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색의 미술관

백색의 미술관

백색의 미술관

강원도 강릉에 씨마크 호텔을 이어 새로운 랜드마크가 등장했다. ‘백색 건축의 거장’ 리처드 마이어의 건축 미학을 계승할 마이어 파트너스에서 건축을 맡은 솔올미술관이다.

솔올미술관 로비에 설치된 루치오 폰타나의 작품〈제9회 밀라노 트리엔날레를 위한 네온 구조 Strutturaal neon per la IX Triennale di Milano>, 1951/2024.

미국을 대표하는 현대 건축가 리처드 마이어는 자연과의 관계를 중요시하는 건축물과 백색의 미학을 담은 건축 철학으로 순수하면서도 미니멀한 공간을 선보여왔다. 그의 건축 스튜디오인 ‘리처드 마이어 앤 파트너스 아키텍츠 Richard Meier & Partners Architects’는 2021년 그가 은퇴하며 마이어 파트너스 Meier Partners로 사명을 바꾸며 새 출발을 했다. 리처드 마이어의 백색 건축 미학을 이어갈 파트너들이 모여 처음으로 선보인 프로젝트가 바로 지난 2월 강릉에 개관한 솔올미술관이다. 리처드 마이어와 30년 세월을 함께한 한국계 미국 건축가 연덕호 파트너가 수석디자이너이며, 그가 이번 프로젝트에서 총감독을 맡았다. 새하얀 콘크리트 외관에 투명한 유리가 어우러져 마이어만의 건축 언어를 고스란히 녹여냈다.

솔올미술관 로비에 설치된 루치오 폰타나의 작품〈제9회 밀라노 트리엔날레를 위한 네온 구조 Strutturaal neon per la IX Triennale di Milano>, 1951/2024.

새하얀 콘크리트 외관과 투명한 유리가 어우러진 솔올미술관 외관 전경.

특히 솔올미술관은 한국 미술과 세계 미술을 연결하는 미술관을 지향하는데, 세계적인 거장과 한국 작가를 동시에 조명할 계획이다. 두 기획 전시가 자연스레 이어질 수 있도록 순환하는 동선을 고려한 것이 특징. 더욱이 백색은 모든 작품을 포용하는 중립적인 배경이 되며 예술을 위한 담론의 장을 펼친다. 현재 개관전으로 이탈리아 현대미술의 거장 루치오 폰타나 Lucio Fontana의 <루치오 폰타나: 공간·기다림>, 그리고 그의 공간주의 맥락을 같이하는 곽인식 작가의 전시 <In Dialog : 곽인식>을 4월 14일까지 선보인다.

ADD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원대로 45

 

INTERVIEW
마이어 파트너스 수석디자이너 연덕호 건축가

솔올미술관 프로젝트의 총감독을 맡은 마이어 파트너스의 연덕호 수석디자이너.

‘리처드 마이어 앤 파트너스 아키텍츠’에서 30년간 일하셨는데요. 소감이 궁금합니다.

30여 년 전, 나는 커리어를 막 시작한 젊은 대학졸업생이었습니다. 열정이 넘치며 에너지와 호기심으로 가득 차 있었고, 무수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었죠. 건물이 지어지는 과정은 비록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 건축가로서 그 경험은 다른 무엇과도 대체할 수 없다고 생각하기에 이 길을 걸어온 것은 의미가 있었습니다. 우리 스튜디오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의미 있는 영향력과 영감을 주고, 환경에 기여하며, 영원히 기억에 남는 건축물을 만드는 것입니다. 최고의 인재들과 함께하는 스튜디오에서 전 세계의 멋진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었죠. 또한 최고의 클라이언트,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어깨를 나란히 하며 배울 수 있는 특권을 누려왔다고 생각합니다.

2015년 씨마크 호텔에 이어 공교롭게도 강릉에서 다시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었는데요. 솔올미술관은 어떻게 시작하게 되었나요?

씨마크 호텔은 한국에서 진행하는 첫 프로젝트였고, 두 번째 프로젝트인 솔올미술관 역시 같은 강릉 지역입니다. 씨마크 호텔의 명성을 바탕으로 한국에서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솔올미술관의 경우 프로젝트 매니저 및 시니어 어소시에이트 Senior Associate인 오사라 Sharon Oh 건축가를 통해 설계 의뢰를 받아 함께 디자인했습니다.

솔올미술관은 설계할 때 어떤 점을 중요시했나요?

미술관이라는 건물의 성격, 대지의 특성과 입지 등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를 꼼꼼히 살펴서 솔루션을 찾아 설계해야 합니다. 특히 솔올미술관은 한국 미술을 조명하는 전시실이 있습니다. 그 부분을 고려해 조용하고 서정적이면서 예술을 돋보이게 하는 건물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한국 전통 건축에서도 영감을 얻으셨다고요.

