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속의 꽃, 집 안에 그림 한 점, 라미의 리미티드 에디션, 루카 알레시와의 인터뷰
일상 속의 꽃
한남동에 위치한 복합 문화 공간 ‘웨이즈 오브 싱 Ways of Seeing’에서 5월 1일부터 10일까지 <그녀가 일하다:꽃전> 전시가 열린다. 이번 전시는 플로리스트 박소희 실장이 맡았는데, 꽃을 통해 나와 가족, 친구의 관계에 대해 이야기하는 독특한 기획으로 기대감을 모으고 있다. 또한 어버이날을 맞아 카네이션 테이블 센터피스 만들기 클래스도 진행할 예정이다. 클래스 날짜는 5월 6일이며 참가비는 5만원이다.
문의 엘트라바이 02-720-8381 어시스턴트 에디터 김수지│포토그래퍼 안종환
집 안에 그림 한 점
그림 작품을 보면 어떤 가구와 어울릴지 먼저 상상하는 버릇이 있다. 몇 년 전 변선영 작가의 작품을 보았을 때는 집 안 어느 곳에 걸어도 잘 어울릴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기분이 좋아지는 밝은 색감과 낯설지 않은 콜라주 그리고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이야기를 담았기 때문이다. 그녀가 3년 만에 5월 13일부터 31일까지 유아트 스페이스에서 개인전을 연다는 반가운 소식을 전해왔다. 전시의 주제는 `Value of Vauelessness`로 이번에는 프랙탈 Fractal이라는 기하학적인 형태로 작품을 만들었다. 작품 중에서 마음에 들었던 3점을 추천한다.
문의 유아트스페이스 02-544-8585 에디터 박명주
라미의 리미티드 에디션
약간 굵은 심에 부드러운 필기감을 좋아해 라미의 만년필을 애용한다. 라미에서 리미티드 에디션으로 선보이는 알스타 블루 그린과 사파리 코럴색은 화사한 색감이라 마음에 든다. 소재와 색상 면에서 더욱 클래식한 멋을 느낄 수 있는 디자인으로 남녀노소 불문하고 선물하기 좋다. 교보문고 핫 트랙스와 반디 앤 루니스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 만년필은 8만2천원.
에디터 박명주
루카 알레시와의 인터뷰
아시아 지역을 담당하게 된 알레시 4세대 루카 알레시를 만났다.
본인의 소개를 부탁한다
나는 현재 알레시를 이끄는 CEO 알레시오 알레시의 둘째 아들로 알레시 집안의 4세대다. 작년 말부터 아시아 퍼시픽 지역을 담당하는 인터내셔널 세일즈 및 개발 매니저로 일하고 있다.
알레시 가족은 모두 알레시 사업에 종사하나?
내가 속한 4대에서는 나를 포함한 두 명만 알레시에 관련한 일을 하고 있다. 나머지 사촌들은 각자 전혀 다른 분야에 종사한다. 나 역시 작년까지 드롱기 그룹에서 일했다.
알레시는 왜 내부에 디자이너를 고용하지 않는가?
알레시는 내부에서 디자인 말고도 많은 일을 해야 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잘 모를 수 있다. 하지만 디자이너는 소비자의 반응에 예민하기 때문에 디자이너를 가두지 않고 자유롭게 활용하는 것이 서로에게 좋다고 생각한다.
작가와의 협업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알레시가 필요한 제품을 디자이너에게 전하는 경우도 있고 디자이너가 직접 제품의 프로토 타입을 들고 와서 의뢰하는 경우도 많다.
알레시의 성공 비결은 무엇인가?
알레시는 모든 제품을 `포뮬러 오브 섹세스 Formula of success`를 거쳐 평가한다. 가격, 기능, 첫인상 등 몇 개의 카테고리로 제품을 평가한 후 알레시에서 판매할 제품인지를 결정한다.
알레시의 유럽과 아시아의 차이가 느껴지나?
문화적인 차이가 아무래도 가장 크다. 커트러리만 보더라도 유럽과 아시아는 정말 다르다. 낯설기도 하지만 문화를 알아가는 것이 내겐 굉장히 중요한 일이다.
알레시의 최근 소식은 무엇인가?
알레시의 베스트셀러 70개의 아이템을 선정해 그 아이템의 디자이너와 이야기를 담은 패키지 `슈퍼 파퓰러`를 출시했다. 지난 60년간 크게 사랑받은 제품을 특별하게 만나볼 수 있는 기회다. 한국에는 5월경에 입고 예정이다.
가장 좋아하는 알레시의 제품은 무엇인가?
물이 끊으면 멜로디가 울리는 ‘멜로디 주전자 9091’, 필립 스탁의 레몬 과즙기 ‘쥬시 살리프’ 등 위트와 스토리가 있는 제품을 좋아한다.
에디터 신진수 │포토그래퍼 박상국
출처 〈MAISON〉 2014년 5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