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stic Showcase

Artistic Showcase

Artistic Showcase

닐루파 갤러리의 수장인 니나 야사르가 최근 스위스와 멕시코에서 열린 전시 소식을 보내왔다. 압도적인 분위기를 발산하는 두 개의 전시 공간.

닐루파의 수장, 니나 야사르

이탈리아 디자인의 대모이자 닐루파의 수장 니나 야사르. © Alejandro Ramirez Orozco

이란에서 태어나 이탈리아에서 성장한 니나 야사르 Nina Yashar는 1979년 이탈리아 밀라노에 닐루파 갤러리 Nilufar Gallery를 설립했다. 이후 2015년에는 1500㎡ 규모의 넓은 공간을 자랑하는 쇼룸 겸 전시 공간 닐루파 데포 Depot를 오픈하면서 현재 디자인 세계에서 중추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갤러리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니나 야사르의 독특한 비전을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는 이 두 갤러리는 빈티지와 컨템퍼러리의 믹스 매치, 거장과 신예의 완벽한 조화로 다문화적인 시각을 선보인다. 닐루파는 다양한 전시 프로그램을 주최할 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의 굵직한 디자인 페어에 참여하며 국제 디자인 커뮤니티에 대한 역동적인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다.

 

노매드 세인트 모리츠, 스위스

정면에 보이는 소파와 유기적인 형태의 스탠드 조명은 칼레드 엘 메이스. 스툴과 세트 구성의 낮은 라운지 체어와 금속 사이드 테이블은 가브리엘라 크레스피. 생명체를 연상케 하는 독특한 형태의 조명은 크리스찬 펠리차리. 벽에 걸린 페인팅 작품은 롤라 몬테. © De Pasquale + Maffini

마치 벽에서 자라난 듯 유기적인 형태가 돋보이는 크리스찬 펠리차리의 벽 조명. 기다란 벤치 형태의 소파는 칼레드 엘 메이스. © De Pasquale + Maffini

닐루파가 지난 2월에 열린 ‘노매드 세인트 모리츠 Nomad St. Moritz 2024’ 박람회에 참석해 시선을 압도하는 설치 공간을 연출했다. 노매드는 2017년 조르지오 파세 Giorgio Pace와 니콜라스 벨라방스 레꼼떼 Nicolas Bellavance-Lecompte에 의해 설립된 예술 박람회다. 특정 장소에 얽매이지 않고 유목민처럼 이주하며 생활하는 개념인 노매드를 주제로 기획된 박람회로 새로운 목적지를 정기적으로 발표하며 지정된 전시 공간 없이 여러 나라에서 개최된다. 올해는 스위스 세인트 모리츠에 위치한 호텔 에덴에서 전시가 개최됐다. 이곳에서 이탈리아 디자이너 가브리엘라 크레스피 Gabriella Crespi의 창조적인 가구들과 함께 대나무, 금속 같은 이색 소재의 결합으로 인상적인 무드를 연출했다. 1950년대 건축 스튜디오 B.B.P.R에서 온 안락의자와 자크 아드네 Jacques Adnet가 디자인한 서랍장 등 보기 드문 가구들을 대거 공개했다.

손으로 직접 빚어 자유로운 형태가 특징인 롤라 몬테의 아티초크 캔들 홀더. 섬세하게 물들인 다채로운 컬러도 인상적이다. © De Pasquale + Maffini

독특한 모습으로 존재감을 내뿜는 칼레드 엘 메이스의 라운지 체어는 재활용한 가죽을 얇고 가늘게 잘라 볏짚을 연상케 한다. 마치 뱀이 또아리를 튼 듯한 유기적인 형태가 돋보이는 스탠드 조명 역시 칼레드 엘 메이스의 작품. © De Pasquale + Maffini

현대 작품으로는 유기적인 형태와 자연의 세계에 대한 영감을 바탕으로 탄생한 레바논 디자이너 칼레드 엘 메이스 Khaled El Mays의 플로라 Flora 컬렉션과 바닥과 벽 등에서 자라난 듯 생명체를 닮은 무라노 유리 조명도 눈길을 끈다. 이 외에도 신진 디자이너 맥시밀리언 마르체사니 Maximilian Marchesani의 새로운 조명 작품과 롤라 몬테 Lola Montes의 아티초크 시리즈, 오드리 라지 Audrey Large의 3D 프린트 조각 등으로 신선한 시각적 자극을 안겼다.