자연을 거스르지 않고, 변화하는 자연과의 관계성을 담아내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더불어 한국의 추상 미니멀리즘 예술의 선구자들에게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한국 작가를 위한 전시도 열리는 만큼, 유교 영향을 받은 미술 작품이 전시될 가능성도 고려된 사항 중 하나였죠. 그래서 한옥 건축의 특성을 반영해 설계 했습니다. 중앙 마당을 건축물 세 동으로 감싸듯 설계한 이유입니다. 미술관 입구부터 투명한 유리로 마감해 안이 다 보입니다. 뒤쪽 마당까지 보이죠. 입구에서부터 마당의 존재를 인지하게 되고, 미술관에 들어서면서 안과 밖의 경계가 흐려지게 됩니다.

이 대지를 처음 마주했을 때의 감상이 궁금합니다.

처음 사이트에 방문했을 때는 소나무가 많은 언덕이었습니다. 해발 62m으로 교동공원에서 가장 높은 장소입니다. 건물 위 전망대에 오르면 저 멀리 강릉 바다와 함께 우리가 작업한 씨마크 호텔도 보입니다.(웃음) 전망 좋은 언덕인 대지가 너무 매력적이라서 특별한 건물이 들어설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2층 복도에서 바라본 강릉 시내 전경.

꽤 높은 부지에 위치해서 그런지, 도심에서는 미술관이 보이지 않았습니다. 언덕을 올라야 비로소 마주할 수 있는 풍경이 인상적이었는데, 의도한 요소인가요?

도심 속에서 미술관이 명확히 노출된 모습을 보는 것보다는 미술관으로 향하는 여정을 즐기기 바랐습니다. 주변 경관이나 자연에 의해 숨겨져 있다가 서서히 드러나는 모습이죠. 구불구불한 길을 따라 미술관이 위치한 언덕에 도달해야만 비로소 미술관 전경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이러한 경험이 미술관을 맞이했을 때 감동을 배가시킵니다.

루치오 폰타나 ‘네온이 있는 공간 환경 Ambiente spaziale con neon’, 1967/2024.

루치오 폰타나 ‘검은 빛의 공간 환경 Ambiente spaziale a luce near’, 1948-1949/2024.

‘솔올’이라는 이름도 직접 제안하셨다고요.

솔올이라는 이름은 미술관이 자리한 지역의 옛 이름으로, ‘소나무가 많은 고을’이라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솔올미술관 터에도 소나무가 많았고, 그 풍경에 깊은 인상을 받았죠. 그래서 미술관 이름을 솔올이라 먼저 제안했습니다.

입구에서 로비와 전시실, 마당까지 전시 동선이 자연스레 연결되면서 ‘순환하는 미술관’이라고 느꼈습니다.

미술관 내부 동선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요소는 명암입니다. 각 구역의 명암 차이는 미술관을 좀 더 풍부하게 느끼게 해줍니다. 예를 들어 현재 미술관에서 진행 중인 <루치오 폰타나> 전시 공간은 굉장히 어둡습니다. 작품에 맞게끔 설정된 상태인데, 전시실에서 나오면 아주 밝아집니다. 어두운 곳에서 밝은 곳으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유리창 너머의 바깥 풍경을 마주하게 됩니다.

루치오 폰타나의 전시와 함께 개관전으로 열린 ‘In Dialog: 곽인식’ 전경.

곽인식 ‘무제 1981’, 1981.

자연광을 세심히 신경 쓰는 스튜디오답게, 솔올미술관 역시 따스한 빛이 인상적이었는데요.

빛은 우리에게 굉장히 중요한 요소입니다. 건물에 숨을 불어넣습니다. 우리가 건축에 자주 사용하는 흰색이 이 미술관에도 쓰였습니다. 햇빛이 이 흰색 미술관의 인상을 크게 바꿉니다. 흐린 날이 개면서 환한 빛이 들어오고, 건물 색감이 자연스럽게 바뀌게 됩니다. 미술관을 방문하는 관람객의 감정도 달라집니다.

내년 계획에 대해 들려줄 이야기가 있을까요?

현재 한국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는 키움 파이낸스 스퀘어와 경기도 광주의 어린이 꿈자람센터입니다. 키움 파이낸스 스퀘어는 특별한 오피스 프로젝트인데, 유연하면서 효율적인 업무공간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어린이 꿈자람센터는 아이들의 종합학습 시설로, 건축물 내부와 외부 공간이 주변 자연경관과 상호작용을 이루고자 한 프로젝트입니다. 솔올미술관과 비슷하게 건물이 구릉지에 배치되어, 곡선 형태가 주변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역동적인 건축물입니다.

