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를 떠나 지방에 정착한 마틸드, 줄리앙 부부는 방은 두 개뿐이지만 층계참과 슬라이딩 책장, 작은 골방 등 틈새를 활용해 곳곳에 많은 공간을 만들었다. 손바닥만 한 공간까지 알차게 활용했더니 삶이 더욱 즐거워졌다.
↑ 팔각형 창문이 멋스러운 2층 응접실. 스탠드 조명과 의자는 모두 마드모아젤 디망쉬 Mademoiselle Dimanche 제품이며, 카펫과 주방 보조 테이블 위에 있는 그릇은 무스칸 Muskane 제품. 디자이너 다미엥 조랑 Damien Jorrand이 제작한 긴 수납장 위에는 이나룩스 Inaluxe의 그림이 놓여 있다. 협소한 공간에 싫증을 느낀 한 평범한 파리지앵 커플의 이야기다. 가정을 꾸리면서 이들은 고향에 정착해야겠다는 막연한 꿈을 안고 리옹으로 떠났다. 이곳에서 마틸드 Mathilde는 인테리어 브랜드 마드모아젤 디망쉬 Mademoiselle Dimanche를 창업했고 줄리앙 Julien은 그래픽, 웹 디자인 회사 레조제로 RezoZero에서 디자이너로 근무했다. 그 후 그들은 프랑스 중부에 있는 루아르 주의 주도이자 공업도시인 셍테티엔 Saint-etienne으로 터전을 옮겼고 오래된 판지 공장을 아파트로 개조해 자신들만의 공간을 꾸미기 시작했다. “외투, 신발, 유모차, 롤러스케이트 등을 정리할 수 있는 5㎡ 크기의 층계참과 팔각형의 멋진 창문이 있는 넓은 2층 공간, 벽 뒤에 숨겨진 작은 공간까지 있으니 파리에서 살 때와 비교하면 어마어마하게 넓어진 거죠”라고 마틸드가 말한다. 방 세 개를 갖는 것이 평생 소원이었지만 두 개만으로도 충분히 만족한다고. “별다른 공사는 하지 않았어요. 대신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세심하게 고심했죠. 특히 다락방에 안 쓰는 공간 같은 것을 말이에요.”
↑ 주방 뒤쪽으로는 복도와 작은 골방이 배치되어 있다. 마틸드는 좋아하는 소품을 선반이나 계단, 난간에 놓았다. 가구 디자이너인 기욤 부베 Guillaume Bouvet가 제작한 슬라이딩 수납장은 위쪽에 누워서 책을 볼 수 있는 보조 침대를 겸하도록 디자인되었다.
안락의자 ‘엘라 Ella’는 하비타트 Habitat, 스탠드 조명과 쿠션은 마드모아젤 디망쉬 제품. 천장에 매달아놓은 펜던트 조명은 하비타트 제품으로 줄리앙과 마틸드가 전선만 교체했다.지붕 아래 경사진 공간을 활용한 서재, 갖가지 짐을 가려주는 판자, 욕실의 지저분한 용품을 가려주는 커튼, 긴 수납장과 손님용 간이침대와 작은 방, 두 딸을 위한 놀이방까지 그들은 단 1㎠의 공간도 남김없이 모두 활용했다. 지붕에 낸 창과 세 개의 커다란 팔각형 창으로 들어오는 햇살은 마틸드가 선택한 가구와 소품의 색감을 더욱 빛내준다. “흰색을 기본으로 파랑, 초록, 밝은 노랑을 선택했어요. 마드모아젤 디망쉬 제품에도 즐겨 사용하는 색상이죠. 또 응접실과 침실의 조화를 위해 다양한 천과 의자, 조명을 활용했어요.” 최근에 둘째 딸이 태어났지만 기본적인 구조는 바꾸지 않았다. “우리는 대신 방을 바꿨어요. 언젠가 또 이 방에서 저 방으로 옮길 수도 있겠죠. 파리에 있을 땐 공간에 대한 막연한 갈망이 있었는데 지금 이곳에서는 마당과 푸른 잔디에 대한 동경이 생겼어요.”
↑ 안방에 있는 이나룩스 그림이 마드모아젤 디망쉬 쿠션의 패턴과 조화를 이룬다. 벽면에 칠한 청록색 페인트는 ‘블루 아톨 Bleu Atoll n°3’으로 룩센 Luxens 제품. 침대 헤드보드는 이케아, 카펫은 무스칸 제품.
↑ 위 서재, 책장, 수납장, 다락방, 모든 것이 1㎡라도 허비하지 않도록 세심하게 고안되었다. 카펫은 무스칸, 파란색 의자는 톨릭스 Tolix, 쿠션은 마드모아젤 디망쉬 제품.욕실에 있는 커튼은 마드모아젤 디망쉬 제품으로 세탁기와 온수기를 가려준다. 하늘색 의자는 빈티지 제품. 아래 욕실에 있는 커튼은 마드모아젤 디망쉬 제품으로 세탁기와 온수기를 가려준다. 하늘색 의자는 빈티지 제품.
에디터 아델린 수아드 Adeline Suard | 포토그래퍼 마이 린 Mai-Linh(박스 매니지먼트 Box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