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용의 집

포용의 집

포용의 집

아이코닉한 가구와 빈티지 가구, 그리고 작가의 작품이 풍성한 레이어를 보여주는 세븐도어즈 민송이 대표의 집. 오랜 경력의 스타일리스트가  직접 만든 집에는 삶의 방식이 깃들어있다.

디자인 가구와 작가의 작품이 모여 있는 거실. 검은색 바닥재 덕분에 가구의 실루엣이 더욱 살아난다.

민송이 대표 집에 자주 놀러 오는 손님인 ‘수수’는 부모님의 반려견이다. 마라룽가 소파에 함께 앉아 있는 것을 좋아한다.

오래된 고가구를 두었지만 현대적인 가구 디자인과 어우러져 지나치게 예스럽지 않다.

제작한 주방 가구는 냉장고를 비롯해 빌트인 수납공간을 만들어서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다.

리빙&공간 스타일리스트는 어떤 일을 하는 직업일까. 숍이나 카페, 백화점 등의 공간 연출부터 광고 콘텐츠, 브랜딩, 전시까지 말 그대로 리빙과 공간에 관련된 스타일링을 총괄하는 역할이다. 스타일링 스튜디오 세븐도어즈를 운영해오고 있는 민송이, 민들레 대표는 국내 리빙 업계의 손꼽히는 듀오 스타일리스트다. 오설록 티하우스를 비롯해 더 현대 서울의 식품관, 현대카드 트래블 라이브러리, 북촌 설화수의 집 등 많은 이들이 즐겨 가는 공간에 세븐도어즈의 손길이 닿아 있다.

이사무 노구치의 조명이 보름달처럼 떠 있는 다이닝 공간. 좋아하는 그릇들은 벽에 설치한 가구 필라스터에 하나씩 올려두었다. 커튼으로 가린 부분은 식물과 항아리를 둔 베란다.

민송이 대표는 결혼 후 신혼집을 거쳐 지금의 집으로 이사를 했다. 바쁜 와중에 틈틈이 집을 다듬다보니 년 반이란 시간이 훌쩍 흘렀다. “스타일리스트로 일하며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어요. 그동안 공간을 연
출하며 좋아하는 스타일을 찾아가고 배우면서 예행연습을 해본 것 같아요. 이 집은 전실과 현관을 연결해서 구조를 변경했고, 그 외에는 바닥재와 주방, 욕실 등 스타일링 위주로 리모델링을 했어요. 또 가장 넓은 방은 제가 집에서 일할 때 사용할 작업방으로 만들고, 작은 방은 침실로 사용하게 됐는데요, 남편이 이해하고 배려해준 덕분이에요.” 무채색과 낮은 채도의 색상을 좋아하는 민송이 대표의 취향은 바닥재에서 확연히 드러난다. 선뜻 택하기 어려운 검은 원목마루이지만 집 전체의 인상을 묵직하고 차분하게 잡아준다. 스타일리스트로서 수많은 디자인 가구와 소품, 그리고 멋진 공간을 보고 만들어온 그녀에게 자신의 취향을 보여주는 일이 오히려 더 어려울 것 같았다. “집에 관해선 계획이나 의도가 별로 없는 편이에요. 해놓고 보니 혹은 지나고 보니 ‘아, 내가 이런 걸 좋아하는구나’ 하고알게 되는 거죠. 제 옷이나 갖고 있는 물건들을 보니 무채색이 많더군요.

오로지 수면에 집중할 수 있도록 검은색으로 마감한 침실. 침구 역시 무채색으로 선택해 이 집에서 채도가 가장 낮은 공간이다. 벽에 붙인 부부의 사진 한 장이 따뜻해 보인다.

가구는 오래 사용할 디자인을 고르는 편이고요.” 타임리스 디자인은 시간이 지나도 질리지 않고 유행을 타지 않는 디자인을 일컫지만, 개인이 정의하는 바는 저마다 다를 것이다. 오랜 시간 스타일리스트로 활동해오며 민송이 대표가 생각하는 오래 사용할 가구는 무엇인지 궁금했다.

