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살로 채운 집

햇살로 채운 집

햇살로 채운 집

절제미를 선호하는 독자 김새봄 씨는 자신의 취향과 클래식, 빈티지를 좋아하는 남편의 취향을 절충해 집을 꾸몄다. 창을 통해 들어오는 빛으로 여백을 메워 따스하게 연출한 두 번째 오픈 하우스.

일본 유학 시절, 남편을 만나 결혼 후 한국으로 돌아온 김새봄 씨는 두 돌이 갓 지난 딸아이와 함께 살고 있다. 2년째 머물고 있는 경기도 양평의 주상복합 아파트는 182㎡의 넓은 면적이지만 공간 분할이 잘 되어 있어서 집 안에 가구가 많지 않아도 허전하지 않은 구조다. 젠 스타일을 좋아하던 그녀는 남편과 살면서 취향이 조금씩 변했다. 클래식하고 우아한 분위기의 가구를 선택하는 대신 컬러는 절제했다. 가구는 오래 써도 질리지 않는 무난한 디자인으로 선택하고 패브릭과 꽃으로 포인트를 줬다. 패션 디자인을 공부한 그녀는 전공을 살려 동대문 원단 시장에서 직접 패브릭을 골라 쿠션, 커튼, 침구 등을 제작했다. 원단 시장 지하 1층에서는 간단한 박음질을 해주는데 적은 비용으로도 쿠션, 커튼 정도는 금방 만들 수 있다. 또 미술을 사랑하는 부부는 현대 작가의 작품으로 집 안 벽면 곳곳을 장식했는데, 현대갤러리에서 운영하는 K옥션 온라인 경매를 이용한다고. 유화 작품보다 비교적 가격대가 저렴한 판화나 사진 작품이 실내 곳곳에서 부담스럽지 않을 정도의 존재감을 발하고 있다.

사색하는 소파
거실 오른쪽에 둔 2.5인용 소파는 남한강과 양평 시내를 전망할 수 있도록 창문과 마주 보게 배치했다. 거실 중앙에 있는 큰 소파는 편안하게 앉아 TV를 감상할 수 있는데 책을 읽거나 생각을 정리할 때, 남편과 담소를 나눌 때는 이 작은 소파를 애용한다. 소파 위에 걸어놓은 판화 작품은 옥션에서 구입한 것. 키티버니포니에서 구입한 블랙 스트라이프 쿠션과 함께 매치해 모던한 느낌을 더했다.

모던클래식 스타일의 다이닝 공간
나무 소재의 테이블이 지겨울 때는 식탁보를 씌워 분위기를 바꾸곤 한다. 원형 대리석 위에 양초와 유리 화병을 올려놓은 아이디어는 인테리어 잡지를 참고한 것. 벽면에 걸어놓은 판화 작품은 평소 눈여겨보던 황규백 작가의 작품으로 K옥션을 통해 낙찰 받았고, 샹들리에는 최대한 심플하고 모던한 형태의 제품을 와츠에서 주문 제작했다.

화사한 분위기의 침실
우아한 곡선이 특징인 침대는 장미나 리본 등 과한 장식이 없어서 선택했다. 침대와 사이드 테이블, 커튼은 모두 아이보리색으로 통일하고 베딩은 화이트 컬러로 단정하게 연출했다. 밝은 그레이의 벽지 때문에 침구가 더 깨끗해 보인다. 스탠드 램프와 의자 등 꼭 필요한 가구는 투명한 소재의 카르텔 제품으로 골라 자칫 과할 수 있는 요소를 최소화했다.

수납에 집중한 아이 방
아이의 장난감이 대부분 알록달록하기 때문에 최대한 숨겨놓을 수 있도록 수납에 신경 썼다. 짐은 ‘최대한 늘리지 말자’는 생각이기 때문에 아이의 연령에 따라 필요한 장난감은 대여해 썼고 꼭 사야 한다면 되도록 오래 써도 좋은 원목 장난감을 구입했다. 작은 장난감들은 선반에 가지런히 정리하거나 주머니 안에 넣어 보관하며, 장난감 주머니와 침구는 직접 만들었다.

