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스타일 매거진으로 건축과 디자인, 인테리어, 예술과 자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콘텐츠를 아우르며 독보적인 입지를 굳건히 다져온 <메종>. 영문 표기 maison의 스펠링을 하나씩 풀어 그동안 <메종>이 추구해온 가치와 철학을 정리했다.


<메종>은 지난 20여 년간 우리의 삶 속에 자리 잡은 세계 각국의 디자인 가구들을 소개하며 국내에 고급 디자인 문화를 정착시킨 리더였다. 북유럽 디자인의 열풍을 이끈 주역이었으며, 시간을 초월한 타임리스 디자인의 우수성을 널리 알려왔고 신진 디자이너들을 발굴하는 등 디자이너와 소비자를 이어주는 가교 역할을 해왔다. 이제 또 다른 도약을 준비하는 풋풋한 스무 살 생일을 맞은 <메종>. 이를 축하하기 위해 오랜 시간 <메종>의 친구가 되어준 디자인 가구들이 축하의 자리를 마련했다. 기능적인 디자인을 갖춘 임스 스토리지 유닛은 허먼 밀러 제품으로 인노바드. 등받이와 팔걸이의 경계가 모호한 독특한 형태로 이루어진 조지 넬슨의 코코넛 체어는 허먼 밀러 제품으로 인노바드. 디자인 스튜디오 아우토반의 골드빛 펌킨 사이드 테이블은 델 라 에스파다 제품으로 인엔. 3개의 원뿔 모양으로 이뤄진 플로어 스탠드 A809는 아르텍 제품으로 에이후스. 디자이너 매투 마테고트의 나가사키 체어는 구비 제품으로 인엔. 현대적인 소재로 클래식한 조명을 재해석한 부지 램프는 카르텔. 심플하고 간결한 다리 라인이 돋보이는 임스 사이드 테이블은 허먼 밀러 제품으로 인노바드. 디자이너 하이메 아욘의 튜터 의자는 인엔. 미스 반 데어 로에 디자인의 MR 체어는 놀 제품으로 유오스. 종이로 만든 실을 이용해 제품을 만드는 우드노트의 페이퍼 얀 카펫은 인엔. 디자이너 필립 스탁의 난쟁이 모양 스툴은 카르텔. 독특한 형태의 등받이가 특징인 사야 체어는 아르퍼 제품으로 에디션 365. 컬러풀한 색감의 옷걸이, 코트 트리는 프리츠 한센 제품으로 챕터원.


평범한 일상 속에서도 순수예술, 상업예술을 가리지 않고 즐기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대량생산이 일상이 된 현대사회에 자신의 취향과 개성을 투영할 수 있는 것은 예술이라는 공감이 점차 넓어지고 있는 것. 때문에 영감을 주는 예술 작품은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을 설명하는 중요한 키워드가 되었다. 아티스트의 풍부한 영감 속에서 보는 이의 감성이 살아나고 그것이 놓인 공간마저도 아티스틱한 에너지로 채워진다. 황동 소재로 만든 테이블 램프는 신현호 작가의 작품. 실버 소재의 아이스 버킷, 저그 세트는 아르마니 까사. 기억과 상상으로 작업한 두상 조각 작품 JS는 뉴욕에서 활동하는 브루스 가니에 작품으로 토마스 갤러리. 절제된 선과 면, 색, 빛으로 만든 그림 속 세상은 묘한 공간감을 느끼게한다. 황선태 작가의 작품. 한국의 전통 소반을 재해석한 테이블은 컨셉트 205 제품. 황동 소재의 헥사곤 화병과 스탠드는 펌리빙 제품으로 짐블랑. 나무 선반으로 제작된 다리가 특징인 의자는 김은학 작가의 작품.


접고 포갠 3차원 예술인 오리가미처럼 통속적인 관념에서 벗어난 <메종>의 비주얼은 독자들에게 상상의 여지를 남겨둔다. 답답한 현실에서 날개를 단 상상력은 누구에게나 탈출구가 되어준다. 인테리어와 데코의 실혐실과도 같은 <메종>의 비주얼은 사고의 폭을 확장시키는 영감의 터전이 되고 있다. 책을 펴듯 접힌 종이를 펴서 만드는 조명은 아르테니카 제품으로 루밍. 표면의 질감이 독특한 그릇은 아스티에 드 빌라트 제품으로 팀블룸. 화산의 모양을 기하학적으로 표현한 볼케이노 미니 촛대는 랜드스케이프 제품으로 챕터원. 토기 화병 지오메트리는 펌리빙 제품으로 짐블랑. 종이를 접어 만든 베이스 커버는 취향에 맞게 윤곽을 잡아 형태를 완성할 수 있다. 디자이너 페페 히쿱 작품으로 챕터원. 소경목 활엽수로 만든 가리모쿠의 다이닝 테이블은 mmmg. 등받이에서 다리까지 이어지는 형태의 플라나 체어는 크리스탈리아 제품으로 에디션 365. 원하는 모양으로 형태를 만들수 있는 메탈 소재의 선반은 아돈드 제품으로 짐블랑. 다양한 디자인으로 활용이 가능한 스틸 소재의 매거진랙 다이아나C는 클라시콘 제품으로 인엔.