“쉽게 질리지 않는 담백한 디자인의 가구죠. 그런데 가구란 내 마음대로 두기가 참 어려운 것 같아요. 집은 쇼룸이 아니니 모든 가구를 철저히 계획해서 둘 수 없고, 살면서 변수도 생기거든요. 지금은 집에 별로 어울리지 않지만 그냥 사용하고 있는 가구도 있고, 제 취향이 아닌데 이사할때마다 따라오는 가구도 있어요.(웃음) 촬영 후 버려질 것 같아 데려온 식물은 무럭무럭 크고 있고요. 저는 이런 것이 인연이라고 생각해요. 대신 가구들을 잘 조합해서 멋스럽고 쓰임에 맞게 두는 것이 제 역할이겠죠.” 민송이 대표의 말처럼 집 안에는 저마다 다양한 이야기를 지닌 가구와 물건이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베란다에 옹기종이 모여 있는 항아리와 몇 점의 고가구는 어머니가 직접 장을 담그시던 항아리, 지방 여행을 하며 구입해 사용하다 물려주신 것들이다. 1814년부터 지금까지 운영하고 있는 영국 총포상의 빈티지 유리장부터 피치 못할 사정이 있어 구입하거나 주문 실수로 잘못 제작한 가구도 있다. 올록볼록한 형태가 반려견에게 훌륭한 쉼터가 되어주는 버블 소파는 원래 민들레 대표의 집에 있던 것. 반면 배송을 받기까지 긴 시간 기다림을 감내하며 구입하거나 샤를로트 페리앙처럼 좋아하는 디자이너의 하이엔드 가구도 있다. 스타일링의 힘은 시대와 스타일이 다른 사물들을 조화롭게 포용한다.

한두 개씩 구입하다 보니 개수가 늘어난 소반. 오브제 역할도 하지만 필요할 때마다 내려서 요긴하게 사용한다.

실제 영국 총포상에서 사용했던 빈티지 가구. 유리 표면의 글씨도 잘 보존돼 장식적인 역할을 한다.

사용하던 침대 헤드보드를 선반으로 탈바꿈했다. 좋아하는 캐릭터 작품을 비롯해 남편의 취향을 엿볼 수 있는 방.

재택 업무가 이뤄지는 작업방은 보통 침실로 사용하는 가장 넓은 방이다. 작업 중 샘플을 봐야 할 땐 테이블에 늘어놓기도 하고, 민들레 대표와 함께 야근하다 쉬기도 하는 공간이다.

작업방과 이어지는 욕실 파우더룸. 계획대로 마감이 되지 않았지만 그 자체로 그냥 두어 오히려 재미있는 공간이 됐다.

방을 화사하게 밝혀주는 커다란 그림 작품은 어머니가 그려주신 것.

이 집에서 가구 못지않게 눈길을 끄는 것은 곳곳에 배치된 작품이다. 현관 벽에 걸린 문형택 작가의 작품을 시작으로 복도는 물론 주방, 작업 방, 거실에도 작품이 놓여 있다. 옥션이나 페어에 갈 때마다 한두 개씩 구입하다 보니 꽤 많아졌다. 민송이 대표는 이미 유명하거나 가격이 오를 것 같은 작품보다는 오래 두고 보고 싶은 작품을 선택한다고 말했다. 특히 서예가 평보 서희환 선생의 작품은 수수하면서도 독특한 글씨체가 마라룽가 소파나 버블 소파 같은 현대적인 가구와 힘있게 어우러지며 거실에 개성을 더한다. 공간을 넓게 사용하기 위해 베란다를 확장하는 사례가 많은데, 집의 모든 베란다를 그대로 둔 점도 의외였다. “식물에 물을 주거나 장담글 항아리도 두어야 하고요. 확장을 하면 공간이 연장되긴 하지만 그만큼 눈에 보이는 면적도 늘어나요. 직업 특성상 짐이 많아서 보관할 곳도 필요하고, 또 안마의자나 러닝머신같이 필요하지만 거실이나 방에 두기 조금 부담스러운 기기도 베란다에 두었어요. 아! 주방 옆 베란다에는 식용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가전인 ‘틔운’을 두었는데요, 만족도가 정말 높아요. 이걸로 로메인, 비타민, 상추 등을 재배해서 먹었는데 재미도 있고 수확하는 즐거움도 있는 아파트용 텃밭이에요.” 민송이 대표의 말에 공간을 넓힌다는 이유로 베란다를 무조건 확정하는 것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만든다. 구경하며 이것저것 물어보고 그에 담긴 이야기를 들으며 시간 가는 줄 몰랐던 민송이 대표의 집은 든든한 포만감을 주는 공간이었다. 멋스러운 집을 만드는 일은 노련한 스타일링에 달려 있지만, 실은 작은 물건 하나에 담긴 인연을 소중하게 생각하고 강약조절을 하며 균형을 맞추는 민송이 대표의 삶의 방식에서 비롯됐다. 잘 꾸며진 공간이 때론 머무는 이에게 괴리감을 줄 때가 있는데, 다정하고 따뜻한 스타일리스트가 완성한 집에선 초대한 이의 환대만이 느껴졌다.

