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을 담아, 옹기

자연을 담아, 옹기

자연을 담아, 옹기

<메종>은 아름다운 우리의 전통문화를 이어가는 장인들의 이야기를 매달 연재합니다. 그 일곱 번째 보따리. 경기도 무형문화재 김일만 옹기장의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 자연스러운 선과 형태가 우리의 산수를 닮은 옹기.

“장인의 손에서 묻어나오는 세월, 몸으로 만드시고 몸으로 생각하시는 분, 나의 아버지입니다.” 200년 된 전통 가마를 지키며 7대째 가업을 잇고 있는 `오부자 옹기(五父子 甕器)`. 이곳을 이끌고 있는 셋째 아들 김창호 씨가 그의 아버지 김일만 옹기장(74세)을 간명하게 소개했다. 나의 아버지를 한마디로 정의 내릴 수 없는 나에겐 부끄러운 순간이었다. 오부자 옹기의 끈은 아마도 가족이리라. 곱디고운 백토보다 순수한 마음으로 빚어낸 옹기와 가족을 지켜온 엄격한 질서, 그것은 옹기의 순박함과 강인함을 그대로 닮아 있다.

1991년에 취재하러 왔던 한 방송 작가가 불러준 것에서 비롯된 ‘오부자 옹기’, 이보다 더 좋은 말이 있을까. 이곳에서 만드는 도자기는 오짓물(잿물) 입힌 옹기, 질그릇, 푸레 도기, 반오지 그릇, 흑유 옹기, 백도기 등 다양하다. 네 명의 아들 중 장손 김성호 씨와 막내 김용호 씨는 부친의 뒤를 이어 오짓물 옹기를, 둘째 정호 씨는 생활 옹기를, 셋째 창호 씨는 푸레 도기와 질그릇을 전문적으로 작업한다. 극도로 단순하고 기교가 보이지 않는 옹기장의 그릇은 선이 정갈한 것이 특징이다. 화려하진 않지만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는 선과 형태는 우리네 산수를 닮아 서정적이면서 곱다.

“일 년 내내 쉬는 날이 얼마 되지 않는 힘든 일을 한다는 것이 마음에 걸립니다. 하지만 3대가 같이 할 수 있다는 것을 매우 만족스럽게 생각합니다. 참고 견디면 언젠가는 인정받는 순간이 오겠죠.” 오부자 옹기가 7대를 이어온 이유가 이 한마디에 담겨 있다. 지난 2002년에는 공장이 화재 사건으로 위기를 겪으면서도 버틸 수 있었던 건 가족의 힘 때문이었다.

1, 2 김일만 옹기장의 손은 오랜 세월의 더께가 앉아 있다.
3 아기자기한 장독대.

옹기의 질은 흙과 불에서 결정된다. 오부자 옹기 흙은 고령과 보은에서 실어와 환경에 맞게 가공한다. 옹기는 수동식 물레, 나무로 만들어진 도구, 잿물은 나무 재와 약토를 배합하여 만든다. 가마는 대포 가마라는 전통 가마(통가마)로 굽고 땔감은 참나무를 쓴다. 가마불을 지키는 것은 무엇보다 힘든 일이기도 하지만 가장 중요한 과정이기에 한시도 눈을 뗄 수 없다. 흙을 만지고 불을 다루어온 지 어느덧 60여 년. 하지만 장인은 아직도 배우고 경험해볼 게 남아 있다고 여긴다. 유약을 입힌 옹기는 조선시대에 발달했다.

지역에 따라 옹기의 모양이 다른 이유는 일조량과 기온차 때문이다. 경기도는 대체로 밑과 입의 지름 크기가 비슷하고 항아리의 생김새도 맵시가 있으며 완만한 형태의 곡선을 자랑한다. 숨 쉬는 그릇 옹기에는 발효 음식의 비밀이 담겨 있다. 옹기의 벽에는 미세 기공이 형성돼 있어 옹기 안과 밖으로 공기가 통하면서도 물이 새지 않는 장점이 있다. 때문에 음식물의 숙성을 돕고 부패를 방지해 발효 음식의 저장 그릇으로 적합하다. 음식의 장기 보존과 독성 배출 기능까지 갖고 있어, 우리의 발효 음식 발달은 옹기의 발달과 그 맥을 같이한다. 식생활 용기(항아리, 시루, 주발, 접시, 주전자, 내열 냄비 등)들은 고유의 흙과 수동식 물레, 천연 유약과 장작 가마에 이르기까지 전통 옹기 제작 방식을 철저히 지켜오고 있다. 오부자 옹기의 길 초입에 들어서는 순간 겸손과 낮춤의 자세를 갖게 된다. 흙을 빚는 게 아니라 마음을 빚는 옹기장의 작업이 추운 겨울에도 훈훈함을 더한다.