생애 첫 집이 생겼거나 신혼집을 꾸미거나 평생을 살아갈 집을 짓는 것까지 상황에 맞는 다양한 인테리어 해법을 제시해온 <메종>은 많은 이들의 집과 공간을 아름답게 변신시키는 데 일조했다. 실처럼 가늘지만 군더더기를 쏙 빼고 새로운 구조와 정형성을 갖게 된 와이어 가구처럼 인테리어 또는 집이라는 공간과 구조를 갖춰 나갈 때 필요한 정보를 투명하게 담는다. 심플한 프레임의 ㄱ자 데스크는 두닷. 별 모양 프레임이 독특한 캔들 홀더는 마담스톨츠 제품으로 메종드실비. 미니멀함을 극대화한 테이블 램프는 체코티 콜레지오니 제품으로 HL1991. 철제 프레임과 유리로 만든 오브제는 마담스톨츠 제품으로 메종드실비. 현무암 질감을 그대로 보여주는 화병 버솔트는 김현주 작가의 작품으로 챕터원. 편마암 소재로 수묵화를 보는 듯한 화병은 김현주 작가의 작품으로 챕터원. 그림자의 형상이 천사의 날개를 떠올리게 하는 엔젤 스툴은 에드 인테리어 제품으로 덴스크. 로프를 이용해 만든 의자는 마담스톨츠 제품으로 메종드실비.


수많은 트렌드가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났다 사라지는 가운데 길을 잃지 않고 시대의 흐름을 읽어 앞으로 가야 할 방향을 가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 되었다. 현실의 공간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며 다양한 해법을 제시하는 <메종>의 길잡이 역할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작가 요셉 보이스의 형상을 본떠 만든 오브제는 오뜨말 훼어의 작품으로 김리아갤러리. 새의 머리 모양을 모티프로 제작한 저그는 구세나 작가의 작품으로 모엠컬렉션. 방과 같이 아늑한 책상이라는 컨셉트로 디자인된 책상. 책상 안의 창문을 자유롭게 여닫을 수 있는 것이 특징. 토라푸 아키텍츠의 제품으로 모엠컬렉션. 페인트 롤러 같은 포스트잇은 하다미 제품으로 챕터원. 확대 렌즈를 통해 한 송이 꽃의 디테일을 느낄 수 있는 빅블룸은 더 코테이지 인더스트리 제품으로 챕터원. 자연의 형태와 색감을 담아 디자인한 독특한 형태의 노란색 화병은 구세나 작가의 작품으로 모엠컬렉션. 회색 상자와 작은 통은 독일의 생활용품 브랜드 레데커 제품으로 디자이너이미지. 전구가 프린트된 니트 소재 장식품은 르 페티 엠 제품으로 짐블랑. 플라스틱 레진으로 만든 식탁 매트는 피쉬디자인 제품으로 로쇼룸. 달의 표면을 프린트한 쿠션은 메로윙즈 제품으로 어네이티브. 아티스트 오뜨말 훼어의 작품인 금색 ‘장미’는 김리아갤러리. 자전거 브랜드 브룩스의 안장을 이용하여 만든 스툴은 자노타 제품으로 라꼴렉뜨. 자연의 질감을 담은 대리석 화병 토성화기는 김현주 작가의 작품으로 챕터원.


다양한 콘텐츠와 지속가능한 소비 풍토를 선도해온 <메종>. 가족 구성원이 돌려 보는 잡지 또는 시간을 뛰어넘는 생명력을 인정받아온 매체로 찰나에 연연하지 않는다. 그러나 현재를 살고 싶은 욕구도 등한시하지 않는다. 반 발짝 앞서 내다보는 혜안으로 독자들과 함께 나아갈 길을 모색해온 <메종>은 본격적인 리빙 시장의 부흥을 앞두고 그 어느 때보다 신중을 기하고 있다. 레트로 디자인의 오덴세 3인용 소파는 매스티지데코. 서프 패들 볼 세트, 아이보리 빈티지 탁상시계, 실버 빈티지 스탠드, 빈티지 타자기, 쌤소나이트 브라운 여행 가방, 빈티지 롤러스케이트, 보헤미안 스타일의 러그는 홀라인 제품으로 모두 앤솔로지. 클래식 회화 속 인물을 연상시키는 얼굴이 프린트된 쿠션은 마인하트 제품으로 모엠컬렉션. 저그와 양동이는 독일의 생활용품 브랜드 레데커 제품으로 디자이너이미지. 빈티지하면서도 클래식한 무늬가 있는 접시는 마담스톨츠 제품으로 메종드실비.
에디터 박명주 | 포토그래퍼 임태준 | 스타일리스트 홍희수(디자인 서다) | 어시스턴트 김수지·최유진ㅣ장소협찬 조은숙 아트앤라이프스타일 갤러리·헬레나 플라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