민들레 대표가 오면 머무는 게스트룸. 침대 안쪽 공간은 리모델링하다 우연히 벽 너머에서 발견하게 된 비밀스러운 공간이다.

자연스러운 색채의 형상이 아름답게 보이는 정진서 작가의 작품이 놓인 복도. 옆에 비어 있는 캔버스는 어떤 작품이 걸릴지 아직 미정인 상태라 그대로 두었다.

CREDIT

포토그래퍼

임태준

프리랜서 에디터

신진수

TAGS
Retro Revival

Retro Revival

Retro Revival

1970년대 레트로 감성과 현대적 요소가 어우러진 집. 빈티지의 따뜻함 속에 시간이 멈춘 듯 편안한 여운을 남긴다.

원목 소재에 테라코타색 바닥재, 빈티지 가구가 어우러진 다이닝. 주방 아일랜드와 원형 테이블은 YSG 스튜디오에서 디자인한 것으로 우드 래빗 키친 Wood Rabbit Kitchens에서 제작. 펜던트 조명은 1970년대 무라노 글라스 빈티지 샹들리에. 스툴은 빈티지 제품으로 사코 Sahco의 ‘트로픽 0470 Tropic 0470’으로 업홀스터리한 것. 연두색 체어는 파리 플리마켓에서 구입한 빈티지 제품.

호주 뉴사우스웨일즈의 바이런 베이에 위치한 적벽돌 주택은 마치 시간여 행을 떠나 온 듯한 느낌이다. 시드니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YSG 스튜디오는 해변가 오래된 집에 다양한 시대의 빈티지 스타일을 불어넣었다. 무거운 목재 구조와 1970년대 레트로 감성이 어우러져, 바쁜 일상에서 벗어나 자연 속 느긋한 유토피아를 꿈꾸게 한다. 이 집은 단순히 외부로 열린 공간이 아닌, 내부로 시선을 돌려 기억 속 향수와 연결된 감각적인 여정을 제공한다.

선큰 라운지 쿠션들은 YSG 디자인으로 더스티 로드 The Dusty Road에서 제작. 벽에 걸린 데커레이션용 패브릭 ‘핸드우븐 메디신 토템 Handwoven Medicine Totem’은 아페타이트 Appetite.

데님으로 만든 소리아나 암체어 Soriana Armchair는 Studio ALM. 세라믹 커피 테이블은 로저 카프론 Roger Capron 제품으로 루미니 컬렉션스 Lumini Collections. 트래버틴 체스 세트는 티그미 트레이딩 Tigmi Trading. 러그는 맷 리얼 마직 Ma’at Real Majik 컬렉션으로 YSG x Tappeti.

데님으로 만든 패치워크 ‘백 투 더 시 Back to the Sea’는 다운랜드 Downlands. 파란 다이닝 체어는 세르지오 로드리게스 Sergio Rodrigues의 하이 백 체어 High Back Chair.

주방 아일랜드와 원형 테이블은 YSG 스튜디오에서 디자인한 것으로 우드 래빗 키친 제작. 벤치탑 대리석은 벨리니 마블 Bellini Marble로 CDK. 수전은 ABI 인테리어스. 블라인드는 데다 Dedar의 ‘존 켈리 1763 John Kelly 1763’으로 만들었다.

