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식 가구

영국식 가구

영국식 가구

95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영국의 명품 가구 브랜드 얼콜은 편안함과 기능, 아름다움을 모두 충족하는 가구를 만들고자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1 오래도록 사랑받고 있는 얼콜의 오리지널 컬렉션. 2 ‘코센자 Cosenza’ 소파와 사이드 테이블 ‘네스트 오브 테이블 Nest of tables’로 꾸민 공간. 3,7 얼콜의 대표작인 윈저 의자는 식탁 의자, 안락의자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었다. 4 오리지널 라인 중 하나인 ‘스튜디오 코치 Studio couch’ 소파. 5 오크나무로 제작한 로마나 Romana 사이드보드. 6 2인용 의자 ‘러브시트’.

흔히 카페 의자로 알려진 ‘윈저 Windsor’ 의자. 17세기 영국 윈저 지방의 서민들이 사용하던 이 윈저 의자를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새롭게 고안하고 널리 알린 ‘얼콜 Ercol’은 영국을 대표하는 가구 회사다. 얼콜의 창립자인 루시안 에롤라니 Lucian Erolani는 이탈리아 태생으로 1890년대에 런던으로 건너와 쇼디치 기술 학교 Shoreditch Technical Institute에서 가구 설계와 디자인, 이론을 수학한 후 디자이너로 활동하다 보다 좋은 작업 환경에서 잘 제작된 가구를 만들겠다는 목표로 1920년에 얼콜을 설립했다. 얼콜이 세계적인 반열에 오르게 된 계기는 1944년, 영국의 무역 위원회로부터 10만 개의 의자를 납품해 달라는 제안을 받으면서부터다. 이때부터 새로운 기계를 들여와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하게 의자를 만들어내는 데 성공했다.
이 시기에 생산된 오리지널 라인 윈저 의자는 가늘고 긴 막대로 된 높은 등받이와 바깥쪽으로 뻗은 다리가 특징으로 목가적이면서도 세련된 인상을 풍겨 세기를 뛰어넘은 현재까지도 꾸준히 사랑받고 있다. 얼콜은 의자에만 그치지 않고 캐비닛, 콘솔, 식탁 등 가구군을 강화해 윈저 시리즈를 구성했고 1950년에는 2인용 의자 ‘러브시트 Loveseat’를 선보이는 등 다수의 신제품을 출시했다. 가구를 대량생산하면서도 좋은 품질을 고집하는 것만큼은 여전했다.
루시안은 좋은 가구를 만들려면 환경을 가장 먼저 생각해야 한다고 믿었다. 무자비하게 벌목을 하는 등 원재료를 아낌없이 사용하는 당시 영국의 사회 풍토를 우려해 목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을 고민하며 가구를 디자인했다. 멸종 위기에 처한 목재를 사용하지 않고 생태계를 손상시키지 않고자 목재 자원이 풍부한 북미와 유럽에서만 채집하는 등 원재료의 선택에서 부터 신중을 기했다. 환경에 대한 그의 남다른 신념은 얼콜의 또 다른 기업 철학으로 자리 잡아 가구의 제작뿐만 아니라 훗날 공장을 설계할 때에도 바탕이 되었다. 2002년 버킹엄셔 주의 프린스 리스버러 Prince Risborough에 1만4864㎡ 규모의 새로운 공장을 세웠는데, 폐목재를 연료로 사용하는 바이오 매스 보일러를 적용해 난방을 하거나 센서 조명등을 사용해 사람이 이동할 때만 켜지는 등 세심하게 신경 쓴 것이다.
얼콜은 단단한 나무 프레임으로 견고하게 만들어 오래 사용할 수 있다고 자부했지만 소파의 경우 쿠션 커버와 시트가 망가졌다고 해서 쉽사리 버리는 현상을 안타까워했다. 그래서 폐기물을 최소화하고 가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방안으로 업홀스터리 서비스를 도입, 얼콜 가구의 아름다움을 오래도록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얼콜은 장인 정신을 지키면서도 현재 삶의 방식을 반영하기 위해 끊임없이 진화했고 이는 다수의 상으로 고스란히 이어졌다. 디자인과 기능, 품질의 모든 면에서 우수한 가구에만 수여하는 ‘디자인 길드 마크 Design Guild Mark’와 뛰어난 제조 과정을 거치는 회사에게 주는 ‘매뉴팩처링 길드 마크 Manufacturing Guild Mark’ 등을 연달아 수상하며 영국인이 신뢰하는 브랜드로 자리매김했다.

