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수의 아찔한 추억

고수의 아찔한 추억

고수의 아찔한 추억

중국, 태국, 베트남, 캄보디아가 교차하는 지점인 라오스. 상큼한 허브 고수와 민물생선 그리고 통통 튀는 찹쌀밥까지 동남아시아 음식을 처음 접하는 초보에게도 안성맞춤의 코스를 소개한다.

“No Coriander, please.”(영어) “No Cilantro, por favor.”(스페인어) “삐에팡 씨앙차이.”(중국어) “마이 싸이 팍치.”(태국어) 모두 다 향신료인 ‘고수’를 넣지 말아달라는 표현들이다. 내가 이 문장들을 다 외우고 있는 이유는? 당연히 고수를 엄청 싫어했기 때문이다! 지중해가 원산인 이 풀은 우리나라만 빼고 전 세계 사람들로부터 사랑을 받고 있다. 어딜 가든 안 먹는 곳이 없을 정도다. 하긴 우리나라에서도 일찍부터 사찰을 중심으로 고수를 재배해 김치로도 먹고 쌈으로도 먹었다고 한다. 파, 마늘, 부추, 달래, 양파 등 오신채를 먹어선 안 되는 스님들이 심심한 입을 달래기 위한 일종의 대체 향신료였던 셈이다. 그런데 어떻게 된 게 고수의 향은 오신채보다 더 강하다. 샴푸 향 같기도 하고 노린재의 방귀 같기도 한 그 냄새는 도무지 음식에서 나서는 안 되는 것으로 느껴지기 십상이다. 사실 위에 적은 표현들 중,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이거다. “보 싸이 홈 뽐.” 태국말과 살짝 비슷한 감이 있기도 한 이 문장은 파사 라오, 즉 라오어語다. 2002년 고수와 처음 대면했던 곳, 내 두 번째 해외 출장지, 라오스의 수도 위엔짱(비엔티안)은 초여름부터 무더웠다. 하지만 갓 조연출 딱지를 떼고 해외 물을 먹기 시작했던 나에겐 라오스의 모든 것이 신기하고 새로웠다. 무엇보다 물가가 정말 환상적으로 쌌다. 특급 호텔에서 맥주 댓 병이 겨우 1만7천킵(1천7백원)이었으니, 길거리에서 사 먹는 국수는 5백원 미만이면 먹을 수 있었다. 하지만 그렇게 싼 국수라고 하더라도, 들어가는 재료나 맛은 만만치 않았다. 라오스에서도 여타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쌀국수를 즐겨 먹는다. 우리에게 익숙한 베트남식의 가는 국수는 퍼, 그것보다 굵은 국수는 카오 삐악 Khao Piak이라고 부른다. 개인적으로는 씹는 맛이 더한 카오 삐악을 더 즐겨 먹었다. 배고플 때 식당에 가면 반찬에 먼저 손이 가는 것과 마찬가지로, 위엔짱의 노천 식당에 자리를 잡고 앉으면 으레 먼저 상에 올라온 홈 라압 Hom Laap(민트 잎)이나 오이를 파득 Padaek(생선으로 만든 라오스식 된장)에 찍어 오독거리는 것이 자연스런 절차였다. 하지만 그 소쿠리 속에서 유독 멀찌감치 치워놓는 대상이 있었으니, 그게 바로 홈 뽐 Hom pom이라 불리는 고수다. 먹을 때 넣지 않는다고 해도 끓이는 단계에서 들어간 것은 어쩔 수가 없으니, 아예 국수를 주문할 때 “보 싸이 홈 뽐!” 하고 외치게 된 것도 라오스에서 얻은 습관 중 하나였다. 홈 뽐만 사전 차단하는 데 성공한다면, 라오스에서의 식생활은 만족 그 자체였다. 동남아시아 음식을 처음 접하는 나에건 안성맞춤의 초심자 코스였던 셈이다. 라오스 음식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매 끼니 먹는 찹쌀밥이다. 라오스 북부의 몽족 마을에 여자 리포터와 함께 촬영을 간 적이 있는데, 마을 이장님이 꼭 점심을 자기 집에서 대접하고 싶다 하여 리포터가 대접받는 모습을 촬영하게 되었다. 이장님께서 아리따운 한국 아가씨가 대단히 마음에 들었던지, 본인이 찹쌀밥을 떼어 직접 먹여주셨다. 문제는 이장님이 방금 밭일을 마치고 갓 돌아와 손을 씻지 않았다는 점이었다. 손바닥 안에서 주물럭거린 찹쌀밥은 살짝 거뭇하게 색이 변해 있었고 반찬 국물에 찍어 리포터의 입 앞에 도달했을 땐 나조차 이걸 어째야 할지 모르는 상황이 되어 있었다. 