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less Monument

Timeless Monument

Timeless Monument

톰 딕슨이 만들어낸 조형적 기념비

거대한 화강암 벽이 척추처럼 건물을 감싸며 강렬한 재료와 디자인이 유기적으로 맞물리는 곳.
건축사무소 A31 아키텍츠와 톰 딕슨이 만들어낸 조형적 기념비다.

거실과 테라스가 자연스럽게 연결되며 슬라이딩 글라스를 통해 바다와 대지를 거대한 파노라마처럼 펼쳐 보인다.

키클라데스 제도의 농부들이 쌓아온 건식 돌담에서 영감을 받아 거대한 바위를 계단 위에 설치했다.

브루탈리즘 스타일의 실내 디자인이 자연스럽게 외부와 연결된다.

그리스 미코노스 섬의 거친 바람과 태양 아래,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독보적인 건축물이 탄생했다. 아이마시아 AIMASIA 레지던스는 그리스 키클라데스 제도의 자연과 역사적 맥락을 품은 공간으로서, A31 건축사무소와 톰 딕슨이 협력하여 만들어낸 작품이다. 이 프로젝트는 건축적 조형미와 기능적 지속 가능성을 동시에 실현한 모델로 평가받는다. 미코노스의 경관을 지배하는 요소는 단연 화강암과 돌담이다. 아이마시아라는 이름도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는데, 키클라데스 제도의 가파르고 건조한 땅에서 농부들이 곡물, 포도, 밀, 채소 등을 재배하기 위해 쌓아온 건식 돌담을 의미한다. 이런 전통적 요소를 현대 건축 어법으로 해석한 것이 이 프로젝트의 핵심이다. “건물은 실내외의 경계를 허물고 자연과 하나가 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대지의 윤곽을 따라 62m 길이의 현지 화강암 벽을 세웠습니다. 이 벽은 단순히 구조물의 역할을 넘어 건축의 ‘척추’로 기능하며, 건물 전체를 자연스럽게 감싸고 있습니다.” A31의 건축가 프락시텔리스 콘딜리스 Praxitelis Kondylis가 말했다.

추상적인 조각과 극단적인 텍스처를 지닌 벽면 아트피스가 돋보인다.

톰 딕슨의 대표 작품 중 하나인 파일론 체어 Pylon Chair가 구조적 아름다움을 더한다.

건축 마감재, 넓은 공간, 풍부한 자연광 덕분에 미술관 같은 분위기가 완성됐다.

이 프로젝트가 더욱 주목받는 이유는 미코노스의 가파르고 거친 지형을 건축적으로 풀어낸 방식에 있다. 급격한 경사를 이루고 있는 대지를 건축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큰 도전 과제였다. A31은 건물을 인위적으로 대지에 얹는 방식이 아닌, 지형을 따라 흐르는 형태로 배치했다. “마치 경관 속에서 자연스럽게 태어난 것처럼 보이도록 설계했어요. 건축과 환경이 대립하는 것이 아닌, 하나의 유기적 시스템처럼 작동시키려 했어요.” A31 팀이 말했다. 건물은 남향으로 배치되어 자연광을 최대한 활용하며, 내부와 외부의 경계를 허무는 슬라이딩 글라스 시스템을 통해 미코노스의 광활한 바다를 끊김 없이 경험할 수 있게 했다. 재료의 선택 또한 지속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이루어졌다. 건축의 주된 구조는 저탄소 시멘트를 활용한 현장 타설 콘크리트로 구성되었으며, 모든 외벽에는 단열 처리가 적용된 백색 플라스터 마감이 사용되었다. 그 덕분에 여름철 태양열의 흡수를 최소화하면서도 열 저장 기능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얻었다. 또한 건물의 모든 지붕에는 지역 토착 식물로 조성된 녹색 지붕이 적용되었다. 이는 단순히 친환경적 제스처를 넘어, ‘건축이 자연을 보완하는 방식’으로 자리 잡았다. 지속 가능한 재료를 사용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건물 자체가 환경 속에서 기능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한 것. 이 말했다.

대지의 윤곽을 따라 62m 길이의 석벽을 쌓아 올렸다. 단순한 구조물이 아니라 건물의 가장 중요한 척추 역할을 한다.

