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루했던 겨울이 끝나갑니다. 3월호를 준비하다 보니 마음은 이미 봄의 문턱을 넘었습니다. 무언가 새로운 것을 사들이고 싶네요. 에디터들의 장바구니에는 무엇이 담겼을까요?
봄을 여는 향기
대학생 시절에는 종종 외출 전 남동생 방에 들어가 남성용 향수를 몰래 뿌리고 나오곤 했었다. 혼자만의 생각이었지만, 시원한 향의 남성용 향수를 뿌리면 왠지 모를 시크함이 온몸에서 배어나온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새로 시작하는 열기가 사방에서 솟아오르는 3월. 뭔가 새로운 기분을 내고 싶은 마음에 향수를 쇼핑하던 중 딥티크의 탐다오 오 드 퍼퓸을 발견했다. 처음 눈이 갔던 이유는 기존과는 다른 형태의 패키지 때문. 사각형의 각은 모두 사라지고 둥그스름해진 모양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향수를 몇 번 뿌려보니 시원한 나무 향이 나기 시작했다. 겨울의 무거운 외투를 벗어던지고 한층 가뿐해진 발걸음에 어울릴 듯한 향기이다. 점원이 남성들이 주로 쓰는 향수라며 조심스럽게 귀띔했지만, 옛 추억도 떠오르는 것이 괜히 더 마음에 들었다. 스키니 진에 운동화를 신을 때 주로 뿌리게 될 것 같다.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딥티크 매장에서 구입. 75ml 15만원.
에디터 송정림
강박증자의 노트
영화 <메멘토>의 주인공 레니를 통해 반복 학습의 법칙을 유추할 수 있듯이 어떤 한 분야에 지독한 습관을 갖고 있는 사람에게서 의외의 새로운 해답을 얻을 때가 있다. 그래픽디자인 스튜디오 킨키펌도 강박증을 앓고 있는 가상 인물을 통해 독특하고 재미있는 노트를 디자인했다. 플레인 빌라(Plain Villa) 201호에 살고 있는 새뮤얼 노이드의 캐릭터를 바탕으로 한 ‘새뮤얼 노이드: 도큐먼트 타입’은 꼼꼼한 스케줄 관리가 필요한 나의 흥미를 끌기에 충분했다. 패키지를 열면 진공 포장된 노트와 함께 새뮤얼 씨가 쓴 편지(일종의 설명서 역할을 한다)가 들어 있다. 또 노트에는 청결, 규칙, 기록, 수집에 집착하는 그답게 박테리아가 서식하는 장소, 소음 레벨 등의 정보를 수록하고 또 그의 생활을 엿볼 수 있도록 6개의 짧은 에피소드를 넣어 재미를 더했다. 내지는 한 페이지를 4개로 나누고 왼쪽에 칸을 나누어 중요한 내용을 간단하게 메모하기 좋다. 챕터원에서 구입. 1만6천원.
에디터 최고은
기분 좋은 티타임
커피 대신 핫초코를 즐겨 마신다. 요즘은 구수한 메밀차에 푹 빠져 있다. 그런 내게 주전자는 생활 필수 아이템이다. 빈티지 스타일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때가 탄 스테인리스 소재의 주전자를 이제 그만 사용해도 되겠다 생각하던 차에 엄마의 권유로 편리함의 극치라는 무선 전기주전자를 구입했다. 무선 전기주전자 사용자들의 온라인 리뷰를 꼼꼼히 살폈다. 주전자 내부가 모두 스테인리스라서 환경호르몬을 걱정할 필요 없다는 영국 브랜드 러셀홉스와 일본 브랜드 레꼴뜨의 제품 중 고심하다 조금 더 길쭉하게 생긴 레꼴뜨 제품을 선택했다. 유행을 타지 않는 클래식한 디자인과 커피를 좋아하는 손님이 오면 핸드 드립으로 커피를 내주기에 좋은 긴 주둥이가 마음에 들었다. 소비전력이 1000W로 물이 끓는 속도가 느리다는 평이 있었는데 전기주전자를 처음 사용하는 내게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요즘, 나의 신중한 선택에 흡족해하는 중이다. 스칸에서 구입. 6만5천원.
에디터 이하나
싸게 사는 짜릿함
뒤늦게 소셜 커머스의 매력에 빠져 마우스를 붙잡고 며칠 밤을 지새는 중이다. 특히 신혼 때 구입한 살림살이가 지겨워지기 시작한 7년 차 주부인 나에게 ‘프리미엄 주방’ 배너는 유혹 그 자체다. 르크루제와 스타우브의 주물냄비, 휘슬러의 압력밥솥, 웨지우드와 로얄코펜하겐의 테이블웨어가 30~60% 할인된 가격으로 선보이는 데다 ‘한정 수량’에 ‘마감 임박’이라며 애교 섞인 협박까지 해대니 넘어가지 않을 재간이 없다. 쌓여가는 택배 박스에 남편은 “대중화된 프리미엄은 더 이상 프리미엄이 아니다”라며 비웃지만 단순한 나는 그저 예쁜 물건을 싸게 살 수 있어서 좋기만 하다. 특히 단돈 3만5천원에 건진 이딸라 커피잔은 횡재 중에 횡재. 내일쯤엔 2만2천원에 구입한 로얄코펜하겐 빈티지 이어(year) 플레이트가 도착하겠지. 아, 언젠가는 에르메스 커피잔도 나왔으면 좋겠다!
에디터 최영은
에디터 <메종> 편집부 | 포토그래퍼 진희석
출처 〈MAISON〉2014년 3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