다정한 서재
남편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책상 두 개를 나란히 놓았다. 한쪽 벽면에는 책장을 놓고 각종 서적과 CD를 수납했고, 오른쪽 벽에는 수납장 하나만 놓고 자잘한 소품들을 정리했다. 책장에 꽂아놓은 책들이 제각각이기 때문에 책상, 의자, 수납장, 스탠드 램프는 물론 양초 등 소품까지 모두 흰색으로 통일했다.

에디터 최고은│포토그래퍼 김대형
출처 〈MAISON〉 2014년 3월호

CREDIT
컬러에 관한 모든 것

컬러에 관한 모든 것

컬러에 관한 모든 것

미국의 화가 에드워드 호퍼의 작품을 토대로 만든 영화 <셜리에 관한 모든 것>. 소리 없이 개봉되어 잔잔한 파문을 일으키고 있는 이 영화를 리빙 신으로 재현했다. 색채의 미학을 즐길 수 있는 그림 같은 여섯 개의 공간.

Work Room
평범한 스타일에서 탈피한 공간에서 얻는 새로운 에너지. 독창적인 컬러와 새로운 디자인이 조화를 이룬 집무실.

– 녹색 앵글포이즈 조명은 와츠에서 판매. 마르셀 반더스가 디자인한 검정색 네버랜드 우드 데스크는 모오이 제품으로 웰즈에서 판매. 빈티지 타자기는 키스마이하우스에서 판매. 노란색 계산기는 플러스마이너스제로 제품으로 디자이너이미지에서 판매. 빨간색 시리즈 세븐 체어는 에이후스에서 판매. 돌 틈에 작은 사물을 키워 넣을 수 있는 위트를 가미한 책장은 조늘해 작가 작품. 빈티지 전화기는 키스마이하우스에서 판매. 펜 홀더는 북바인더스에서 판매. 듀오 그린 박스와 애플 그린 종이 박스는 모두 북바인더스디자인에서 판매. 노란색 초는 챕터원에서 판매. 흰색 옷걸이 코트 트리는 에이후스에서 판매. 콘스탄틴 그리치치가 디자인한 연두색 플로토토 체어는 두오모에서 판매. 빈티지한 파란색 바닥은 아트 맥시강 코발트 블루 바닥재를 시공한 것으로 구정마루에서 판매. 벽에 칠한 은은한 민트색 페인트는 던에드워드 제품으로 나무와 사람들에서 판매.

Woman’s Room
무채색 도시에 낭만적인 장밋빛이 스며들었다. 부드러운 곡선 가구와 소품이 공간에 우아함을 더한다.

– 원형 거울은 헤이 디자인 제품으로 이노메싸에서 판매. 거울 안으로 보이는 검정색 라디오는 디자이너이미지에서 판매. 빈티지 벽등은 더쿠모스탁에서 판매. 오렌지색, 터쿼이즈 블루색의 스윙 화병은 모두 노만코펜하겐 제품으로 이노메싸에서 판매. 빈티지 드라이어는 바바리아에서 판매. 조지 넬슨이 디자인한 서랍장은 인노바드에서 판매. 머스터드 컬러의 컨버티브 라운지 체어는 에디션365에서 판매. 파우더리한 핑크색 사이드 테이블은 헤이 제품으로 루밍에서 판매. 핑크색 커피컵은 사가폼 제품으로 스칸에서 판매. 핑크색 돼지 저금통은 루밍에서 판매. 옅은 노란색의 선키스드 페인트는 던에드워드 제품으로 나무와 사람들에서 판매.

Man’s Room
유토피아를 꿈꾸는 색, 블루. 심해의 어둡고 농도 깊은 블루를 테마로 꾸민 남자의 방.

– 벽에 걸린 말 그림 페더스트리안은 크레에이티브 다에서 판매. 빈티지풍의 플로어 램프는 지엘드 조명으로 마켓엠에서 판매. 네이비 위트레흐트 암체어는 카시나에서 판매. 조형적인 디자인의 조립식 책꽂이는 무어만 제품으로 인엔에서 판매. 리틀 프렌드라는 이름의 원형 사이드 테이블은 인엔에서 판매. 조지 넬슨 디자인의 콘 클락은 비트라에서 판매. 노란색 화병은 이노메싸에서 판매. 빨간색 빈티지 TV는 키스마스하우스에서 판매. 네이비 사이드 보드는 아띠끄디자인에서 판매. 바닥재는 아트 맥시강 아트 카키로 구정마루에서 판매. 벽에 칠한 네이비 페인트 잉글랜드 리버는 던에드워드 제품으로 나무와 사람들에서 판매.