 

조나 마코, 멕시코시티

1958년에 지은 멕시코 건축가 페드로 라미레스 바스케스의 주택. 그가 실제 사용했던 가구와 각국에서 수집한 오브제가 함께 전시됐다. © Alejandro Ramirez Orozco

아날로지아 프로젝트가 디자인한 실링 램프 네크리스 조명으로 멋스럽게 공간을 연출했다. © Alejandro Ramirez Orozco

다수의 국제 박람회 참여 경력을 지닌 닐루파가 멕시코 첫 데뷔 무대를 치렀다. 바로 현대 예술 박람회 조나 마코 멕시코 Zona Maco México 2024를 통해서다. 닐루파는 러그 브랜드 씨씨타피스 CC-Tapis와 스튜디오 84 Studio 84와 협력해 이번 전시에 참여했다. 쇼케이스 장소로 선택된 곳은 멕시코 건축가 페드로 라미레스 바스케스 Pedro Ramírez Vàzquez의 주택. 멕시코 주요 주거 지역에 위치한 이 주택은 1958년 건축되어 55년 동안 페드로가 실제 머물렀던 주거지이자 스튜디오로 사용되다가 현재는 그의 아들 하비에르 Javier가 관리하고 있다. 특히 이 주택의 중정은 하늘을 올려다볼 수 있도록 열려 있었지만, 존재감 있게 자리하고 있는 재규어 조각상을 보호하기 위해 유리 천장을 덧대어 재건축했다. 주택 입구에는 건축가의 특징적 디자인인 창유리 파티션과 참나무 격자무늬가 장식되어 있다. 건물 내부는 화산암으로 마감했으며, 다이닝과 거실에는 페드로가 디자인한 가구와 각종 오브제가 진열되었다. 특히 고고학 문서와 방대한 도서 컬렉션, 건축 드로잉, 사진, 예술 작품, 1968년 올림픽을 기념해 제작한 거대한 기념품 등 그가 각국에서 수집한 다양한 컬렉션이 함께 전시됐다.

아름다운 컬러를 입은 벽 조명이 거실을 환하게 비춘다. © Alejandro Ramirez Orozco

강렬한 존재감을 내뿜는 재규어 조각상. 이를 잘 보존하기 위해 유리 천장을 설치할 정도로 페드로의 중요한 애장품 중 하나다. © Alejandro Ramirez Orozco

박람회 기간 동안 닐루파는 네덜란드 예술가 오드리 라지의 3D 프린트 아트피스와 영국 디자이너 베단 로라 우드 Bethan Laura Wood의 러그 컬렉션, 오픈 에디션의 주요 작품들을 선택해 주택과 아름답게 공존을 이룬 설치를 선보였다. 이 협업은 창의적이고 협력적인 힘의 예시로서 디자인의 중요성과 진화의 빛을 가감 없이 보여줬다.

세월의 멋스러움이 공간 곳곳에 묻어 있다. © Alejandro Ramirez Orozco

WEB www.nilufar.com

CREDIT

에디터

TAGS
백색의 미술관

백색의 미술관

백색의 미술관

강원도 강릉에 씨마크 호텔을 이어 새로운 랜드마크가 등장했다. ‘백색 건축의 거장’ 리처드 마이어의 건축 미학을 계승할 마이어 파트너스에서 건축을 맡은 솔올미술관이다.

솔올미술관 로비에 설치된 루치오 폰타나의 작품〈제9회 밀라노 트리엔날레를 위한 네온 구조 Strutturaal neon per la IX Triennale di Milano>, 1951/2024.