화강암을 활용해 맞춤 제작한 주방.

부드러운 텍스타일과 곡선형 가구를 배치해 대비감을 극대화한 침실.

강렬한 텍스처를 강조한 콘크리트와 석재 마감이 적용된 욕실. 플로어 조명은 톰 딕슨의 멜트 콘 조명이다.

광활한 자연을 한 폭의 그림처럼 품고 있는 침실. 유기적 형태가 돋보이는 의자는 톰 딕슨의 S 체어다.

건물은 남향으로 배치되어 자연광을 최대한 활용하며, 내부와 외부의 경계를 허무는 슬라이딩 글라스 시스템을 통해 미코노스의 광활한 바다를 끊김 없이 경험할 수 있게 했다. 재료의 선택 또한 지속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이루어졌다. 건축의 주된 구조는 저탄소 시멘트를 활용한 현장 타설 콘크리트로 구성되었으며, 모든 외벽에는 단열 처리가 적용된 백색 플라스터 마감이 사용되었다. 그 덕분에 여름철 태양열의 흡수를 최소화하면서도 열 저장 기능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얻었다. 또한 건물의 모든 지붕에는 지역 토착 식물로 조성된 녹색 지붕이 적용되었다. 이는 단순히 친환경적 제스처를 넘어, ‘건축이 자연을 보완하는 방식’으로 자리 잡았다. 지속 가능한 재료를 사용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건물 자체가 환경 속에서 기능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한 것.

장대한 바위를 계단 위에 설치하는 과정은 예상보다 훨씬 어렵고 위험한 과제였다. 하지만 결과는 성공적이었고 이 레지던스의 첫인상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바다를 향해 완전히 열려 있는 뷰를 자랑한다.

아케토포 스튜디오는 조각하듯 세심히 조경을 설계했다.

실내는 영국 디자이너 톰 딕슨 Tom Dixon과 런던 기반의 디자인 리서치 스튜디오 Design Research Studio가, 조경 설계는 아테네 기반의 스튜디오 아케토포 Archetopo가 맡았다. “이곳에서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바다, 햇빛, 그리고 수백만 년 동안 침식되어 형성된 웅장한 화강암 바위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지질학’을 테마로 삼고, 가상의 국제적인 예술 수집가를 클라이언트로 설정해 디자인을 구상했습니다.” 톰 딕슨이 말했다. 주방은 화강암을 활용한 커스텀 디자인으로 완성되었으며, 욕실은 강렬한 텍스처를 강조한 콘크리트와 석재 마감이 적용되었다. 반면, 침실과 거실은 부드러운 텍스타일과 곡선형 가구를 배치해 대비감을 극대화했다. “건축 마감재, 넓은 공간, 풍부한 자연광 덕분에 이곳은 본질적으로 하나의 전시 공간처럼 작동합니다. 우리는 불필요한 요소를 제거하고, 오브제 하나하나가 공간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신중하게 배치했습니다.” 그가 덧붙였다. 이 프로젝트에서 가장 인상적인 요소는 공간의 흐름이다. L자형 구조를 통해 실내 공간과 테라스가 자연스럽게 연결되며, 슬라이딩 글라스를 통해 바다와 대지를 거대한 파노라마처럼 펼쳐 보인다. 모든 요소는 불필요한 장식을 배제한 채, 자연과 건축이 대화하는 방식으로 배치되었다. “아이마시아 레지던스는 우리가 지금까지 해온 프로젝트 중에서도 가장 본질적인 건축적 질문을 던집니다. 건축은 자연과 어떻게 관계를 맺어야 하는가? 그리고 공간은 시간을 초월할 수 있는가?” 프락시텔리스 콘딜리스의 말처럼, 이 프로젝트는 건축의 본질을 탐구하는 과정 그 자체였다. 역사와 현대, 자연과 건축, 기능과 예술이 완벽하게 균형을 이루는 아이마시아 레지던스는 건축 역사에 오래도록 남을 것이다.

테라스를 통해 시야가 자연스럽게 바다와 연결되도록 설계한 인피니티 풀.

해가 지고 밤이 되면 또 다른 매력으로 미코노스 섬을 환히 밝히는 아이마시아 레지던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마이크 켈리 Mike Kelley

TAGS
New Art Deco

New Art Deco

New Art Deco

역사적 건축 요소를 살리면서도 현대적인 해석을 더한 파리 7구의 아파트.