↑ 정갈한 선이 아름다운 접시.

*오부자 옹기는 근대화상회(02-3676-2231)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글과 사진 이정민ㅣ에디터 박명주

CREDIT
모벨랩에서 제안하는 신혼 가구 여덟

모벨랩에서 제안하는 신혼 가구 여덟

모벨랩에서 제안하는 신혼 가구 여덟

올봄, 결혼을 앞두고 있는 예비 부부들에게 모벨랩에서 여덟 개의 오리지널 스칸디나비안 신혼 가구를 추천했다.

– 사이즈가 부담스럽지 않아 아파트 생활이 주를 이루는 우리나라 주택에 잘 어울리는 제품. 따뜻한 느낌을 주는 패브릭 커버링으로 공간에 포인트를 주기에 충분하다. 1250x750mm. 4백만원대. 오렌지 쿠션과 헬라 융게리우스의 패브릭으로 제작한 도트 쿠션은 패브릭길드 제품. 각 13만8천원, 9만5천원.

– 집에서 소소한 파티를 즐기는 북유럽 사람들에게 특히 인기인 테이블로 필요에 따라 테이블의 사이즈 조정이 가능하다. 4인용 테이블에서 날개를 연장하면 최대 8인용 테이블로 사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제품. 1200(최대 2100)x800x750mm. 2백70만원대.

– 거실에서 커피 테이블로 사용하거나 필요할 때는 높이와 넓이를 연장해서 간이용 다이닝 테이블로도 사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테이블. 신혼 초 손님맞이 상차림이 많을 때에 특히 유용하게 쓰이는 제품이다. 1480x560x540mm. 2백60만원대.

– 스칸디나비안 디자인의 실용성이 응집된 뷰러는 장식장, 데스크, 또는 화장대로도 사용 가능한 가구다. 상판을 연장하면 간이 데스크가 되고, 위로 들어올리면 거울이 나오는 멀티 기능을 가진 뷰러는 하단부에 서랍도 있어 넓지 않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해야 하는 신혼부부에게 추천한다. 740x440x1000mm. 1백90만원대.

– 2단 혹은 3단의 작은 사이드 테이블로 구성된 네스트 오브 테이블은 공간 활용도와 실용성을 추구했던 북유럽인들의 지혜가 담긴 제품이다. 사이드 테이블이 없을 경우 거실이나 침대 옆 테이블로도 인기가 많은 제품이다. 590x375x520 mm. 1백60만원대.

– 주로 거실 소파 옆이나 서재 등의 공간에 포인트로 쉽게 연출할 수 있는 일인용 이지 체어는 앉았을 때 편안함과 안락함을 느낄 수 있다. 두 가지 컬러의 패브릭으로 커버링돼 공간에 북유럽 감성을 더해준다. 일룸 비켈소(Illum Wikkelsoe) 디자인 제품. 가격 미정.

– 부족한 옷 수납을 해결하거나 잡동사니를 보관하는 용도의 서랍장은 벽에 거울을 설치해 스탠딩 화장대로도 종종 사용된다. 양쪽으로 홈이 파인 손잡이 부분이 앙증맞은 제품. 800x400x1070mm. 1백60만원대.

에디터 신진수│포토그래퍼 채승준

CREDIT
위트 있는 신식 디자인

위트 있는 신식 디자인

위트 있는 신식 디자인

이스태블리시드 앤 선즈(Established & Sons)는 신사의 나라인 영국 브랜드답게 젠틀한 방식으로 영국 디자인의 현주소와 미래를 그려보게 만든다.

1 여러 개를 함께 달았을 때 더욱 멋진 토치 라이트(Torch Light).
2 퀼트처럼 엠보싱 처리된 마감이 재미있는 퀼트(Quilt)소파.
3 E&S와 베니니(Venini)의 합작인 라이트 하우스(Light House).
4 니트 소재 패브릭으로 의자 전체를 한번에 씌운 점퍼(Jumper).
5 양 방향에서 자유자재로 열 수 있는 서랍장 스택(Stack)로 에지스와 샤이 알칼레이 작품.
6 콘스탄틴 그리치치의 업홀스터리 소파 케이프(Cape). 원할 때마다 커버를 바꿀 수 있다.
7 레진을 에폭시 처리한 상판이 묘한 느낌을 주는 우두쿠리(Udukuri) 테이블. 조 나카사카 작품.