미국을 대표하는 현대 건축가 리처드 마이어는 자연과의 관계를 중요시하는 건축물과 백색의 미학을 담은 건축 철학으로 순수하면서도 미니멀한 공간을 선보여왔다. 그의 건축 스튜디오인 ‘리처드 마이어 앤 파트너스 아키텍츠 Richard Meier & Partners Architects’는 2021년 그가 은퇴하며 마이어 파트너스 Meier Partners로 사명을 바꾸며 새 출발을 했다. 리처드 마이어의 백색 건축 미학을 이어갈 파트너들이 모여 처음으로 선보인 프로젝트가 바로 지난 2월 강릉에 개관한 솔올미술관이다. 리처드 마이어와 30년 세월을 함께한 한국계 미국 건축가 연덕호 파트너가 수석디자이너이며, 그가 이번 프로젝트에서 총감독을 맡았다. 새하얀 콘크리트 외관에 투명한 유리가 어우러져 마이어만의 건축 언어를 고스란히 녹여냈다.

솔올미술관 로비에 설치된 루치오 폰타나의 작품〈제9회 밀라노 트리엔날레를 위한 네온 구조 Strutturaal neon per la IX Triennale di Milano>, 1951/2024.

새하얀 콘크리트 외관과 투명한 유리가 어우러진 솔올미술관 외관 전경.

특히 솔올미술관은 한국 미술과 세계 미술을 연결하는 미술관을 지향하는데, 세계적인 거장과 한국 작가를 동시에 조명할 계획이다. 두 기획 전시가 자연스레 이어질 수 있도록 순환하는 동선을 고려한 것이 특징. 더욱이 백색은 모든 작품을 포용하는 중립적인 배경이 되며 예술을 위한 담론의 장을 펼친다. 현재 개관전으로 이탈리아 현대미술의 거장 루치오 폰타나 Lucio Fontana의 <루치오 폰타나: 공간·기다림>, 그리고 그의 공간주의 맥락을 같이하는 곽인식 작가의 전시 <In Dialog : 곽인식>을 4월 14일까지 선보인다.

ADD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원대로 45

 

INTERVIEW
마이어 파트너스 수석디자이너 연덕호 건축가

솔올미술관 프로젝트의 총감독을 맡은 마이어 파트너스의 연덕호 수석디자이너.

‘리처드 마이어 앤 파트너스 아키텍츠’에서 30년간 일하셨는데요. 소감이 궁금합니다.

30여 년 전, 나는 커리어를 막 시작한 젊은 대학졸업생이었습니다. 열정이 넘치며 에너지와 호기심으로 가득 차 있었고, 무수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었죠. 건물이 지어지는 과정은 비록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 건축가로서 그 경험은 다른 무엇과도 대체할 수 없다고 생각하기에 이 길을 걸어온 것은 의미가 있었습니다. 우리 스튜디오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의미 있는 영향력과 영감을 주고, 환경에 기여하며, 영원히 기억에 남는 건축물을 만드는 것입니다. 최고의 인재들과 함께하는 스튜디오에서 전 세계의 멋진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었죠. 또한 최고의 클라이언트,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어깨를 나란히 하며 배울 수 있는 특권을 누려왔다고 생각합니다.

2015년 씨마크 호텔에 이어 공교롭게도 강릉에서 다시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었는데요. 솔올미술관은 어떻게 시작하게 되었나요?

씨마크 호텔은 한국에서 진행하는 첫 프로젝트였고, 두 번째 프로젝트인 솔올미술관 역시 같은 강릉 지역입니다. 씨마크 호텔의 명성을 바탕으로 한국에서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솔올미술관의 경우 프로젝트 매니저 및 시니어 어소시에이트 Senior Associate인 오사라 Sharon Oh 건축가를 통해 설계 의뢰를 받아 함께 디자인했습니다.

솔올미술관은 설계할 때 어떤 점을 중요시했나요?

미술관이라는 건물의 성격, 대지의 특성과 입지 등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를 꼼꼼히 살펴서 솔루션을 찾아 설계해야 합니다. 특히 솔올미술관은 한국 미술을 조명하는 전시실이 있습니다. 그 부분을 고려해 조용하고 서정적이면서 예술을 돋보이게 하는 건물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한국 전통 건축에서도 영감을 얻으셨다고요.