인테리어 디자이너 로돌프 파렌테의 섬세한 터치로 재탄생한 이 공간은 클래식과 모던의 완벽한 조화를 보여준다.

소파와 플로어 램프는 로돌프 파렌테 디자인. 커피 테이블은 마리오 벨리니 Mario Bellini의 ‘글리 스카키 Gli Scacchi’, 네스 갤러리 Nes Gallery에서 구입. 암체어는 피에르 폴랑의 그루비 Groovy. 사이드 테이블은 브린야르 시귀르다르손 Brynjar Sigurdarson의 ‘사일렌트 빌리지 The Silent Village’, 갤러리 크레오 Galerie Kreo에서 구입.

파리 7구, 에펠 탑이 보이는 한적한 거리 한가운데 자리 잡은 이 아파트는 세월의 흔적과 현대적 감각이 절묘하게 어우러진 공간이다. 파리에 기반을 둔 인테리어 디자이너 로돌프 파렌테 Rodolphe Parente는 이곳을 단순한 주거 공간이 아니라 시간의 깊이와 감성이 공존하는 예술적 공간으로 재탄생시켰다. ‘시대를 초월하는 우아함과 현대적 감각의 조화’라는 그의 디자인 철학은 이번 프로젝트에서도 빛을 발했다. 특히 오랜 신뢰를 바탕으로 한 클라이언트와의 협업은 공간에 대한 깊은 이해와 정교한 디테일을 가능하게 했다. 클라이언트의 라이프스타일과 감성을 세심하게 반영하며, 과거와 현재가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공간을 완성한 것이다.

다이닝 테이블은 샬롯 페리앙. 다이닝 체어는 피에르 사포의 S11. 샹들리에는 지노 사르파티 Gino Sarfatti의 램프536, 갤러리 크레오에서 구입.

펜던트 조명은 아킬레 카스틸리오니의 ‘살리센디 Saliscendi’. 곡선형의 소파는 크리스토프 필레 Christophe Pillet의 ‘슬로 러브 Slow Love’ 제품으로 리믹스 갤러리 Remix Gallery에서 구입. 테이블은 재스퍼 스탈 Jesper Stähl. 왼쪽 페이지 월넛 소재로 맞춤 제작한 벽 선반. 데이베드는 한스 웨그너 Hans Wagner 디자인으로서 갤러리 파라디에서 구입. 사이드 테이블은 아일린 그레이의 E1027.

광택이 나는 래커 칠과 거울로 마감한 침대 헤드보드는 로돌프 파렌테 디자인으로서 맞춤 제작.

에토레 소트사스의 거울이 빛나는 현관. 거울 소재의 콘솔은 재스퍼 모리슨 Japser Morrison. 러그는 코디마 컬렉션 Codimat Colletion.

이 아파트는 200㎡ 규모로, 고풍스러운 파리의 건축적 유산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공간이다. 높은 천장, 정교한 몰딩, 그리고 세월을 머금은 벽난로가 주는 깊이는 첫눈에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하지만 단순히 과거의 흔적을 보존하는 것만이 목표는 아니었다. 로돌프 파렌테는 이 공간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하면서도, 건축적 디테일의 원형을 살리고 싶었다. 역사와 모던함의 균형을 찾는 것이 가장 큰 도전이었다. 리노베이션 과정은 마치 과거의 한 조각을 발굴하는 여정과 같았다. 몇 겹의 리모델링 흔적 속에서 숨겨져 있던 과거 몰딩 장식을 발견했을 때, 파렌테는 마치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 집의 이야기를 듣는 듯한 감정을 느꼈다고 한다. 이러한 요소들을 세심하게 복원하는 동시에 주방과 거실, 다이닝 등 주요 공간 레이아웃을 클라이언트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조정했다. 특히 주방은 기존 전형적인 스타일에서 벗어나 스테인리스 스틸과 코르크 바닥, 그리고 감각적인 핑크 컬러로 현대적인 변화를 시도했다. 차가운 금속성과 따뜻한 질감이 공존하는 이 공간은 기능적이면서도 독창적인 미학을 자아낸다. 거실과 다이닝 공간은 이 집의 중심으로 설계되었는데, 클라이언트의 개성을 반영한 예술 작품과 맞춤 제작한 가구들이 조화를 이루며 따뜻한 분위기를 형성한다. 가구와 오브제의 선택도 신중하게 이루어졌다.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공간과 대화를 나누고 하나의 이야기를 형성하는 요소여야 했다.