인테리어에 관심 좀 있다고 하는 사람들은 심심치 않게 들어봤을 브랜드 ‘이스태블리시드 앤 선즈(Established & Sons 이하 E&S)’. 그도 그럴 것이 정말 많은 디자이너들이 E&S를 통해 작품을 발표했다. 런던에 본사를 둔 E&S는 영국의 자존심을 건 브랜드다. 혁신적이고 현대적인 디자인 제품들을 두루 보유하고 있는 이 브랜드는 최근 서울의 동대문디자인 플라자&파크를 디자인한 여성 건축가 자하 하디드를 비롯한 로낭&에르완 부훌렉 형제, 콘스탄틴 그리치치, 바버&오스거비, 로 에지스 등 전 세계의 내로라하는 디자이너와 건축가와의 협업으로 특히 유명하다. 알라스데어 윌리스(그는 의 창간 멤버이자 스텔라 매카트니의 남편이기도 하다), 마크 홈스, 세바스찬 롱이 함께 설립한 E&S는 2005년 밀라노 국제 가구박람회에서 첫선을 보인, 아직 10년이 채 되지 않은 젊은 브랜드지만 이제 디자인계에서 결코 빼놓을 수 없는 브랜드가 됐다. E&S는 함께 일하는 디자이너를 포함한 건축가, 스튜디오, 아티스트들이 진취적이고 뻔하지 않은 디자인을 펼칠 수 있도록 장려한다.

그런 면에서 E&S는 디자이너와 상업성의 아슬아슬한 줄다리기에서 성공했다는 평가를 들어왔다. 디자인과 상업성은 뗄 수 없는 관계인데 아티스트들에게는 상업성 못지않게 작가 정신도 존중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절충하는 데 어려운 점이 많다. 하지만 E&S는 브랜드에서 소개하는 제품을 크게 3개의 카테고리로 나누는 방식으로 이를 해결했다. 프린시플(The Principle), 시그니처(The Signature) 그리고 리미티드 에디션(The Limited Edition)은 서로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다. 세계적인 디자이너들과 건축가들의 무대인 프린시플 컬렉션은 상업적인 공간과 주거 공간에 두루 어울리는 컬렉션으로 2005년 브랜드를 론칭했을 때부터 발전해온 분야다. 대중들이 좋아할 만한 실용적인 컬렉션인 셈. 2007년에 선보인 시그니처 컬렉션은 아주 적은 양을 주문 제작으로 선보인다. 디자인적인 아름다움과 첨단 기술 그리고 장인 정신이 조화를 이룬 하이엔드급 제품들이다. 시그니처 컬렉션을 위해서 E&S는 장인들과의 협업을 마다하지 않는다. 리미티드 에디션은 말 그대로 E&S에서만 만나볼 수 있는 한정판 제품이다. 디자이너가 브랜드의 굴레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디자인을 마음껏 펼칠 수 있는 분야이기도 하다. 리미티드 에디션을 통해 참신한 디자인과 새로운 테크닉이 반영된 제품들이 소개돼 E&S의 위치가 격상되었고 작가들이 브랜드를 자신들의 아카이브로 생각할 수 있게 되었다.

수많은 브랜드가 있지만 E&S의 제품을 몇 번 보고 나면 다음에는 한눈에 E&S임을 알아챌 수 있을 것이다. 세련되고 경쾌한 신식(新式) 디자인이지만 그 내면에는 영국 특유의 클래식함과 장인 정신이 깃들어 있다. 영국 출신 디자이너 외에도 다양한 출신의 디자이너들이 E&S의 문턱을 넘고 있지만 E&S의 설립 목적과 존재의 이유는 확실하다. 바로 영국에 의한 디자인을 선보이는 것, 즉 ‘메이드 인 브리튼(Made in Britain)’을 널리 알리는 것이다. 왜 이스태블리시드 앤 ‘선즈’인지 이제서야 비소로 고개가 끄덕여진다. 앞으로 E&S가 양성해낼 많은 디자이너들과 영국 디자인의 후계자들이 기다려지지 않는가. 국내에서는 가구숍 인엔과 하이라이프(hl1991)에서 이스태블리시드 앤 선즈의 제품들을 만나볼 수 있다.

에디터 신진수 | 자료협조 www.establishedandsons.com · 가구숍 인엔 · 하이라이프(hl1991)

CR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