거실에 들어서면 1950년대 이탈리아의 우아함과 1970년대의 활기 넘치는 빈티지 가구들이 펼쳐진다. 클라이언트가 좋아하는 짙은 갈색과 빈티지 가구에 맞춰 레트로한 크롬 디테일을 더한 개성 있는 가구를 배치했다. 파리에서 들여온 초록색 체커보드 암체어는 창가 옆에서 은은한 빛을 받으며 마치 작은 갤러리 같은 분위기를 자아낸다. 디렉터 야스민 고니엠 Yasmine Ghoniem은 빈티지 가구와 어울리도록 기존 화이트 하우스에서 벗어나 우드 톤을 강조했다고 말했다. “비치 하우스의 클래식한 경사 지붕이 돋보이는 거실이었어요. 1층은 무게감 있는 목재 요소를 사용해 시선을 공간에 집중시키고자 했습니다. 정면에 위치한 오래된 목재 창은 없애고, 원형 창문으로 리듬감을 줬어요.” 아이들 침실로 이어지는 프라이빗한 통로는 단순한 이동 공간을 넘어서 집 안의 이야기를 더해주는 듯하다. 사선형의 벽으로 재미를 주면서도, 거실과 다이닝에서 침실과 욕실의 출입구를 보이지 않게 감추는 역할도 한다.

그린 암체어와 크롬 벽조명은 빈티지 제품으로 오다 파리 Oda Paris. 사이드 테이블은 이탈리아 빈티지 제품으로 콜렉트라 라라 Colectra Rara. 벽에 걸린 작품 ‘모조 Mojo’는 제레미 케이 Jeremy Kay.

원형 테이블 대리석 상판은 벨리니 마블. 스툴은 빈티지 제품으로 사코의 ‘트로픽 0470 Tropic 0470’으로 업홀스터리했다. 

이국적인 야자수와 식물로 채워진 현관. 하늘색 화분은 빈티지 제품으로 뱀프 Vampt, 바스켓은 아페타이트.

바닥 타일은 마르퀴스 플로어링 Marques Flooring의 ‘하비스트 콕 Harvest Cock’. 칼레 크림 Calais Cream과 뉴 매디에라 New Madiera 대리석을 사용했다.

침구 ‘이브 켄테 클로스 Ewe Kente Cloth’는 아페타이트.

주방은 단순한 요리 공간이 아니라 가족이 모여 웃음을 나누는 따뜻한 장소로 변신한다. 가족이 모일 수 있는 넓은 공간을 원한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주방을 전면 개조해 크기를 두 배로 늘렸다. 반쯤 감춰진 갤리 주방에는 L자형 카운터를 추가해 배열을 길게 확장했다. 진줏빛 대리석으로 마감된 원형 아일랜드와 줄무늬 베니어 장식의 원목 수납장이 빈티지한 감성을 더하며 조화롭게 어우러진다. 견고한 목재 기둥과 주방 수납장을 연결하는 크롬 난간은 옛날 스케이트 파크에서 영감을 얻었다. 아일랜드 주변에 둘러앉아 음료를 마시며 편히 기댈 수 있는 캐주얼한 공간을 상상하며 넣은 요소다. 메탈 소재는 맞춤형으로 제작한 크롬 수납장 손잡이로 이어지며, 부드러운 갈색 가죽과 분홍색 스티칭이 돋보인다. 맞은편에 위치한 거실의 아연 도금 강철 기둥은 두꺼운 목재 기둥을 대체해 빛을 반사시킨다. 다이닝 옆으로는 1970년대 스타일의 선큰 라운지를 구성했다. 사암색 마이크로 시멘트로 마감한 L자형 소파는 집 안의 중심이자 포근함을 상징한다. 부드러운 반짝임을 지닌 마감재는 바닥까지 이어지며, 주방의 벽과 천장, 마스터 스위트룸의 침대 머리맡, 게스트 욕실에서도 통일감을 준다. 높은 천장에 달린 커다란 달 모양의 유리섬유 조명은 맞춤 제작한 것.집의 고유한 독창성을 유지하기 위해 특별히 제작했으며, 밤이 되면 은은한 빛으로 모두를 감싼다.
 