자연을 거스르지 않고, 변화하는 자연과의 관계성을 담아내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더불어 한국의 추상 미니멀리즘 예술의 선구자들에게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한국 작가를 위한 전시도 열리는 만큼, 유교 영향을 받은 미술 작품이 전시될 가능성도 고려된 사항 중 하나였죠. 그래서 한옥 건축의 특성을 반영해 설계 했습니다. 중앙 마당을 건축물 세 동으로 감싸듯 설계한 이유입니다. 미술관 입구부터 투명한 유리로 마감해 안이 다 보입니다. 뒤쪽 마당까지 보이죠. 입구에서부터 마당의 존재를 인지하게 되고, 미술관에 들어서면서 안과 밖의 경계가 흐려지게 됩니다.

이 대지를 처음 마주했을 때의 감상이 궁금합니다.

처음 사이트에 방문했을 때는 소나무가 많은 언덕이었습니다. 해발 62m으로 교동공원에서 가장 높은 장소입니다. 건물 위 전망대에 오르면 저 멀리 강릉 바다와 함께 우리가 작업한 씨마크 호텔도 보입니다.(웃음) 전망 좋은 언덕인 대지가 너무 매력적이라서 특별한 건물이 들어설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2층 복도에서 바라본 강릉 시내 전경.

꽤 높은 부지에 위치해서 그런지, 도심에서는 미술관이 보이지 않았습니다. 언덕을 올라야 비로소 마주할 수 있는 풍경이 인상적이었는데, 의도한 요소인가요?

도심 속에서 미술관이 명확히 노출된 모습을 보는 것보다는 미술관으로 향하는 여정을 즐기기 바랐습니다. 주변 경관이나 자연에 의해 숨겨져 있다가 서서히 드러나는 모습이죠. 구불구불한 길을 따라 미술관이 위치한 언덕에 도달해야만 비로소 미술관 전경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이러한 경험이 미술관을 맞이했을 때 감동을 배가시킵니다.

루치오 폰타나 ‘네온이 있는 공간 환경 Ambiente spaziale con neon’, 1967/2024.

루치오 폰타나 ‘검은 빛의 공간 환경 Ambiente spaziale a luce near’, 1948-1949/2024.

‘솔올’이라는 이름도 직접 제안하셨다고요.

솔올이라는 이름은 미술관이 자리한 지역의 옛 이름으로, ‘소나무가 많은 고을’이라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솔올미술관 터에도 소나무가 많았고, 그 풍경에 깊은 인상을 받았죠. 그래서 미술관 이름을 솔올이라 먼저 제안했습니다.

입구에서 로비와 전시실, 마당까지 전시 동선이 자연스레 연결되면서 ‘순환하는 미술관’이라고 느꼈습니다.

미술관 내부 동선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요소는 명암입니다. 각 구역의 명암 차이는 미술관을 좀 더 풍부하게 느끼게 해줍니다. 예를 들어 현재 미술관에서 진행 중인 <루치오 폰타나> 전시 공간은 굉장히 어둡습니다. 작품에 맞게끔 설정된 상태인데, 전시실에서 나오면 아주 밝아집니다. 어두운 곳에서 밝은 곳으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유리창 너머의 바깥 풍경을 마주하게 됩니다.

루치오 폰타나의 전시와 함께 개관전으로 열린 ‘In Dialog: 곽인식’ 전경.

곽인식 ‘무제 1981’, 1981.

자연광을 세심히 신경 쓰는 스튜디오답게, 솔올미술관 역시 따스한 빛이 인상적이었는데요.

빛은 우리에게 굉장히 중요한 요소입니다. 건물에 숨을 불어넣습니다. 우리가 건축에 자주 사용하는 흰색이 이 미술관에도 쓰였습니다. 햇빛이 이 흰색 미술관의 인상을 크게 바꿉니다. 흐린 날이 개면서 환한 빛이 들어오고, 건물 색감이 자연스럽게 바뀌게 됩니다. 미술관을 방문하는 관람객의 감정도 달라집니다.

내년 계획에 대해 들려줄 이야기가 있을까요?