다행히 프로정신이 투철했던 그 리포터는 카메라 렌즈를 원망 담은 눈길로 잠시 째려보고는 그 밥 뭉치를 한입에 꿀떡 받아 삼켰다. 그리고 이어진 멘트. “간장에 찍지 않아도 밥맛이 짭짤하네요.” 손 안에서 밥을 주물럭거리는 이유는 그렇게 해야 찹쌀밥 낱알의 까끌거림이 덜해지고 한 덩어리의 인절미처럼 쫄깃해지기 때문이다. 이 찹쌀밥과 환상의 궁합을 이루는 음식이 바로 ‘라압’이다. 라압의 주인공은 ‘홈 라압’이라고 부르는 민트 잎이다. 우리나라에선 모히토를 마실 때에나 들어가는 민트 잎이 여기선 당당히 음식의 주재료 역할을 한다. 함께 들어가는 부재료에 따라 라압 빠(생선살), 라압 까이(닭고기), 라압 무(돼지고기), 라압 느어(쇠고기) 등으로 달라지는데, 요는 신선한 민트 잎에 잘게 간 고기를 넣고, 남빠라는 젓갈과 라임즙으로 간을 해 무치는 것이다. 어질어질한 더위에 입맛을 잃었을 때, 상큼한 민트 잎과 라임이 들어간 라압만큼 적절한 처방도 드물다. 여기에 찹쌀밥을 곁들이면 영양 면에서나 맛에서나 흠잡을 데 없는 라오스의 가정식 백반이 탄생한다. 라오스의 가정식 백반에서 빼놓아서는 안되는 한 가지가 더 있다면 바로 ‘땀막훙’이다. 라오어로 ‘땀’은 절구에 넣고 빻는 것을 의미하고, ‘막훙’은 그린 파파야를 말한다. 즉, ‘절구에 넣고 빻은 그린 파파야 샐러드’다. 빻을 땐 남빠와 설탕, 라임 그리고 매운 고추가 들어간다. 무보다 더 슴슴한 파파야의 맛에 젓갈의 감칠맛과 고추의 매운맛 그리고 라임의 상큼한 맛이 합쳐져 만들어내는 앙상블은 생각보다 오묘해서 쉽게 중독되곤 한다. 알맞게 식은 찹쌀밥과 땀막훙을 맨손으로 집어서 입안에 밀어 넣는 그 때의 느낌을 생각하는 지금도 입안엔 침이 한가득이다. 그렇게 피해 다녔던 홈 뽐과 예상치 못한 재회를 한 것은 2005년, 세 번째로 라오스 취재를 갔을 때였다. 한국에서 카메라 감독과 리포터를 대동하고 간 취재였기에 음식을 고를 때도 가급적이면 너무 낯설지 않은 것을 선택하려 나름 애를 썼다. 도착한 지 며칠 지나지 않아 저녁 식사로 ‘똠얌빠’를 시켰는데, 한식으로 치면 생선 지리에 해당하는 국물 요리였다. 보글보글 끓으며 신선로에 담겨 나온 모양새가 너무나 맛나 보여 코를 박고 먹기 시작했는데, 정신없이 흡입하는 와중에 주위를 둘러보니 카메라 감독과 리포터는 벌써 식사를 마친 눈치였다. “아니 왜 벌써 수저를 놓아요? 이 생선국 정말 맛있는데? 좀 더 드시죠?” “그게… 향이 너무 강해서 우린 못 먹겠어.” “네? 여기엔 홈 뽐도 안 들어가 있…”까지 말하고 국물을 자세히 들여다보니, 용산에 조성된 서울숲처럼 초록을 뽐내고 있는 것들이 눈에 들어온다. 듬뿍 들어간 홈 뽐이다. “아하…! 이게 왜 향이 느껴지지 않았지…?” 해답은 간단했다. 여러 날에 걸친 라오스 취재 동안, 피해 다닌다고 다니긴 했지만 어쩔 수 없이 홈 뽐을 먹어야 할 기회도 많이 있었고 그런 경험이 반복되다 보니 그 향에 익숙해졌던 것이다. 결국 그날 밤, 나는 맛있는 똠얌빠를 독차지하고 느긋하게 즐길 수 있었다. 다른 나라에 가서 낯선 풍습이나 낯선 문화 때문에 그 나라 자체에 대한 인상까지 흔들리는 경험을 하는 사람들에게 난 종종 이 이야기를 한다. 무엇이든 내가 알고 있는 것과 다른 것이 나타나면 금세 ‘옳다’, ‘그르다’는 판단을 내리려 하지 말고 일단 회색 지대에 남겨놓고 보자는 것이다. 충분한 정보와 경험이 모이면, 그때 가서 자연스럽게 판가름이 나기 마련이다. 그게 진짜 옳은 건지, 그른 건지, 나에게 맞는 건지, 아닌 건지. 처음 홈 뽐과 인연을 맺은 지 12년이 지난 나로 말할 것 같으면, 홈 뽐, 팍치, 코리앤더, 실란트로, 씨앙차이가 들어가지 않은 현지 음식은 어딘지 허전하다고 생각하는, ‘고수 덕후’의 증세를 나타내고 있다. “싸이 홈 뽐 라이라이!(홈 뽐 많이 넣어주세요!)”
탁재형(다큐멘터리 PD) | 에디터 이경현 | 일러스트레이터 김상인