에디터 최고은 | 자료협조 얼콜

CREDIT
배려와 반려의 집

배려와 반려의 집

배려와 반려의 집

사람이 사는 집을 본떠 만든 개집 말고 진정으로 반려견과 공유할 수 있는 집은 어떤 모습일까? 공간을 통해 함께 소통할 때 진정한 ‘반려’의 의미가 실현된다.

1 Kitchen 2 Dog Garden 3 living room

인류가 가축으로 삼은 최초의 동물은 소, 돼지가 아닌 개다. 원시시대부터 지금까지 개는 사냥, 목축, 운송, 경비 등 다양한 일에 참여했고 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는 애완동물로 널리 퍼지게 되었다. 1950~60년대만 하더라도 마당에 개집을 따로 만들어 키우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1980년대 들어 반려동물 역할이 부각되면서 개를 집 안으로 들여 키웠다고 하니 반려견으로서 사람들과 삶을 공유한 것은 얼마 되지 않는다. 이러한 반려견이 살아왔던 또는 현재까지 살고 있는 개집을 유심히 들여다보면 인간이 살고 있는 집 형태를 모방하고 있으며 대개 원룸의 형식이다. 그러니 개집이라 하면 폐소공포증 탓에 언제나 빨간 박공지붕에 드러누워 있던 스누피 Snoopy의 집이 가장 먼저 떠오른다. 몇 해 전 일본을 비롯해 해외 유명 건축가들이 함께 개집을 디자인한 웹사이트 ‘아키텍처 포 도그 www.architecturefordogs.com’가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궁금한 마음에 찾아봤다. 다양한 견 종에 맞게 디자인된 개집이 흥미로웠으나 각 건축가가 평소에 추구하는 디자인 유형의 일부가 오롯이 축소, 투영되어 마치 건축가가 자신의 이름을 내건 브랜드 상품처럼 보여 어딘가 아쉬웠다.
사람들이 반려동물과 삶을 공유하는 현실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주택을 계획하는 데 있어 가족 구성원, 성향,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고려는 가장 기본일 테고 골든 리트리버 두 마리를 키우는 나에게는 반려동물도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자연스레 생각되었다. 반려동물의 종류, 낮과 밤의 성향, 주인과의 친밀도, 용변을 처리하는 태도까지 놓쳐서는 안 될 중요한 부분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사람과 반려견이 함께 사는 집이라도 사람에게만 초점을 맞추다 보니 사람을 위한 주택 안에 개집이 있을 뿐, 사람과 반려견을 동시에 배려하고 그들이 삶을 공유하는 공간으로 계획된 주택을 찾기 어려웠다.

한 가족의 구성원으로서 그들을 배려한 공간을 고민해오던 차에 강원도에서 애완견 펜션을 운영하는 건축주를 만나게 되었다. 살림집과 약간의 거리를 두고 평범한 우리 안에서 여덟 마리의 골든 리트리버를 키우고 있는 건축주는 나에게 건축주 내외와 노모 그리고 자식들까지 3대와 여덟 마리의 골든 리트리버가 함께 살기 위한 30평 규모의 주택을 의뢰했다. 세대 구성원을 위한 각자의 공간도 필요할뿐더러 동시에 반려견 여덟 마리를 위한 공간을 만들기에 30평이라는 공간은 상대적으로 작게 느껴졌다. 나는 3대 간의 소통과 사생활을 가변적으로 조정하는 동시에 반려견들과 일상을 함께할 수 있도록 3×3 단위의 주택을 계획했다. 먼저 가로, 세로 3m인 공간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맞물리도록 했다. 그리고 각 공간을 세대 구성원을 위한 침실, 거실, 부엌 등이 기능적으로 연결되게 배치하고 지면으로부터 1m정도 높게 설치했다. 이 높이는 반려견인 골든 리트리버가 활동하기에 지장이 없는 적정 높이이다. 위계로 따지면 개집 위에 사람 집이 있는 셈이다. 3×3 공간의 연결 부위에는 내부 통로나 외부 정원을 만들어 가족들이 마음껏 즐길 수 있도록 하고, 그 아래에는 여덟 마리의 반려견을 위한 영역을 마련했다. 반려견들은 이 공간을 통해 사람이 오가는 정원까지 다다를 수 있고 이로써 3대의 가족 구성원들과 늘 일상의 삶을 마주하고 생활할 수 있는 ‘공유의 정원’을 완성할 수 있었다.

