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집으로의 초대

작은 집으로의 초대

작은 집으로의 초대

창의적인 발상은 제약으로부터 시작된다. ‘최소’라는 조건으로 여러 주거 모델을 제시하는 ‘최소의 집’ 프로젝트를 이끌어온 건축가 정영한이 <메종> 독자들에게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본 집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고자 한다.

↑ 건축가 김희준이 최소의 집 프로젝트로 선보인 ‘정 · 방’. ⓒ김용관

미지의 세계를 향해 출발하기 전 여행객이 자신의 배낭 속에 반드시 필요한 물건을 골라야 하듯 나 역시 글을 쓰기에 앞서 하나의 주제를 위한 다양하고 싱싱한 재료들을 고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래서 나는 주제를 ‘최소’라는 가치로 시작하되 다양한 시선으로 그 가치를 이야기하며 건축 안에서 ‘최소’의 가치와 의미를 찾아 건축물의 이야기나 대표적인 장소를 소개하려 한다. 또한 우리의 생활 이야기가 출발하는 장소로서 ‘집’의 다양한 소개 또한 병행하기로 하였다. 좀 더 구체적인 예시를 든다면 8마리 반려견 또는 3대 가족이 함께 공유하는 집이라든지 왼손잡이 가족을 위한 집 아니면 반려동물 중 고양이와 개가 함께할 수 있는 집, 여름과 겨울에만 살 수 있는 집, 이혼 후 다시 재결합을 위해서 만든 집 등 세상엔 우리가 상상하지 못할 다양한 사연이 깃든 집이 존재하리라 믿는다. 내가 ‘최소’를 주제로 정한 것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요즘 우리가 사는 세상은 대부분이 다수의 가치를 지향한다. 특히나 집의 문화를 보면 알 수 있다. 점점 비대해지는 집의 규모 혹은 평수를 소유하는 것이 사회적으로 성공하거나 주류에 속한다고 믿는 것이다. 문제는 집의 규모가 사회적인 신분을 정하는 데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아이러니한 풍경에 대한 자각이다.

↑ 9×9 주택 외관. ⓒ김재경

두 번째는 애초에 갖지 말아야 할 것들을 다시금 들여다보며 하나씩 버리거나 정리하여 줄여가는 생활방식이나 처음부터 작게 시작하는 라이프스타일이 필요한 세상이 되어버렸다. 처음부터 ‘무 無’로 시작하면 매번 새로운 것을 가지는 것에 대해 신중히 고려할 텐데 우리는 대부분 그렇지 못하다. 우리의 생에서 사람과의 인연이 있듯 물건과의 인연도 있는 법이다. 일회일기 一期一會란 일생에서 단 한 번뿐인 소중한 인연이라는 그 사전적 의미 또한 인간관계뿐 아닌 우리가 만나는 물건과의 인연일 수도 있다. 우리가 사는 기존의 주택 공간은 대개 다가구가 각각의 공간을 점유하여 정의된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거실엔 소파와 TV가 있어야 하고 침실엔 침대와 옷장, 주방엔 식탁과 주방 가구가 있어야 하지만 바꿔 말해 소파가 있으면 거실이고 침대가 있으면 침실, 식탁과 주방 가구가 있으면 주방으로 정의된 공간들이 우리의 삶을 여전히 정의하고 있다. 그러한 가구들이 어느 날 방에서 사라져 모두 벽으로 숨어버리게 된다면 그간 가구에 의해 제한적으로 사용된 공간들은 사용자들에게 그 선택권이 돌아가 필요에 따라 정의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발상으로 ‘9×9실험 주택’ 설계가 시작되었다. 설계를 하면서 건축주 부부는 불필요한 가구를 정리하게 되었고 이 주택의 주요 컨셉트 중 하나인 ‘최소 기능의 수납 장치 Furniture Corridor’를 통해 생활에 필요한 최소의 가구를 벽 속에 숨겨 움직이는 벽이나 슬라이딩 문의 개폐에 따라 사용할 수 있게 계획했고 수납공간을 제외한 공간은 거주자의 필요에 따라 정의해서 사용할 수 있는, 나름 작지만 가변적이고 실용적인 공간으로 설계했다. (참고로 9×9는 주택의 가로와 세로 길이가 9m로 설계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주택을 구성하는 방들은 대개 벽에 의해 공간이 분리되지만 이 주택은 벽 대신 유리 벽에 의해 감싸져 있고 그 사이마다 작은 외부 정원이 들어와 내부와 외부의 경계가 흐려져 마치 미로와 같은 경험을 하게 된다.