자료제공: 솔올미술관

CREDIT

에디터

TAGS
건강한 호흡의 가치

건강한 호흡의 가치

건강한 호흡의 가치

프랑스 하이엔드 전기오븐레인지 라껑슈와 독일 하이테크 공기청정기 나노드론 등을 선보이는 헬스에어테크놀로지코리아가 새로운 사옥 애드 아스트라를 오픈했다. 애드 아스트라는 단순한 사옥의 기능을 넘어 휴식과 재충전의 공간이 되기 바라는 마음을 담았다. 내부 역시 전형적인 사옥이 아닌 우아한 프렌치 살롱을 연상시킨다. 아치형 창문을 지나 리드미컬한 구조의 계단으로 올라가는 2층에서는 라껑슈 전기오븐레인지를 활용한 쿠킹 클래스를 진행할 계획이다. 1층은 나노드론의 탁월한 공기 정화 효과를 느낄 수 있는 ‘도심 속의 숲’을 구성했다. 특히 사옥 오픈을 기념해 이승주 사진작가와의 컬래버레이션 전시 <숨 | 3 shapes of Breathing>을 선보였다. 나노드론이 지향하는 건강한 호흡의 가치에 대해 시각적으로 표현한 이승주 작가와 이야기를 나눴다.

ADD 서울시 서초구 서리풀4길 9

 

INTERVIEW
이승주 작가

이번 협업 전시에 대해 간단히 소개해달라.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회색도시에서 건강한 호흡은 절대적 가치로 다가온다. 삶의 중요한 가치는 이러한 눈에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인식에서 시작된다고 본다. 호흡의 근원을 탐구하는 나노드론의 아이덴티티에 공감하고, 무형의 시각화 작업을 진행했다. 깊은 호흡이 우리 삶에 어떤 울림을 주는지 표현하고 싶었다.

건강한 호흡의 가치를 표현하기 위해 어떤 부분을 중점적으로 보여주고자 했나?

호흡을 한 번 하더라도 깊은 내면의 안식을 느끼며 살아가고 있는지 되새겨보고 싶었다. 보이지 않는 ‘숨’의 존재, 호흡을 표현하는 과정은 나에게 흥미로운 재료였다. 가야금 현의 울림, 감각을 깨우는 향, 한국의 궁을 명암으로 표현한 데 이어 올해 나노드론과 함께한 작업까지, 수년 동안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단상을 시각화하고 있다. 이번에는 보이지 않는 깊은 호흡으로 내면의 안식을 선사하는 과정과 그 사이에서 놓치기 쉬운 미세한 아름다움을 포착했다.

세 가지 작품을 입힌 리미티드 에디션도 함께 선보였다.

‘공기와 호흡의 원형은 무엇이며, 어디서 오게 된 것일까’라는 물음표에서 작업을 시작했다. 첫 번째 작품 은 태초의 원형, 만물의 소생과 에너지가 공존하며 인간에게 주어진 생명 호흡을 표현했다. 두 번째 작품 는 침묵 속의 안식을, 세 번째 작품 은 내면의 에너지와 이를 바라본 나의 시선을 표현했다.

옻칠해서 한국적 정서를 녹여낸 스페셜 에디션도 흥미로웠다.

한국의 나노드론 사옥 오프닝인 만큼 한국에서만 볼 수 있는 상징적인 작품이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황마 소재에 호흡의 이미지를 입히고 옻칠 마감한 작업이다. 세월이 지날수록 더욱 깊은 중후함을 느낄 수 있는 옻칠이 흔들리지 않는 생명력을 가진 사진과 닮았다고 느꼈다.

CREDIT

에디터

TAGS
전통과 혁신 사이

전통과 혁신 사이

전통과 혁신 사이

스페인 디자인 가구 브랜드 미싸나가 유니크하고 통통 튀는 컬러감의 가구를 선보인다. 세계적인 디지털 아티스트 블라드미르 나우모프와 협업한 예티 소파가 가장 먼저 시선을 사로잡는다. 몽글몽글한 구름 형태에서 영감을 얻은 디자인으로, 몽환적이면서도 부드러운 텍스처를 자랑한다. 스페인의 숙련된 장인들이 핸드메이드로 제작하는 브랜드인 만큼 3D 모델링 아티스트와 가진 협업은 더욱 뜻깊다. 디지털 아트에 대한 존중과 수공예에 대한 헌사를 동시에 담았다. 미싸나의 기능성을 강조한 가구 컬렉션도 함께 선보인다. 스페인의 유명 디자인 스튜디오 페레즈오찬도와 협업한 아라 암체어, 미싸나의 창립자 페페 알바르그가 디자인한 오슬로 체어 등 감각적인 디자인이 돋보이는 미싸나는 플랜리빙에서 만날 수 있다.

TEL 02-516-2617

CREDIT

에디터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