Living Room
블루, 그린, 머스터드의 중간 톤이 주는 편안함과 안정감. 꿈과 현실이 오가는 복고 무드를 입은 거실.

– 조지 넬슨이 디자인한 선 버스트 클락은 비트라에서 판매. 블루 컬러 블록이 인상적인 휴 소파는 SCP 제품으로 에이치픽스에서 판매. 팬톤 컬러 민트 그린 337을 입은 머그는 루밍에서 판매. 오렌지색 도트 쿠션은 헤이 제품으로 이노메싸에서 판매. 블루 색감이 패치워크된 브릭 쿠션은 이노메싸에서 판매. 오키 사토가 디자인한 하얀색 스플린터 사이드 테이블은 칸디하우스 제품으로 웰즈에서 판매. 빨간색 티포트는 팬톤 제품으로 이노메싸에서 판매. 클래식한 디자인의 등받이가 특징인 원목 체어는 에디션365에서 판매. 롤러스케이트 모양의 오브제는 루밍에서 판매. 콘스탄틴 그리치치 디자인의 빨간색 의자 마스는 클라시콘 제품으로 인엔에서 판매. 거꾸로 뒤집어진 형태의 조명, 업사이드 다운사이드 시리즈는 조늘해 작가 작품. 배경에 칠한 민트색 페인트 스티미 스프링과 문에 칠한 머스터드 색감의 골든 슬럼버, 바닥에 칠한 그린색 페인트 셰이디드 스프러스는 모두 던에드워드 제품으로 나무와 사람들에서 판매.

Laundry Room
오래된 물건이 주는 빈티지한 색감과 현대적인 색이 조화를 이룬 아름다운 세탁실. 차가운 현실에서 돌아와 가장 개인적이고 사소한 감성으로 채우는 공간.

– 빨간색 다리미판은 심스앤틱에서 판매. 오렌지색 휴지통과 먼지떨이는 모두 페리고에서 판매. 트렁크를 쌓아올린 디자인이 독특한 수납장은 카레에서 판매. 빈티지 다리미는 빈티지팩토리에서 판매. 알렉산드로 멘디니의 조명 아뮬레또 미니는 라문코리아에서 판매. 그린 누박 가죽을 입은 의자는 르쏘메에서 판매. 침대를 덮은 갈색 리넨 패브릭은 에스갤러리에서 판매. 파란색 리넨 패브릭은 챕터원에서 판매.

Dining Room
은은한 물빛에서 해저의 깊고 어두운 블루로 물든 다이닝룸. 예술과 디자인의 경계에 선 조명 오브제는 기능성과 장식성을 동시에 충족시킨다.

– 펜턴트 조명은 에스갤러리에서 판매. 노랑과 회색 배색의 AB알루미늄 체어는 루밍에서 판매. 빨간색 플로토토 체어는 두오모에서 판매. 빨간색 머그는 사가폼 제품으로 스칸에서 판매. 머그를 받치고 있는 코스터는 이노메싸에서 판매. 터쿼이즈 블루 접시는 사가폼 제품으로 스칸에서 판매. 오렌지를 담은 파우더리한 블루 컬러 오븐팬은 무겐인터내셔널에서 판매. 원형 마블 트레이는 챕터원에서 판매. 회색 밀크 저그는 웜지에서 판매. 레몬이 담긴 화이트 접시와 샤이니 레드 접시는 모두 무겐인터내셔널에서 판매. 배 모양의 옐로&네이비 접시는 모두 사가폼에서 판매. 레트로 디자인의 전기포트는 스칸에서 판매. 블루 접시는 모두 무겐인터내셔널에서 판매.

화보속에 등장한 창문 밖 이미지는 www.paulcatherall.com에서 판매하는 엽서를 프린트한 것.

에디터 박명주 | 포토그래퍼 진희석
스타일리스트 최지아(가라지) | 어시스턴트 김미금 · 박소영 · 이현재
출처 〈MAISON〉2014년 3월호

CREDIT
실패 없는 인테리어 골든룰

실패 없는 인테리어 골든룰

실패 없는 인테리어 골든룰

모든 일에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있기 마련. 올봄 인테리어를 성공적으로 해내기 위해 당신이 반드시 알아야 하지만 지나쳤을지 모를 골든룰을 공개한다.