침실 옆으로 이어지는 욕실. 페를라토드 올림프 Perlato D’ Olympe의 대리석과 거울 소재으로 미니멀하게 마감했다.

특히 파렌테가 직접 디자인한 침대 헤드보드는 그가 추구하는 스타일의 정점을 보여준다. 고급스러운 래커 마감과 거울을 활용해 1970년대의 글래머러스한 무드를 더한 이 작품은 공간 전체에 세련된 감성을 불어넣는다. 또한 조각가와 협업한 거실의 독창적인 설치 작품은 클래식한 배경 속에서 현대 예술이 자연스럽게 녹아드는 순간을 연출한다. 이 집에서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자연스럽고도 의도된 ‘우연성’이다. 파렌테는 완벽하게 정리된 공간보다는 시간이 흐르면서 자연스럽게 진화하는 듯한 공간을 만들고자 했다. 모든 것이 의도적으로 배치되었지만, 그 안에는 편안한 자유로움과 따뜻한 여백이 있다. “저는 집이 누군가에 의해 완전히 디자인된 느낌이 들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약간의 우연성과 자연스러움이 녹아 있어야 하기에 ‘완벽한 스타일링’이나 ‘정석적인 멋’을 추구하지 않습니다.” 집은 단순한 건축물이 아니라, 그 안에 사는 사람의 개성과 삶을 담아내는 공간이어야 한다. 동시에 역사성과 연속성이 공존해야 한다. 로돌프 파렌테가 디자인한 이 아파트 역시 트렌드에 좌우되지 않는, 시간 속에서도 변함없이 사랑받을 안식처로 완성됐다. 고전적이면서도 현대적인, 따뜻하면서도 우아한 이 공간은 클라이언트의 감성과 취향을 고스란히 반영하며 삶과 함께 변화하고 성장하는 공간이 될 것이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클레어 이스라엘 Claire Israel

TAGS
DESIRE FOR AZURE

DESIRE FOR AZURE

DESIRE FOR AZURE

줄무늬의 물결, 반짝이고 파우더리한 컬러의 넘실거림, 바닷가 풍경이 있는 벽….
인테리어 디자이너 클레르 크레르크의 집에 있는 모든 것이 지중해에 대한 그의 사랑을 말해준다.

믹스 앤 매치를 좋아하는 클레르의 취향이 담긴 거실. 카나페는 싯츠 Sits. 쿠션은 엘리티스 Elitis(빨간 패턴)와 부샤라 Bouchara(파란색 줄무늬). 태피스트리는 가족 소유. 낮은 테이블 ‘갈타 포르트 Galta Forte’는 칸 디자인 Kann Design. 테이블 위에 있는 머그, 카라페, 촛대는 부샤라. 길고 낮은 수납장은 빈티지. 그 위에 있는 촛대와 조명은 벼룩시장에서 구입. 나무 테이블 ‘틸드 Thilde’는 AMPM. 벽의 나무 몰딩 장식은 오락 데코 Orac Decor, 벽을 칠한 ‘샤말로우 그리에 Chamallow Grille’ 컬러 페인트는 빌보케 데코 Bilboquet Deco.

튀니지에서 가져온 태피스트리가 다이닝 룸 컬러 팔레트의 출발점이다. 테이블 ‘오페라 Opera’는 임페리얼 라인 Imperial Line. 테이블 위에 있는 줄무늬 꽃병은 마르세유의 아쥘 Azul, 파란색 꽃병은 펌 리빙 Ferm Living 제품으로 마르세유의 굿 디자인 스토어 Good Design Store에서 구입. 테이블보, 촛대, 초, 카라페는 부샤라. 벼룩시장에서 구한 의자는 르수르스 Ressource의 페인트 ‘블뢰 파옹 Bleu Paon’으로 칠했다.

