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상 가장 큰 디자인 축제 밀라노 디자인 위크에서 만난 다양한 이슈를 소개한다.
REVIEW
지난 4월 2일부터 9일까지 축복받은 화창한 날씨 속에서 성대하고 화려하게 치러진 2017 밀라노 디자인 위크를 다녀왔다. 밀라노 디자인 위크는 크게 외곽에 위치한 로 피에라 Rho Fiera 전시장에서 열리는 이 살로네 I Salone와 밀라노 시내 곳곳에서 열리는 푸오리 살로네 Fuori Salone로 나뉜다. 이탈리아 건축가 마시밀리아노 푹사스 Massimiliano Fuksas가 설계한 외계 행성 같은 21만㎡ 넘는 로 피에라 전시장에는 3000여 개가 넘는 참가 업체가 24개의 전시관에 나뉘어 전시된다. 한마디로 세계를 주도할 최고의 디자인 브랜드들이 펼치는 경연장이라고 할 수 있다. 올해는 격년으로 열리는 조명 전시회 ‘에우로 루체 Euro Luce’가 열려 LED 조명의 진화라는 큰 흐름을 볼 수 있었다. 3년 전에 비해 조명들은 대체로 심한 다이어트를 한 듯 가늘어졌고 자연을 형상화한 시적인 디자인, 여성의 주얼리나 리빙 소품처럼 디자인된 제품이 심심치 않게 눈에 띄였다. 신진 디자이너들의 등용문인 살로네 사텔리테 Salone Sattellite에서는 지난 20여 년간 사텔리테를 거쳐 디자이너로 자리매김한 이들의 작품을 전시해 그 위상을 확인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박람회장에서 발품을 팔아야 하는 바이어나 유통업체 관계자 중 상당수가 이 기간 치솟는 비싼 숙박비를 감수하며 일주일 가까이 머문다. 그 이유는 바로 밀라노 시내 구석구석에 알짜배기 구경거리인 푸오리 살로네가 있기 때문. 두오모 산 바빌라, 포르타 누오바 이솔라&브레라, 포르타 베네치아, 카도르나&티치네세, 포르타 로마나, 람브라테&센트럴 스테이션, 토르토나 포르타 제노바&나빌리 이렇게 7개의 거리에서 열리는 전시들은 개성 만점의 인테리어가 돋보여 전시 공간만 봐도 흥미로운 디자인에 대한 영감을 받을 수 있다.
가장 화제가 되었던 전시는 패션 브랜드 질 샌더 Jil Sander와 협업한 넨도 Nendo의 ‘오브젝트텍스타일 ‘Objectextile’. 물체 Object와 직물 Textile의 합성어로 만든 전시 제목에 걸맞게 픽셀, 줄무늬 등의 패턴을 이용한 아주 간단한 표현으로 시공간을 넘나드는 전시 공간을 만들었다. 이 전시를 보기 위해 2시간여를 기다린 사람도 허다했다. 어른과 아이들이 함께할 수 있는 전시도 기억에 남는다. 트리엔날레 뮤지엄에서 열린 ‘디자인 포 칠드런 Design for Children’과 패션 브랜드 마르니가 연출한 ‘마르니 플레이 랜드 Marni Play Land’는 어른들에게는 동심을 자극하고 아이들에게는 즐거운 놀이터가 되어주었다. 에르메스에서는 어린이들을 위한 벽지도 출시했으며 마지스 Magis와 카르텔 Kartell에서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어린이 가구를 선보여 키즈&키덜트 문화가 접목된 라이프스타일에 주목하는 흐름도 감지되었다. 올해는 한국 디자인의 역사에 한 획을 그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LG는 일본 디자이너 도쿠진 요시오카 Tokujin Yoshioka와 협업해 ‘미래의 감각’을 주제로 대형 LED로 만든 의자 설치 작품을 선보여 밀라노 디자인 위크 디자인 어워드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디자이너 김백선은 세계적인 수전 브랜드 판티니 Fantini와 협업해 먹과 벼루에서 영감을 받은 특별한 수전을 선보여 세계인들을 놀라게 했고, 에르메스와 협업한 이슬기 작가는 누비 작품을 선보였다. 또 현대 장인정신의 예술적 가치를 기념하기 위해 설립된 로에베 Loewe 재단의 크래프트 시상식에 배세진, 김상우 작가가 최종 후보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한국의 패션 아이웨어 브랜드 젠틀몬스터는 네덜란드의 가구 회사 모오이 Moooi와의 협업으로 만든 아이웨어를 웅장한 전시장에 전시해 한국에서 온 방문객들은 큰 자부심을 느낄 수 있었다. 4월의 밀라노는 언제나 많은 인파로 붐비고 발바닥에는 불이 나지만 어디에서도 보지 못하는 기상천외한 전시와 디자인은 온갖 시름도 치유될 만큼 값진 경험으로 보상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