1 초보자라면 색이나 톤의 통일감을 중시하라

색상은 베이스 컬러를 포함해 3가지 색상을 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전체적으로 통일감을 살리고 캐비닛이나 소파 등 자주 바꾸지 않는 커다란 가구는 색상이나 톤, 재질 등을 맞춰서 말끔하게 정리한다. 문이나 바닥의 컬러와 가구의 색상을 맞추는 것이 무난하지만 허전한 느낌이 든다면 커튼이나 쿠션 등 소품을 다른 계열의 색상으로 선택한다. 포인트를 줄 때는 원색을 사용하면 훨씬 감각적으로 연출할 수 있다.

↑ 줄로 침구

2 소재나 색의 조합으로 믹스매치에 도전해볼 것

↑ 패치워크가 돋보이는 1인 소파는 크라비츠.

믹스매치는 색상, 소재를 통일하는 기본 원칙에 약간의 파격을 줌으로써 절묘한 균형을 만들어내는 것을 말한다. 소재에 있어서 믹스매치는 재질감을 대비시키거나 강조하는 등 신선한 감각을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색상과 재질감에 변화를 주면 개성 있는 데커레이션을 할 수 있다. 전체적인 인테리어의 균형을 고려해가며 난이도가 높은 반대색을 조합해보거나 흔히 쓰지 않는 강한 핑크색, 보라색을 포인트 컬러로 사용하는 등의 방식이다. 또 모던한 가구에 전통 소재를 매치하는 등 상이한 취향을 조합하는 것도 방법이다.

↑ 줄로 침구

3 시선을 집중시키는 포인트를 만들어라

포컬 포인트(focal point)는 바라보는 순간 자연스럽게 시선이 집중되는 곳을 말하며 밋밋한 분위기에 강약을 더하고 생기를 준다. 문을 열었을 때 처음 눈에 들어오는 포컬 포인트는 공간 전체의 표정을 결정하므로 잘 활용하면 인테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소파에 앉았을 때 시선이 향하는 곳에 그림을 걸거나 장식장 위에 소품을 장식해 시선을 집중시킨다. 포컬 포인트의 핵심은 시선의 집중에 있으므로 한 가지 테마를 가지고 요소의 수를 한정해야 하므로 여러 가지 물건을 어수선하게 두지 않는 것이 좋다.

↑ 스페인클럽 이태원점

4 효율적인 가구 배치로 공간을 확보하자

좁은 공간을 넓어 보이게 하는 핵심은 여유 공간에 있다. 가구가 차지하는 면적을 가능한 한 줄이고 바닥 면적을 확보하면 같은 공간이라도 넓어 보인다는 사실! 가구를 벽 쪽으로 배치하거나 좌식 스타일을 선택해 의자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이는 것도 방법이다. 또 시선보다 낮은 가구로 통일해 배치하면 공간이 한결 넓어 보일 뿐 아니라 창이 있으면 시선이 외부로 향하면서 실내가 더욱 확장되어 보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LG하우시스 창호

5 간접조명을 활용해 분위기를 전환하라

어떤 면에 어느 정도의 빛을 비추는지에 따라 공간 분위기는 물론 밝기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간접조명을 천장에 설치하면 실제보다 더 높아 보이고 벽면을 강조하면 더 넓어 보이는 효과를 낼 수 있다. 또 같은 빛이라도 광원의 위치에 따라 느낌이 달라지는데 광원의 위치가 높을수록 활동적인 분위기를 주고 낮을수록 차분해진다. 바닥에 스탠드 램프를 두거나 벽에 브래킷을 설치하는 식으로 빛의 높이나 비추는 방향에 변화를 주면 더욱 따뜻한 분위기를 낼 수 있다.

↑ 이사무 노구치가 디자인한 아카리 램프는 비트라에서 판매.