벽 조명 ‘발라룸 월 디스크 Ballarum Wall Disc’는 인투에리 라이트 Intueri Light 제품으로 굿 컴퍼니 Good Company. 욕조의 모자이크 타일은 다크 트래버틴 RFJ 00501과 비아콘 마블 Biancone Marble 두 가지를 콤비네이션으로 사용했다.

암체어는 빈티지 제품으로 루나티크 Lunatiques.

샌드 톤의 ‘트와일라잇 Twilight’ 스톤 타일을 사용해 벽과 세면대를 통일감 있게 구성한 스팀 룸 Steam Room.

커다란 원형창이 돋보이는 야외 테라스. 라운지 체어 ‘안티 누메스니에미 라운저 Antti Nurmesniemi Lounger’는 텍타 제품으로 티그미 트레이딩.

손으로 짠 폴리네시아식 벽걸이와 실크 벽지가 침실에 우아함을 더하고, 정사각형 테라코타 타일과 체크무늬 바닥재는 집 안 곳곳에 리듬을 부여하며 발길을 이끈다. 모든 패턴과 재료는 공간을 풍부하게 하고, 그 속에서 우리는 과거와 현재를 잇는 다리를 건너게 된다. 이 집은 단순히 거주공간을 넘어, 과거의 향수를 현재의 삶 속에서 새롭게 풀어낸 예술적인 유토피아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프루 루스코 Prue Ruscoe

TAGS
WITH GOOD MOTIF

WITH GOOD MOTIF

WITH GOOD MOTIF

인테리어 브랜드 슈마커의 미국 셀러 대표인 베니 프로빈의 런던 아파트는 실험실 같다. 그는 자신의 집 인테리어에 다양한 시도를 하며 즐기고 있다.

베니 프로빈의 런던 첼시 아파트는 실험실 같다. 미국에서 막 도착한 세계여행자(지금은 슈마커 패브릭, 벽지, 장식 끈을 유럽과 중동에 판매하는 미국 셀러 대표), 베니 프로빈은 도전을 즐긴다. 그는 세기 말의 빅토리안 시대 건물(150㎡)에 있는 이 집이 ‘전부 카펫이 깔려 있고 흉한 컬러와 작은 방들로 채워져 끔찍하다’고 판단했지만, 높은 천장과 완벽한 사각 형태는 좋아했다. “공간을 재구성하기에 훨씬 유연하거든요.” 그래서 그는 인테리어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를 포함해 부동산 개발자로 일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모든 걸 철거하고(“돌 하나에도 피해주지 않았다고 생각해요!”) 문 높이를 1.95m에서 2.6m로 올렸다. 베니는 여러 가지 시도를 했는데, 바닥에 벽지를 바른 다음 바니스를 여러 겹칠해 마감하거나 욕실 중 한 곳의 욕조 주변에 타일을 높여서 욕조가 인테리어에 더 잘 녹아들도록 했다. 그리고 패브릭과 벽지의 모티브를 사용하는 데 어떤 한계를 두지 않고 가구와 벽에 다양하게 적용했다. 빈티지와 컨템퍼러리 디자인, 아름다운 직물을 믹스 앤 매치한 완벽한 리노베이션이었다. 그 결과, 지루한 아파트가 꿈의 공간으로 재탄생했다.

다이닝룸의 태피스트리는 테이블(아틀리에 펜드하파 Atelier Pendhapa)의 형태에 어울리도록 맞춤 제작했다. 베니의 처남인 헬더 조해너스 Helder Johannes가 제작. 노란 조각 ‘폴리포러스 카나리아 맥시 Polyporus Canaria Maxi’는 레바논 아티스트 제인 다욱 Zein Daouk의 작품. 빨간 촛대는 오브젝티 Objekti. 빈티지 접이 의자 ‘트리에스테 Trieste’는 알도 야코버 Aldo Jacober. 커튼 ‘터키시 스텝 Turkish Step’은 데이비드 카이호이 David Kaihoi 디자인, 슈마커.

엔조 시잘 Enzo Sisal이 디자인한 슈마커 벽지를 붙인 아늑한 작은 거실. 카나페 겸 침대가 있어 친구들이 지낼 수 있다. 쿠션은 슈마커 패브릭으로 맞춤 제작. 안감 ‘엘크하트 Elkhart’를 댄 벨벳 커튼 ‘게인즈버러 Gainsborough’, 슈마커. 베란다에 있는 낮은 테이블은 소호 홈 Soho Home. 의자 ‘Z’는 에른스트 모켈 Ernst Moeckel 디자인.