*집에 대한 독자 여러분의 다양한 생각을 최고은 기자(deneb@mckorea.com) 앞으로 보내주세요. 보내주신 이야기를 바탕으로 ‘최소의 집’에 대한 개념을 풀어나갈 예정입니다.

정영한(스튜디오 아키홀릭) | 에디터 최고은 | 사진 스튜디오 아키홀릭

CREDIT
찍고 또 찍고

찍고 또 찍고

찍고 또 찍고

색과 무늬를 마음대로 겹쳐 찍다보면 나만의 멋진 작품을 완성할 수 있는 실크스크린. 밑그림 그리기에 자신이 없다면 간단한 도형을 활용할 수 있으니 주저 말고 도전해보길.

↑ 테이블 램프와 아로마 팩토리, 연필 트레이는 비믹스 제품.

판화 기법 중 하나인 실크스크린은 원하는 그림을 스텐실로 만든 뒤 그 위에 잉크가 묻어나도록 찍는 방식이다. 촘촘한 실크 원단 사이로 잉크가 통과하는 것에서 기인한 실크스크린은 아주 얇은 선까지 정교하게 표현되며 어떻게 겹쳐 찍느냐에 따라 다른 느낌으로 완성된다. 아날로그 인쇄 방식이라 번거롭지만 디지털 프린트로는 흉내 낼 수 없는 특유의 손맛을 내기 좋은 것이 가장 큰 장점. 실크스크린을 하기 위해서는 실크판에 그림을 투과시키는 감광기가 필요한데 가격은 30만원대이다. 감광기 구입이 부담스럽다면 감광판을 제작해주는 공방에 의뢰를 해도 된다. 이마저도 어렵다면 화방에서 스크린 필러를 구입한 다음 실크판에 직접 칠해도 좋다. 실크스크린용 물감은 유성과 수성이 있는데, 유성은 냄새가 많이 나고 다루기 어려우므로 수성을 고를 것을 권한다. 수성은 천, 나무, 종이 등에 찍을 수 있는 대신 비닐에는 물감이 스며들지 않기 때문에 비닐에 찍을 때는 유성을 선택해야 한다. 하나의 판에는 한 번에 한 가지 색만 찍을 수 있으며 다른 색으로 겹쳐 찍을 때는 물로 씻어서 사용하면 된다.

준비물

1 그림을 인쇄한 OHP 필름 2 스퀴지 3 실크스크린용 수성 물감 4 나이프 5 감광액 6 실크판

만드는 법
1 디자인한 도안을 OHP 필름에 흑백으로 프린트한다.
2 실크판에 감광액을 바르고 그 위에 OHP 필름을 겹친 다음 감광기에 넣고 10분간 빛에 노출시킨다.
3 감광한 뒤 물로 감광액을 씻어내면 감광판이 완성.
4 우드락 위에 임시 고정용 스프레이를 뿌린 뒤 천에 구김이 생기지 않도록 깨끗이 펼친다.
5 감광판 안쪽에 모서리를 테이프로 막아 물감이 새지 않도록 한다.
6 천에 감광판을 올리고 그 위에 물감을 얹고 스퀴지를 사용해 골고루 밀며 찍어낸다.
7 다른 색을 찍을 때는 드라이어로 완전히 말려야 한다.
8 다양한 무늬를 원하는 대로 겹쳐가며 찍은 뒤 다리미로 가볍게 열처리를 해 물감을 고정시킨다.
9 완성한 실크스크린 작품은 나무판에 고정시키거나 액자에 넣어 벽에 건다.

만든 이 이모랩
마포구 창전동에 위치한 예술 창작 공방 이모랩은 펜 드로잉, 북 바인딩, 동양화, 실크스크린 등 다양한 미술 강좌를 제공한다. 실크스크린은 6주 과정으로 마련했으며 일러스트레이터로 활동하는 여민정 작가가 직접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자세한 강의 정보와 활동 소식은 이모랩 홈페이지 www.emolab.c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에디터 최고은 | 포토그래퍼 안종환

CR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