↑ 9×9 주택 내부. ⓒ김재경

결국 이러한 컨셉트를 실현시키기 위한 건축가의 고민과 노력에 대해 무엇보다 공간을 이해해준 건축주 내외는 9×9 실험주택이 완공된 후에도 나름 자신들의 생활 방식에 맞게 최소의 가구와 내부로 들어와 있는 작은 외부의 정원을 유지하며 생활하고 있다. 이 작업을 통해 건축가로서 나는 다음과 같이 최소에 대한 정의를 내릴 수 있게 되었다.
‘나에게 있어 최소의 집은 작은 집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거주자 스스로가 공간을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최소한의 건축이 반영된 집을 의미한다.’

* 집에 대한 독자 여러분의 다양한 생각을 최고은 기자 (deneb@mckorea.com) 앞으로 보내주세요. 보내주신 이야기를 바탕으로 ‘최소의 집’에 대한 개념을 풀어나갈 예정입니다.

정영한(스튜디오 아키홀릭) | 에디터 최고은

CREDIT
감성 캠퍼 스타일

감성 캠퍼 스타일

감성 캠퍼 스타일

캠핑 다니기를 좋아하는 부부는 야외에서 느낄 수 있는 요소를 집 안으로 끌어와 색다른 이미지로 꾸몄다. 두 사람의 감성으로 손수 꾸민 집을 <메종>이 방문했다.

사무직 공무원으로 일하고 있는 오지수 씨는 남편과 함께 2주에 한 번씩 캠핑장으로 떠난다. 처음에는 캠핑이 취미인 남편을 따라다니기 시작했는데 자연과 어우러지는 캠핑의 매력에 어느새 푹 빠졌다고. 수원에 있는 82㎡ 넓이의 아파트에 살고 있는 부부는 자연을 만끽하는 이들답게 집 안 곳곳을 야외에서 접할 수 있는 요소들로 채웠다. 직접 도끼로 패어온 나무로 모빌, 조명 등 소품을 만들고 야외에서 쓰는 캠핑 용품도 집 안에서 그대로 사용하는 것. 야외용 물건을 그대로 집 안에 둔 게 아니라 자연과 함께하는 캠핑의 이미지를 부부만의 감성으로 재해석했다는 점에서 더욱 매력적이다. 평소 부부가 중고 시장을 돌아다니며 하나 둘씩 모은 가구와 소품을 함께 배치해서 빈티지한 분위기로 완성한 것이 이 집의 포인트. 프랑스 여행길에서 구입한 작은 협탁 위에는 유리병과 나뭇가지로 장식을 하고, 중고 시장에서 저렴하게 구입한 스툴 위에는 손뜨개 방석을 덧입히는 등 어느 것 하나 부부의 손길이 닿지 않은 곳이 없다.

거실
친구들과 집에서 만나는 것을 좋아해 커다란 원목 식탁을 두었어요. 그 옆에는 화사한 색감의 파라솔을 펼쳐놓아 식탁 위로 그늘이 지게끔 만들었지요. 거실은 상대적으로 좁아 보이지만 야외에 있는 듯한 기분이 들어서 답답하지 않아요. 반대편에는 긴 벤치를 쌓아서 선반을 만들었는데 나중에 큰 집으로 이사 가면 의자로 활용할 생각으로 구입했죠. 주변에는 야외에서 사용하는 용품이나 난로를 두었고 캠핑하면서 직접 채집한 나무와 손뜨개로 만든 모빌을 달았어요.

주방
거실을 바라보도록 개수대가 설치되어 있었어요. 이걸 작은 벽처럼 삼아서 앞쪽에는 2인용 소파를 두었고 옆에는 비슷한 높이의 선반을 두고 가장 애용하는 주물 냄비를 가지런히 정리해놓았어요.