CREDIT
고수의 아찔한 추억

Global(3) New York

Global(3) New York

Hello, Ralph!, 찰스 제임스 패션을 넘어, 추억의 게임

Hello, Ralph!
지난 5월 19일, 맨해튼 42번가에 위치한 뉴욕공립도서관에서 랄프로렌 키즈 2014 F/W 패션쇼가 열렸다. 팝 가수 알리샤 키스 등 유명 셀러브리티가 참석한 이번 패션쇼는 올해 행사의 호스트인 우마 서먼과 데이비드 로렌 David Lauren의 인사로 시작되었다. 랄프로렌은 총 61벌의 룩을 제안했으며, 대부분 백인 일색이었던 패션쇼에 중국판 <아빠! 어디가?> 프로그램으로 최고의 어린이 스타가 된 안젤라 왕을 메인 모델로 등장시키면서 아시아 시장에 대한 기대를 표출했다. 랄프로렌이 꾸준히 이어오고 있는 ‘리치 아웃 앤 리드’라는 아동문맹퇴치 운동의 일환으로 삼고자 이번 행사를 공립도서관에서 개최한 만큼, 패션쇼가 끝난 이후 브로드웨이 오리지널 뮤지컬 <마틸다 Matilda>의 공연이 펼쳐지면서 아이와 어른 모두 함께 즐기는 인상적인 패션쇼로 마무리되었다.
문의 www.ralphlauren.co.kr

찰스 제임스, 패션을 넘어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내 ‘코스튬 인스티튜드’ 관이 2년간의 레노베이션을 거쳐 안나 윈투어 코스튬 센터 스페이스 Anna Wintour Costume Center Space로 다시 문을 열었다. 새롭게 개장한 안나 윈투어 코스튬 센터 스페이스의 첫 전시로 미국 역사상 최고의 쿠튀르 디자이너로 거론되는 찰스 제임스의 의상이 선택되었다. 찰스 제임스는 그저 맞춤옷에 불과했던 의상 디자인을 예술로 승화시킨 미국 최초의 인물. 찰스 제임스와 동시대 인물인 크리스찬 디올은 ‘이 시대 가장 뛰어난 재능의 소유자’라고 명했고, 발렌시아가는 ‘드레스 만드는 일을 응용 예술에서 순수예술로 탈바꿈시킨 유일한 인물’이라고 칭했다. 구조적이고 장식적인 의상으로 예술적인 감각을 한껏 드러낸 그의 작품을 만나고 싶은 이들로 이미 전시장은 북적이고 있다.
주소 1000 Fifth Avenue New York, NY 10028
문의 www.metmuseum.org/exhibitions/

추억의 게임
바 Bar와 아케이드 Arcade를 합쳐 만든 바케이드는 이름 그대로 다양한 아케이드 게임을 할 수 있는 곳이다. 이곳의 주인인 폴은 비디오 게임 수집가로 4대의 아케이드 게임기를 보유하고 있었다. 집에서 파티를 열 때마다 손님들에게 이 아케이드 게임기가 큰 인기를 끌자 숍을 내야겠다는 다짐을 했다고. 윌리엄스버그와 부시윅의 경계 지역에 위치한 ‘브루클린 바케이드’는 뉴욕을 시작으로 미국 전역에 소문이 퍼지면서 뉴저지, 필라델피아 등 4개 지역에 매장을 열었고 현재 5번째 지점이 오픈 준비 중이다. 아케이드 게임뿐만 아니라 근거리에서 양조된 다양한 생맥주 또한 유명하다. 이곳을 찾는 손님은 어린 시절 아케이드 게임을 즐겼던 30~40대이지만 복고 바람이 불면서 바케이드를 찾는 연령대가 낮아지고 있다. 인기가 많은 게임으로는 닌자 거북이, 팩맨, 탭퍼, 램피지 그리고 자동차 경주 게임이다. 파이널 파이터와 테트리스 등 한국에서 잘 알려진 게임들도 즐길 수 있다.
주소 388 Union Avenue, Brooklyn, New York 11211
문의 www.barcade.com글&사진 신동인(뉴욕 통신원)