현재 한국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는 키움 파이낸스 스퀘어와 경기도 광주의 어린이 꿈자람센터입니다. 키움 파이낸스 스퀘어는 특별한 오피스 프로젝트인데, 유연하면서 효율적인 업무공간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어린이 꿈자람센터는 아이들의 종합학습 시설로, 건축물 내부와 외부 공간이 주변 자연경관과 상호작용을 이루고자 한 프로젝트입니다. 솔올미술관과 비슷하게 건물이 구릉지에 배치되어, 곡선 형태가 주변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역동적인 건축물입니다.

자료제공: 솔올미술관

CREDIT

에디터

TAGS
건강한 호흡의 가치

건강한 호흡의 가치

건강한 호흡의 가치

프랑스 하이엔드 전기오븐레인지 라껑슈와 독일 하이테크 공기청정기 나노드론 등을 선보이는 헬스에어테크놀로지코리아가 새로운 사옥 애드 아스트라를 오픈했다. 애드 아스트라는 단순한 사옥의 기능을 넘어 휴식과 재충전의 공간이 되기 바라는 마음을 담았다. 내부 역시 전형적인 사옥이 아닌 우아한 프렌치 살롱을 연상시킨다. 아치형 창문을 지나 리드미컬한 구조의 계단으로 올라가는 2층에서는 라껑슈 전기오븐레인지를 활용한 쿠킹 클래스를 진행할 계획이다. 1층은 나노드론의 탁월한 공기 정화 효과를 느낄 수 있는 ‘도심 속의 숲’을 구성했다. 특히 사옥 오픈을 기념해 이승주 사진작가와의 컬래버레이션 전시 <숨 | 3 shapes of Breathing>을 선보였다. 나노드론이 지향하는 건강한 호흡의 가치에 대해 시각적으로 표현한 이승주 작가와 이야기를 나눴다.

ADD 서울시 서초구 서리풀4길 9

 

INTERVIEW
이승주 작가

이번 협업 전시에 대해 간단히 소개해달라.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회색도시에서 건강한 호흡은 절대적 가치로 다가온다. 삶의 중요한 가치는 이러한 눈에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인식에서 시작된다고 본다. 호흡의 근원을 탐구하는 나노드론의 아이덴티티에 공감하고, 무형의 시각화 작업을 진행했다. 깊은 호흡이 우리 삶에 어떤 울림을 주는지 표현하고 싶었다.

건강한 호흡의 가치를 표현하기 위해 어떤 부분을 중점적으로 보여주고자 했나?

호흡을 한 번 하더라도 깊은 내면의 안식을 느끼며 살아가고 있는지 되새겨보고 싶었다. 보이지 않는 ‘숨’의 존재, 호흡을 표현하는 과정은 나에게 흥미로운 재료였다. 가야금 현의 울림, 감각을 깨우는 향, 한국의 궁을 명암으로 표현한 데 이어 올해 나노드론과 함께한 작업까지, 수년 동안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단상을 시각화하고 있다. 이번에는 보이지 않는 깊은 호흡으로 내면의 안식을 선사하는 과정과 그 사이에서 놓치기 쉬운 미세한 아름다움을 포착했다.

세 가지 작품을 입힌 리미티드 에디션도 함께 선보였다.

‘공기와 호흡의 원형은 무엇이며, 어디서 오게 된 것일까’라는 물음표에서 작업을 시작했다. 첫 번째 작품 은 태초의 원형, 만물의 소생과 에너지가 공존하며 인간에게 주어진 생명 호흡을 표현했다. 두 번째 작품 는 침묵 속의 안식을, 세 번째 작품 은 내면의 에너지와 이를 바라본 나의 시선을 표현했다.

옻칠해서 한국적 정서를 녹여낸 스페셜 에디션도 흥미로웠다.

한국의 나노드론 사옥 오프닝인 만큼 한국에서만 볼 수 있는 상징적인 작품이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황마 소재에 호흡의 이미지를 입히고 옻칠 마감한 작업이다. 세월이 지날수록 더욱 깊은 중후함을 느낄 수 있는 옻칠이 흔들리지 않는 생명력을 가진 사진과 닮았다고 느꼈다.

CREDIT

에디터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