안방
편안한 분위기를 내고 싶어서 원목 가구로 구입했어요. 침대 옆에 있는 나무 목마는 목수에게 의뢰해서 제작한 거예요. 또 TV를 구입하지 않고 프로젝터로 대체했어요. 침대 헤드보드 위에 프로젝터를 놓고 맞은편 벽면은 화면으로 삼기 위해 아무것도 걸지 않고 비워두었죠.

복도
야외에서 쓰는 캐리어를 선반으로 활용해봤어요. 바퀴는 고정시키고 그 위에 화분을 올려서 장식했는데 긴 복도가 허전해 보이지 않아서 아주 마음에 들어요.

* <메종> 홈페이지 내의 오픈하우스 게시판에 독자 여러분의 감각으로 꾸민 집을 자랑해주세요. 채택된 집은 <메종>에 실어드립니다.

에디터 최고은 | 포토그래퍼 김잔듸

CREDIT
모두를 위한 집

모두를 위한 집

모두를 위한 집

원하는 바가 확실했던 집주인과 이런 요구에 진심으로 귀 기울인 인테리어 디자이너가 만나 시너지 효과를 냈다. 집에서도 업무를 볼 수 있고 가족끼리 편안하게 지낼 수 있는 집이라는 두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시킨 레노베이션 사례다.

입주가 시작된 새 아파트로 이사할 계획을 갖고 있었던 집주인은 아이들을 위하고 집에서도 업무를 보기 수월하도록 집을 고칠 계획이었다. 소개받은 업체 중 몇 군데를 선별해 연락을 해보다가 가장 성심성의껏 자신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준 바오미다의 홍상아 실장을 만났다. “상업적이거나 사무적인 태도가 아니라 내가 만들고 싶은 집에 대한 의견에 적극적으로 공감해주고 해결책을 찾아줬어요. 견적과 비용에 대한 얘기만 늘어놓는 업체도 있었거든요.” 새 아파트이기 때문에 굳이 바꾸지 않아도 될 것은 그대로 두고 약간의 구조 변경과 바닥재 시공, 각자의 개성과 취향에 맞게 아이들 방을 바꾸는 작업을 진행했다. 첫 미팅을 가졌던 4월, 그로부터 디자인을 정하는 데만 4~5개월이 걸렸고 공사 기간은 두 달 정도 소요됐다. “지금도 소품을 살 때면 실장님께 사진을 보내서 조언을 얻을 정도로 신뢰하고 있어요. 제가 원했던 부분이 모두 반영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무리일 수도 있는 부분을 가능하게 해주셔서 감사할 따름이죠.” 오랫동안 머물 집이기에 무채색으로 기본 마감을 하고 색깔은 아이들 방에만 적용했다. 집 안에 건 그림은 부부가 직접 고른 작품들이며 아이 방의 구조나 포인트 요소도 엄마가 시안을 찾아서 제작을 맡겼다. 이사하기 전 여유를 가지고 꼼꼼하게 준비해 완성한 집에서 네 식구 중 누구 하나 소외되는 사람은 없었다. 그래서 가족 모두 새로운 보금자리에서 만족스럽게 지낼 수 있게 된 것은 물론이다.

LIVING ROOM
아트월, 오크 시트지로 마감한 섀시 등 신축 아파트의 전형이었던 거실이 갤러리처럼 깔끔하게 변신했다. 무채색을 기본으로 한 집을 원했던 집주인의 요구에 맞게 아트월을 없애고 흰색으로 벽을 칠했다. 때문에 소파 뒤에 건 사진작가 오상택의 작품이 더욱 돋보인다. 소파는 벽에 붙이지 않고 간격을 두었으며 발코니 쪽과 침실과 맞닿은 바닥은 단차를 주었다. 이런 요소가 거실 공간을 입체적으로 보이게 한다는 홍상아 실장의 조언이었다.