6 안방이 꼭 침실이어야 한다는 편견을 깨자

24평을 기준으로 봤을 때 방 3개, 거실, 주방, 화장실의 구조로 그중 가장 넓은 공간이 거실과 안방이다. 취미 생활이나 업무 등으로 큰방이 필요하다면 틀에 박힌 생각에서 벗어나 과감한 시도를 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취미가 영화 감상이라면 미니 극장으로, 서재에 책이 많다면 넓은 도서관처럼 활용할 수 있다. 대신 작은방을 침실로 꾸민다. 은은한 스탠드 조명과 패브릭으로 꾸미면 아늑하고 포근한 느낌을 줄 수 있다. 작은방은 침대 하나만으로도 충분하며 오로지 휴식과 취침을 위한 장소가 될 것이다.

↑ 리바트 ‘소호’ 서재

7 맞춤 가구로 공간을 넓게 활용하자

작은 집일수록 공간에 맞는 가구가 더욱 안정적이고 넓어 보이기 때문에 기성 장롱이나 수납장보다는 맞춤형 가구로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는 것이 좋다. 물론 맞춤 가구가 기성 제품보다 가격이 비싼 편이지만 비슷한 제품의 기성품에 비하면 퀄리티가 좋을 뿐만 아니라 공간에 딱 맞게 설계되어 있어 활용도는 물론 만족도가 높다. 업체에 의뢰하는 것이 부담스럽다면 다리가 없는 수납 박스를 쌓아 책장처럼 만드는 것도 방법. 또 다양한 유닛이 있어 원하는 구성대로 구입할 수 있는 모듈형 가구 역시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 공간에 딱 맞게 가구를 짜맞춰 넓어보인다.

8 꽃과 식물을 인테리어 장식으로 활용한다

↑ 화병은 로얄코펜하겐.

꽃과 식물을 인테리어 소품으로 활용하면 보기만 해도 마음이 온화해지고 기분을 밝게 해준다. 공간과의 균형도 중요하다. 거실, 욕실, 주방 등 각 공간에 어울리는 꽃병이나 화분을 선택하고 꽃의 종류와 양을 고려한다. 더러워지기 쉬운 현관에는 꽃이 떨어지지 않는 양치식물이 적합하며, 거실에는 화사한 컬러의 생화를 활용하면 포인트가 되면서 생기 있는 공간으로 연출할 수 있다.

↑ 독특한 화병은 이노메싸에서 판매.

9 일러스트 포스터, 사진 등을 활용하라

↑ 크리에이티브 다에서 판매하는 포스터.

분위기 전환을 위해 벽지를 바꾸는 것이 어렵다면 계절과 기분에 따라 쉽게 바꿀 수 있는 그림을 활용한다. 비싼 그림 대신 인테리어 소품 숍에서 손쉽게 구입할 수 있는 일러스트 포스터나 사진을 선택하면 가격도 부담스럽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집 안을 꾸밀 수 있다. 타이포그래피가 돋보이는 일러스트 작품은 모던하면서도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며, 밝고 화사한 컬러가 돋보이는 그림은 감각적이고 밝은 인테리어를 꾸미기 좋다. 그림은 하나만 걸어도 되지만 무심한 듯 바닥에 내려놓거나 작은 사이즈를 여러 개 모아도 멋스럽다.

↑ 네덜란드의 일러스트 레이터 머레인 호스의 ‘지니어스’.

10 디스플레이를 할 때는 삼각형이나 대칭으로 균형을 잡는다

↑ 삼각 배치한 모습.

물건을 장식할 때는 균형을 잡아 배치해야 하는데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다. 먼저 물건의 높낮이에 차이가 나도록 삼각형 구도로 배치한다. 높이에 강약을 주면 장식품이 돋보이는데, 화병을 배치할 경우 그 양쪽으로 액자와 캔들 홀더 등 두 개의 소품을 함께 배치하는 것이다. 이는 변화를 통해 재미있는 디스플레이를 연출할 수 있는 방법이다. 또 좌우 대칭으로 배치해 수평을 맞추는 방법도 있다. 양초나 유리, 테이블 램프 같은 소품을 나란히 두면 반복적인 요소가 안정감을 준다.

↑ 흰색 오브제를 나란히 놓은 모습.

에디터 최고은 | 참고 도서 <친절한 인테리어> 신성출판사 편집부, 에디터 · <작은집 넓게 쓰는 인테리어> 조승진 , 인사이트북스│도움말 크리에이티브 다
출처 〈MAISON〉 2014년 3월호

CR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