인테리어 디자이너 클레르 크레르크는 항해사를 꿈꾸었다. 모르비앙 Morbihan 만에서 자신의 레이저 요트의 큰 돛을 다듬으며 10대 시절을 보낸 그녀는 범선 지도사가 되기도 했다. 하지만 파리에 정착해 남편 브누아와 함께 일하게 되었고, 어린 시절 여름을 코트다쥐르에서 보내던 그와는 달리 클레르는 이제 남부 지방에서 살기 시작한 가족들과 더 가까워지기 바란다. 그리고 13세, 11세, 7세인 아모리, 디안, 귀스타브에게 바다에 대한 사랑을 전하고 싶어 한다. 그 기회는 마르세유에서 찾아왔다. 19세기 말에 지어진 건물의 정원이 딸린 1층에서 살게 된 것이다. 부부는 3.8m의 높은 천장과 아주 훌륭한 집 상태에 반했다.

작은 천국 같은 공간. 알코브를 마감한 파노라마 벽지는 페이퍼민트 PaperMint. AMPM의 테이블 위에 있는 머그는 굿 디자인 스토어. 카나페는 싯츠. 줄무늬 쿠션, 촛대와 초는 부샤라. 빨간 패턴이 있는 쿠션은 엘리티스. 낮은 테이블 ‘갈타 포르트’는 칸 디자인. 태피스트리는 가족 소유. 길고 낮은 수납장은 빈티지.

따뜻한 밤색. 작고 아늑한 거실이 있는 클레르의 사무 공간. 벤치 ‘요나스 Jonas’는 라 르두트 앵테리외르 La Redoute Interieurs. 쿠션은 엘리티스. 그린 컬러 테이블은 굿무드 Goodmoods × 모노프리 Monoprix, 우드 테이블은 AMPM. 의자 ‘드리앙 Drian’은 더 마지 The Masie. 플로어 램프는 페로루체 Ferroluce. 태피스트리는 AMPM.

벽에 르수르스의 파란색 페인트 ‘OROC 41 Come’로 둥글게 칠해서 주방 공간을 나누었다. 바 의자는 라 르두트 앵테리외르. 검은색 꽃병은 인디아 마다비 India Mahdavi 디자인으로 모노프리. 주전자 ‘케틀 Kettle’은 크리에이트 Create. 그릴팬은 헤이 HAY. 파란색 유리잔은 부샤라. 파란색 꽃병, 빨간색과 파란색 유리 포트와 과일 볼은 마르세유의 굿 디자인 스토어. 펜던트 조명 ‘퓌낭뷜Funambule’은 AMPM.

파노라마 벽지 ‘포레 Foret’(이지도르 르로이 Isidore Leroy)를 붙여 해변을 담은 욕실. 세면대 ‘야콥 Jacob’은 티카문 Tikamoon. 세면볼은 르로이 메를랭 Leroy Merlin. 꽃병은 아쥘. 비누 디스펜서와 욕실 태피스트리는 부샤라. 거울은 어번 아웃피터스 Outfitters. 벽등은 장그라 Zangra.

벽지 ‘비쉬 Vichy’(페이퍼민트)로 가린 세탁실 비밀의 문은 ‘이롱델 Hirondelle(제비)’(시즌 페이퍼 Season Paper) 모티브로 장식한 화장실로 이어진다. 세면대는 티카문. 거울은 벼룩시장에서 구입. 타부레 ‘피콜로 Picolo’는 인디아 마다비 디자인으로 모노프리.

침대 헤드보드와 벼룩시장에서 구입한 벽등으로 태양처럼 빛나는 부부 침실. 리넨 침대보는 키릴루스 Cyrillus. 쿠션은 엘리티스. 사이드 테이블 ‘알루에트 Alouette’는 AMPM. 꽃병은 발로리스 Vallauris. 태피스트리는 오노레 데코 Honore Deco.

파노라마 벽지 ‘페이사주 이마지네르 Paysage Imaginaire’(카젤리오 Caselio)로 휴양지 분위기를 낸 공간. 책상은 아르토 Harto. 의자는 노만 코펜하겐 Normann Copenhagen. 조명은 앤트래디션 & Tradition. 촛대와 초는 부샤라. 벽 하단 부분에 칠한 핑크색 페인트는 르수르스의 ‘Venise OROC 22’. 커튼은 라 르두트 앵테리외르.

 

CREDIT

에디터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