WORK SPACE
부부가 함께 사업체를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집에서 회의를 하거나 간단한 디자인을 해야 하는 일이 많아서 방 하나를 작업실로 만들었다. 디자인한 제품의 샘플을 보관하는 샘플실 겸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작업대가 놓인 방이다. 책상 뒤쪽으로 샘플 보관 공간을 만들었다. 두 사람이 함께 앉을 수 있는 작업대 쪽 벽은 타공판으로 마감해 오브제나 도구를 걸어두기에 편리하다.

KITCHEN
평형대에 비해 수납공간이 넉넉한 부엌이지만 동선이 산만하고 식탁을 놓을 자리와 조리 공간의 구분이 애매했다. 그래서 중앙에 있던 아일랜드를 없애고 싱크대 쪽으로 가벽을 세워서 ㅁ자형 부엌으로 만들었다. 격자 프레임의 유리를 끼운 가벽이라 개수대 쪽에서 벽 앞에 놓인 식탁과 거실이 모두 보이며 거실 쪽에서는 어질러지기 쉬운 주방 안쪽이 보이지 않아 깔끔하다. 조리 공간만 놓고 보면 공간이 줄어든 것처럼 보이지만 가벽을 세움으로써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식탁에는 길이를 다르게 여러 개의 조명을 설치해 리듬감을 주었고 식탁과 의자 등 가구는 검은색이 섞인 제품들로 차분하게 연출했다.

KIDS ROOM
중학생 아들과 초등학생 딸 방은 두 아이의 성별과 개성에 따라 개조했다. 우선 아들 방은 침대를 따로 두지 않고 창가 쪽에 단차를 만들어 매트리스를 두었다. 책상 쪽과 침대가 놓인 공간 사이에는 유리 가벽을 설치해 공부하는 공간과 쉬는 공간을 분리했다. 밝고 쾌할한 성격의 딸 방은 침대 헤드보드가 포인트다. 엄마가 시안을 보고 제작한 집 모양의 헤드보드가 방을 산뜻하게 만든다. 헤드보드가 설치된 벽 안쪽으로는 책상을 두었고 창가 아래쪽에 벤치를 만들어 아이가 인형을 갖고 놀거나 좋아하는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했다.
위치 서울시 동대문구 답십리동
형태 121㎡
목적 신축 아파트의 단조로운 마감재와 부족한 수납공간, 전체적인 분위기를 가족의 라이프스타일에 맞게 디자인. 방 하나를 작업실 공간으로 구성.
장점 침실과 파우더룸 사이의 데드 스페이스를 활용하기 위해 구조 변경 후 드레스룸으로 활용. 욕실의 욕조를 철거하고 샤워 공간과 벤치를 활용해 부부를 위한 욕실로 개조. 동선이 복잡했던 주방의 구조를 다시 계획해 주방과 다이닝룸의 공간을 만들고 ㅁ자 형태의 주방 동선으로 공간 효율을 높임. 아이의 스타일에 맞춰 방에 가벽을 설치해 침실과 공부하는 공간을 구분.
결론 일반적인 아파트 공간에서 가족에게 맞춘 공간으로 변경하고 구조적으로 비효율적인 공간을 수납공간으로 활용. 가벽을 활용한 공간 구성으로 활용성을 높임.
시공사 디자인 및 시공 바오미다 www.baomida.co.krDETAILS

↑ 거실에서 딸 방 쪽으로 작은 창문을 만들었다. 아이가 공부하거나 노는 모습을 볼 수 있고 거실 공간의 단조로움도 줄였다.

1 안방 욕실은 욕조를 없애고 샤워 공간에 히노키 소재의 욕실 벤치를 만들어 부부 스타일에 맞는 욕실 공간으로 만들었다. 2 작업실 안쪽 발코니에 선반을 달고 러그도 깔아 바람을 쐴 수 있다.

1 거실의 일반적인 모습과 달리 바닥재를 두 가지 소재로 선택했다. 발코니 쪽은 나무 바닥재를, 나머지는 타일 바닥재를 깔아서 다채로워 보인다. 2 화장실 앞 ㄱ자 코너에 작은 선반을 설치해 장식할 수 있는 공간으로 꾸몄다. 기분에 따라 연출을 달리할 수 있는 포인트 요소다. 에디터 신진수 | 포토그래퍼 이과용

CR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