1955년에는 급기야 파산 직전에 이르러 단 3명의 직원만 남게 되었고 사업가인 안드레아스 가베센 Andreas Graversen이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던 프레델시아를 인수하게 되었다.
↑ 한스 베그너가 디자인한 흔들의자 ‘J16’.
그는 기존의 앤티크 가구 라인을 폐기하고 당시 젊은 건축가였던 보르게 모겐센 Borge Mogensen을 영입하는 개혁을 감행했다. 보르게는 제품의 발전을 위해서는 사용자를 관찰해야 한다고 믿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가구를 선보였다. 1962년에 선보인 보르게의 대표작 2213 소파는 간결한 형태와 선이 돋보이는 제품으로 지금까지도 덴마크 곳곳의 관공서와 대사관저, 임원실, 주택 등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프레델시아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J39 의자는 1947년에 출시된 것으로 구조가 아름답고 편안해 다이닝 체어의 표본을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1 일본 디자이너 신 아즈미의 ‘나라 시리즈 Nara Series’ 중 코트 스탠드. 2 유려한 곡선이 특징인 ‘트리니다드’ 의자. 3 난나 디트젤이 프레델시아를 위해 처음으로 디자인한 작품 ‘두 개의 벤치’. 4 덴마크 빌룬드 공항을 위해 디자인한 ‘난나 Nanna 벤치 3540’.
1995년 안드레아스의 아들인 토마스 가베센 Thomas Graversen이 회사를 물려받고 난 뒤 프레델시아는 국제적인 브랜드로 성장해 나갔다. 토마스는 좋은 디자인에 대해 독단적으로 생각했던 아버지와 달리 다양한 형태와 색상의 조합을 통해 좋은 가구가 탄생할 수 있다고 믿었고 ‘무엇이든 가능하다 Anything is possible’는 자신의 좌우명처럼 유연한 설계 방법과 생산 방식을 도입해 새로운 시대에 걸맞게 회사를 이끌었다. 또 보르게의 훌륭한 작품을 계속해서 생산할 뿐 아니라 덴마크의 여성 디자이너 난나 디트젤 Nanna Ditzel과 같은 새로운 디자이너들과 협업했다.
↑ 가오리 모양에서 영감을 얻어 디자인한 흔들의자 ‘스팅레이 Stingray’.
난나는 새로운 재료를 실험해 색다른 제조 방법을 찾는 디자이너로 1989년 아방가르드한 스타일의 ‘두 개의 벤치 Bench for Two’를 프레델시아와 함께 선보였고 1995년에는 그녀의 대표작인 트리니다드 Trinidad 의자를 제작했다. 전통 뇌문 세공 기술에서 영감을 얻어 디자인한 트리니다드는 부채 모양으로 조각한 시트와 등받이가 특징으로 독특한 디자인과 안락한 구조 덕분에 큰 인기를 얻었고 지금도 각 가정을 비롯한 상업 공간에서 널리 사랑받고 있다.
↑ 보르게 모겐센이 1955년에 디자인한 ‘No.1’ 소파.
덴마크 본사에 적혀 있는 ‘Simply Said, We Trust Our Guts(간단히 말해 우리는 우리의 직관을 믿습니다)’라는 문구처럼 프레델시아는 대중의 취향에 맞추거나 트렌드를 따라가지 않는다. 특정한 디자인에 편중하지 않고 디자이너들을 최우선으로 신뢰하며 그들에게 요구하는 유일한 사항은 모르겐이 늘 강조했던 ‘인간’과 ‘기능’이다. 일상에서 유용하며 오랜 시간 견딜 수 있을 만한 내구성을 갖춰야 한다는 것이다. 역사와 품질에 대한 헌신이 담긴 가구를 제작하는 프레델시아가 있기에 덴마크는 여전히 디자인 강국으로서 건재한지도 모르겠다.
↑ 다양한 크기로 선보인 커피 테이블 ‘아이시클 Icicle’.
에디터 최고은 | 자료협조 덴스크 · 프레델시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