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기술은 이어가되, 변화한 시대에 발맞춰 나아가는 것이 후대의 사명. 보헤미아 유리의 기술을 새로이 연구, 발전시키는 조명 디자인 회사 라스빗이 그런 예다.
↑ 2014년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에서 공개한 조명 ‘아이스’.
고대 켈트인들로부터 시작된 보헤미아 유리는 스테인드글라스가 대표적으로, 체코의 역사와 문화를 말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유산이다. 정교함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떨치고 있는 체코의 크리스털이지만 과거의 전통만을 고집했다면 현대의 젊은이들에게는 아마 외면당하지 않았을까. 조명 디자인 회사 라스빗 Lasvit은 이러한 변화의 흐름을 받아들이고 체코의 유리, 디자인 역사에 새로운 획을 긋고 있다.
체코 보헤미아 태생의 사업가 레온 자키믹 Leon Jakimic은 수세기 동안 쌓아온 체코의 유리공예 기술이 다음 세대로 이어지지 못한 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는 것에 안타까움을 느끼고 2007년에 라스빗을 설립했다. 고급스럽고 우아한 보헤미아 유리의 이미지에 현대적인 디자인을 접목시키기 위해 라스빗은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와 개발 시설을 건립했다. 그리고 장인들과 함께 고급 주택과 호텔, 부티크를 위한 수제 유리 조명을 맞춤으로 제작했다. 단순한 소품이 아닌 예술품을 방불케 하는 정교함과 섬세함은 라스빗의 성공을 견인한 주요인이었다. 이어 넨도, 아릭 레비, 마이클 영 등 유명 디자이너와 협업하며 새로운 발상을 적극 흡수하고 이 결과물로 탄생된 놀라운 제품을 매년 밀라노 국제가구박람회, 메종&오브제,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 등 세계적인 박람회에 선보였다.
↑ 1 프라하에 위치한 라스빗의 쇼룸 내부. 2 다양한 공간에 활용할 수 있는 유리 벽 ‘리퀴드 크리스털 파빌리온’.
2011년 밀라노 국제가구박람회에서는 체코 디자이너 로니 프레슬 Rony Plesl이 제작한 샹들리에 ‘우오보 Uovo’를 출품했다. 블로잉 기법으로 만든 달걀 모양의 유리 바깥 면을 은으로 도금한 우오보는 2m라는 압도적인 크기를 자랑한다. 넨도가 디자인한 ‘패치워크’는 체코의 정교한 유리 세공을 담아낸 화병 시리즈다. 각기 다른 패턴이 있는 유리를 불에 쬐어 한데 붙인 이 제품은 영국 디자인 매거진 <월페이퍼>의 2014년 디자인 어워드를 수상하기도 했다.
↑ 1,3 입으로 불어 만든 유리에 금속을 얇게 입힌 조명 ‘라비린스’와 돌에서 영감을 얻은 ‘크리스털 락’은 아릭 레비가 디자인한 제품. 2 볼쇼이 극장의 샹들리에를 재해석한 ‘네버 엔딩 글로리’ 컬렉션. 4 고체인 얼음이 액체인 물로 변하는 순간을 포착한 조명 ‘프로즌’. 5 아부다비에서 열린 2015년 월드 테니스 챔피언십을 위한 트로피. 6 꽃 또는 나뭇잎을 연상케 하는 디자인이 돋보이는 펜던트 조명 ‘앨리스’. 7 마이클 영이 디자인한 ‘클로버’ 시리즈 중 플로어 조명.’
라스빗은 조명, 오브제뿐 아니라 건축 자재로서 유리의 가능성을 실험, 발전시켜 나간다. 2010년에 콘체른 디자인 스튜디오 Koncern Design Studio가 디자인한 ‘라스빗 크리스털 월’은 1960~70년대 유리를 적용한 체코의 전통 건축 기술에서 영감을 얻어 만들었다. 기하학적 구조, 오리엔탈 스타일 등 20여 개의 다양한 패턴을 강화유리로 제작하고 건물 구조에 맞게 조립할 수 있도록 모듈화했으며 반투명, 도금 등 다양한 색상을 선택할 수 있어 활용도를 높였다. 또 2012년에는 영국의 산업디자이너 로스 러브그로브 Ross Lovegrove가 디자인한 ‘리퀴드 크리스털 파빌리온’을 1년간의 실험 끝에 완성시켰다. 라미네이션 기술로 가공한 유리로 만든 이 벽은 고체이면서 액체처럼 보이는 디자인이 특징. 주택, 사무실 등 다양한 장소의 실내외뿐 아니라 커튼월 시스템으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했다.
설립 8년 만에 프라하, 뉴욕, 런던, 파리, 싱가포르, 두바이, 모스크바 등 세계 각지에 11개의 지사를 둘 만큼 세계적인 브랜드로 성장한 라스빗. 유리의 본질적인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것을 넘어 최상의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사명으로 삼으며 오늘도 체코 유리의 아름다움을 전 세계에 널리 알리고 있다.
에디터 최고은 | 자료제공 라스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