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W (3)

NOW (3)

NOW (3)

감성 충만, 메종 드 실비의 e-shop, 크로프트 박근형 실장의 문화의 결정체

감성 충만
천연 재료를 활용한 건강한 소이 왁스 캔들을 만드는 올데이스위밍(All day swimming)이 감성을 자극하는 서정적인 디자인의 캔들 2종을 선보인다. 고딕 양식의 분위기가 물씬 풍기는 클래식한 촛대에서 영감을 받은 ‘촛대 모티프 캔들’과 기존 제품인 ‘돌의 시’의 후속인 ‘산 모양 캔들’을 출시한 것. 비트 가루는 보라색, 숯가루는 검정색, 카카오 가루와 황토가루로는 갈색으로 직접 색을 만들기 때문에 제품마다 컬러와 톤이 조금씩 다른 것이 특징이다.

문의 올데이스위밍 www.alldayswimming.com 에디터 최고은

메종 드 실비의 e-shop
메종 드 실비가 온라인 숍을 오픈했다. 마담 스톨츠와 마테오 베딩, 타카야카 등 메종 드 실비에서 소개하고 있는 아이템을 클릭 몇 번만으로도 쉽게 구입할 수 있게 된 것. 홈페이지 내 숍 코너에서 회원 가입을 하고 인증받은 후 이용할 수 있다. 브랜드별로 편리하게 쇼핑할 수 있으며 가입자가 많아 인증이 늦어진다고 하니 앞으로 업데이트될 제품들이 기대된다.

문의 메종 드 실비 www.maisondesylvie.com 에디터 신진수

크로프트 박근형 실장의 문화의 결정체
2009년에 남태평양의 아름다운 섬 피지로 신혼여행을 갔다. 피지는 원래 원주민의 이색적인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곳이었는데 내 생애 언제 다시 방문할 수 있을까 싶어 기념품으로 티코스터를 구입했다. 코르크 받침 위에 종이를 붙이고 까만 잉크에 도장을 찍은 것인데 특유의 패턴이 마음에 들었다. 어디서나 흔히 구할 수 있는 재료지만 어떤 관점에서 바라보고 만들었는지에 따라 그 문화의 특색이 배어나는 것을 느꼈다. 티코스터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직선과 기하학적 도형, 블랙과 화이트 등 현대적인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다. 현대적인 것에 더 잘 어울릴 것 같은 요소들이 교묘하게 조합을 이루는 순간 이국적인 감성으로 탄생하는 것이다. 작가들의 작품도 그러하다. 같은 재료를 사용하지만 어떤 요소를 강조하느냐에 따라 또 어떻게 매치하느냐에 따라 그 디테일한 차이로 자신만의 색깔이 묻어나고 개인의 고유한 문화가 응축된 작품이 태어난다. 이런 작품은 어디서도 볼 수 없는 어떤 것으로도 대치할 수 없는 가치를 지니게 되는데 그때 우리는 큰 감동과 울림을 경험하고 강렬한 인상을 받는다. 또한 이러한 점이 디자인이 기술의 우위에 서야 하는 이유라고 생각한다.

에디터 최고은│포토그래퍼 조용기

CREDIT
NOW (2)

NOW (2)

NOW (2)

Red Balloon Arm Chair, 프랑스에서 온 유쾌함, 일할 맛 나는 사무실, 오로라로 물든 방

Red Balloon Arm Chair
앉으면 ‘퐁’ 하고 하늘로 떠오를 것 같은 빨간색 ‘벌룬 암체어’는 1930년대에 영감을 받아 디자인된 가구다. 재미있는 것은 재단선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는 것. 독특한 파이프 모양의 쿠션을 바이 엘라스틱이라는 신축성이 뛰어난 패브릭으로 씌웠기 때문에 커버와 몸체가 하나로 이어진 것 같은 느낌을 준다.

문의 아르마니까사 02-540-3094 에디터 신진수

프랑스에서 온 유쾌함
북유럽 디자인 일색인 요즘 브랜드 사이에서 프랑스의 라뜰리에 디엑썰씨스(L’atelier d’exercices)는 신선함을 안겨준다. 디자인 생활용품을 소개하는 이 브랜드는 위트 있는 디자인으로 미소를 짓게 만든다. 디자이너 외에도 스타일리스트, 건축가, 작가 등 다양한 직업군의 전문가들과 협업해서 제품을 만드는 것이 특징. 책상 위나 천장, 벽 등 공간에 유쾌함을 불어넣고 싶다면 라뜰리에 디엑썰씨스를 고려볼 것.

문의 에이치픽스 www.hpic.co.kr 에디터 신진수

일할 맛 나는 사무실
전문가들의 손길이 닿은 오피스 가구들이 국내에 출시되고 있다. 오피스 시스템의 기능을 충족시키면서 사람과 공간의 능동성을 일깨우는 오피스 가구들을 모았다.