CREDIT
고수의 아찔한 추억

Global(2) London

Global(2) London

달빛 아래 영화, 세계의 음식이 한자리에, 네오클래식의 절정

달빛 아래 영화
선선한 여름밤 선데크와 푹신한 빈백에 앉아 야외에서 감상하는 영화는 극장에서 보는 것과는 또 다른 느낌과 감동을 선사한다. 매년 초여름이 되면 캠던 야외 시장이 열리는 캠던 록에 마련되는 백야드 시네마 Backyard Cinema는 200석만 좌석이 마련되어 친밀하고 특별한 느낌을 주는 야외 극장이다. 1950년대 영화관에서나 볼 수 있었던 고혹적인 차림의 여성이 좌석을 돌아다니면서 판매하는 시원한 음료와 팝콘을 즐길 수 있다. 더불어 런던 버거 리스트 톱 10에 빠지지 않고 이름을 올려놓는 어니스트 버거 Honest Burger, 각종 칵테일을 판매하는 바와 함께 디제이까지 상주해 있어 영화 관람을 전후해 각종 즐길 거리를 제공한다. 올해 상영 예정 프로그램은 <그래비티>, <달라스 바이어스 클럽> 등 최신작부터 <펄프 픽션>, <고스트 버스터스> 등 클래식 영화까지 다양하다.
주소 Camden Lock Place(off Chalk Farm Rd), London, NW1 8AF
문의 www.backyardcinema.co.uk

세계의 음식이 한자리에
2012년부터 런던 시내의 주차장에서 소규모로 시작한 스트리트 푸드 마켓 ‘스트리트 피스트 Street Feast’가 그동안 배출해낸 젊은 셰프는 손 꼽을 수 없을 정도로 많다. 그중 몇몇은 이미 자신만의 레스토랑을 시작했고, 유명 펍에서 팝업 레스토랑을 운영하기도 한다. 스트리트 피스트는 2013년 공전의 히트를 기록한 장소인 이스트 런던의 달스톤 야드로 돌아와 5월 16일부터 9월 27일까지 매주 금·토요일에 다시 한번 대규모 음식 축제를 벌인다. 멕시코, 타이, 인도, 한국, 베트남, 중국, 이탈리아 등 세계 각국의 요리를 선보이며, 칵테일바, 와인바, 데킬라바 등 4곳에서는 세계 각국의 주류를 만날 수 있다. 오후 7시 전까지는 무료, 이후에는 3파운드의 입장료를 내야 입장 가능하다.
주소 Dalston Yard, Hartwell Street, London, E8 3DU
문의 www.streetfeastlondon.com

네오클래식의 절정
패션 에디터로 활동하던 안나 라웁 Anna Laub이 2009년 론칭한 아이웨어 브랜드 프리즘 런던은 이탈리아 트레비소 지방의 작은 생산 공장에서 수작업만으로 완성하는 장인정신을 앞세운 브랜드이다. 간결한 라인이 돋보이는 고전적인 느낌을 간직한 네오클래식 디자인과 뛰어난 품질은 세련된 런더너들의 폭발적인 인기를 얻게 되었고, 단숨에 LN-CC, 도버 스트리트 마켓, 오프닝 세리머니, 브라운즈 등 유명 디자이너 편집매장에서 사입하기 원하는 브랜드로 떠올랐다. 이에 힘입어 수영복과 신발, 가방까지 제품 라인을 확장한 프리즘 런던은 지난 4월에 런던 메릴본에 단독 매장 1호점을 오픈했다. 인테리어 디자이너 로버트 스토레이와 건축가 리처드 베네트의 손으로 탄생한 미니멀한 공간은 프리즘 런던이 추구하는 ‘실용성이 강조된 절제된 아름다움’을 대변해주는 듯하다.
주소 54 Chiltern St, London, W1U 7QX
문의 +44-(0)207-935-5407
글&사진 정지은(런던 통신원)

CR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