갤러리 같은 공간. 플로어 스탠드 ‘선플라워 Sunflower’는 디르크 반 데르 쿠이 Dirk Van der Kooij 디자인. 빈티지 접이 의자 트리에스테는 알도 야코버. 벽에 건 콜라주는 한국 아티스트 김민정 작품. 

포터 텔레오 Porter Teleo의 벽지를 바닥에 바르고 바니스를 여러 겹 칠했다. 싱크대 아랫부분의 거울이 공간을 확장한다. 싱크대의 검은색 떡갈나무 파사드는 주문 제작. 검은 촛대는 오브젝티. 나무 도마는 라 트레조르리 La Tresorerie. 나무 볼은 닷차 Datcha. 세라믹 피처는 슈마커 파리 Schumacher Paris. 패브릭 블라인드 ‘샘선 임브로이더리 Samsun Embroidery’는 슈마커.

노란 암체어 ‘링 Ring’은 난나 Nanna와 요르겐 디첼 Jorgen Ditzel 디자인. 이 암체어가 베니의 침실에 컬러감을 가져다준다. 벨벳 커튼 ‘리스보아 Lisboa’는 슈마커.

파트리샤 우르키올라 Patricia Urquiola가 디자인한 침대는 카시나 Cassina. 캐시미어 담요는 에르메스 Hermes. 침대 옆 테이블은 소호 홈.

욕실 벽에 건 태피스트리(카이로의 람세스 위사 와세프 아트 센터 Ramses Wissa Wassef Art Centre에서 구입)가 욕실에 활기를 준다. 수전 ‘건 메탈 Gun Metal’은 루소 Lusso. 타부레는 아틀리에 펜드하파. 바닥 타일은 만다린 스톤 Mandarin Stone. 패브릭 블라인드 ‘맥스웰 Maxwell’은 슈마커.

무라노 유리와 메탈로 된 테이블 조명, 전등갓은 패브릭. 일 파라륌 마리나 Il Paralume Marina, 아르트메스트 Artemest에서 판매. 지름 30×높이 85cm. 3150유로.

스틸과 패브릭으로 된 암체어‘ 네나 Nena’ 란자베키아 Lanzavecchia×와이 Wai 디자인, 자노타 Zanotta, 실베라 Silvera에서 판매. 가로 82×깊이 72×높이 71cm. 2532유로.

너도밤나무 합판 의자 ‘시자 Sciza’. 다카시 기리모토 Takashi Kirimoto 디자인, 질리오 A&C Zilio A&C, 아르트메스트에서 판매. 가로 45×깊이 49.5×높이 80cm. 한 쌍에 760유로.

손으로 짠 태피스트리 ‘스톤 브이 Stone V’. 소재는 양모와 루렉스. 오스모시스 Osmosis 컬렉션, 아릭 레비 Arik Levy 디자인, 타이 핑 Tai Ping. 가격 문의.

대리석을 잘라서 조합해 만든 둥근 테이블 ‘비스코토 Biscotto’. 콘스탄스 프라폴리 Constance Frapolli 디자인, 치나 Cinna. 가로 40×깊이 28×높이 42cm. 1572유로.

양모와 모헤어 담요 ‘세레니티 Serenity’. 메종 사라 라부안 Maison Sarah Lavoine. 130x200cm. 개당465유로. 

나무 프레임에 폴리에스터 패브릭을 커버링한 카나페 ‘블로거 3 Blogger 3’. 로베르토 타피나시 Roberto Tapinassi&마우리치오 만초니 Maurizio Manzoni 디자인, 로슈 보부아 Roche Bobois. 가로 200×깊이 104×높이 67cm. 4000유로.

압축 유리와 메탈로 된 벽등 ‘프레스 서피스 라지 클리어 LED Press Surface Large Clear LED’. 톰 딕슨 Tom Dixon. 지름 35cm. 576유로.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베네딕트 드뤼몽 Benedicte Drummond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