베타 시스템(Beta System)
테크노(Techno)의 ‘베타 시스템’은 개인형 데스크 톱과 수납 및 유닛의 연결을 위한 백본(Backbone)으로 이뤄져 유기적인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인피니에서 판매. 문의 02-3447-6000

▲ 왼쪽 타이드(Tyde)
인체공학에 기초한 ‘타이드 테이블’은 높낮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어 앉거나 설 수 있는 두 가지 업무 환경에 적합한 제품. 비트라에서 판매. 문의 02-511-3437

▲ 오른쪽 케이-우나(K-UNA)
임스 체어의 디자인과 기능을 계승한 아이씨에프(ICF)의 우나 시리즈는 등받이부터 하나의 판형으로 이어져 오랜 시간 업무에도 편안한 착석감을 제공한다. 문의 02-3447-6000

어시스턴트 에디터 김수지

오로라로 물든 방
교감을 중요시하는 디자이너 알레산드로 멘디니의 정신이 잘 나타나 있는 조명 브랜드 라문에서 깜빠넬로를 새롭게 출시했다. 유려한 곡선의 아름다운 형태와 전선이 없는 충전식으로 디자인되어 침대나 식탁 등 다양한 장소에 활용 가능하다. 특히 취침등이나 수유등으로 사용하기 좋다. 깜빠넬로는 투명한 소재를 통해 어둠 속에서 LED빛을 밝히면 마치 오로라가 퍼지는 듯한 환상적인 모습을 연출해 평범했던 공간도 로맨틱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깜빠넬로의 머리 부분을 부드럽게 터치하면 울려퍼지는 청아한 바티칸의 종소리는 마음까지 편안하게 만들어준다. 문의 라문 1600-1547 에디터 박명주

CREDIT
NOW (1)

NOW (1)

NOW (1)

더 플레이스에서 만나는 보날도, 두 사람, Timeless Eames, 1st 메종&오브제 아시아

더 플레이스에서 만나는 보날도
모던 이탈리아 감성 가구 브랜드 보날도(Bonaldo)를 이제 더 플레이스에서 소개한다. 보날도는 세계적인 디자이너와의 협업을 통해 트렌드와 감성을 반영한 제품 라인을 선보인다. 대표적인 디자이너로는 카림 라시드, 토시유키 키타, 마리오 마제르를 꼽을 수 있다. 국내에 첫선을 보이는 보날도의 드래곤 플라이 체어는 디자이너 카림 라시드의 작품으로 미니멀한 곡선의 우아함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라운지 체어다. 스윙 플러스 체어는 로킹 체어에서 긴 라운지 체어로도 바꿔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문의 더플레이스 www.theplace.kr 에디터 박명주

두 사람
패션 디자이너 카스텔 바작과 페르몹의 협업으로 탄생한 앙주(Ange) 의자. 금방이라도 날개를 달고 날아갈 것만 같은 연인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밸런타인데이가 있는 2월에 특히 잘 어울리는 앙주! 결혼을 앞둔 신혼부부에게 선물 아이템으로도 좋을 듯. 블랙과 레드 색상 중 선택 가능하며 에이후스에서 판매한다.

문의 에이후스 02-3785-0860 에디터 박명주ㅣ포토그래퍼 김대형

Timeless Eames
시간이 지날수록 존경심을 가지고 바라보게 되는 임스 체어에 나무 상판을 적용한 ‘우드 셸’ 버전을 만날 수 있게 됐다. 플라스틱 상판과 모양은 똑같으면서 재질만 나무로 바뀐 셈. 월넛과 화이트 애시, 월넛보다 더 고급인 산토스 팰리샌더 소재로 만날 수 있으며 다리는 나무와 크룸 중에서 선택 가능하다. 원색의 플라스틱 상판과는 다른 단정함을 느낄 수 있는 임스 우드 사이드 체어. 임스 마니아들의 위시 리스트가 하나 더 늘어날 듯! 허먼밀러 한국 공식 딜러인 인노바드와 신세계백화점 본점에서 구입할 수 있다.

문의 인노바드 02-515-3660, www.innovad.co.kr 에디터 신진수

1st 메종&오브제 아시아
메종&오브제 아시아가 2014년 3월 10일부터 13일까지 싱가포르 마리나 베이 샌즈 엑스포&컨벤션 센터에서 시작된다. 180여개의 업체와 함께 아시아를 대표하는 최고의 인테리어 디자인 제품과 프로젝트를 선보일 예정. 첫 번째 메종&오브제 아시아에서는 올해의 디자이너로 필리핀 디자이너 케네스 코본푸를 선정했다. 또 신진 디자이너를 위한 가구, 오브제, 홈 텍스타일 분야 등의 ‘딸렁 아라카르트’, 메종&오브제 아시아 인테리어 디자인 & 라이프스타일 정상 회담이라는 주제로 이뤄지는 ‘대담’ 등 파리 메종&오브제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한다. 메종&오브제 아시아는 세계적인 브랜드를 소개하는 럭셔리관, 새롭고 참신한 디자인과 기술을 엿볼 수 있는 디자인관, 홈 텍스타일과 테이블웨어, 생활 소품 등을 총망라하는 실내 장식관 등 3개의 전시관으로 이뤄지며 방문객들의 발걸음을 재촉한다.

문의 메종&오브제 국내사무국 02-522-6447, www.maisonobjet-asia.com 에디터 신진수

CR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