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수동에서 열린 ‘플라워필즈’ 워크숍은 꽃의 숨겨진 뒷모습을 발견하는 특별한 자리였다. 세 명의 글로벌 플로리스트와 함께 창의적인 시간을 보낸 3일간의 기록.

주말 아침 햇살을 듬뿍 받으며 깊은 명상에 잠겨볼 수 있었던 싱잉 볼 명상 세션.

둥글고 커다란 초록 식물을 겹겹이 쌓아 올리는 작업을 하는 퍼카 팀.

곱슬버들 나무를 다듬고 있는 린네 팀. 얇은 가지를 엮어 두 그루의 거대한 나무를 완성했다.
지난 9월 27일부터 29일까지 성수동 코사이어티에서 열린 ‘플라워필즈’ 워크숍은 마치 다른 세계에 발을 들인 듯했다. 3일간 꽃을 손에 쥐고 직접 작업해보면서 창의성과 즉흥성이 어떻게 어우러지는지 생생하게 느껴볼 수 있었던 것. 워크숍 첫날부터 마지막날까지, 전문 플로리스트와 참가자들이 각자 자유롭게 꽃을 다루며 만들어낸 대형 플라워 작업은 공간 속 생기를 불어넣었다. 무엇보다 흥미로웠던 점은 플로리스트들이 전해준 ‘꽃의 뒷모습’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었다. 우리는 흔히 꽃의 화려한 얼굴에만 주목하지만, 그 뒷모습에는 또 다른 이야기가 담겨 있었다. 잎사귀 하나 하나와 줄기의 곡선까지, 눈에 띄지 않던 섬세한 아름다움이 작업을 통해 드러났다.

초록 식물 사이 리듬감을 부여하는 핑크빛 꽃과 갈대를 꽂아 완성했다.

천장에 매달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 각목과 철망으로 형태를 잡고 있는 청록화 팀.
쎄종플레리의 임지숙 대표와 브랜딩 프로덕션 쓰쿠루가 진행한 이번 워크숍은 단순히 꽃을 배우는 시간 그 이상이었다. 흔히 가르침을 받는 ‘클래스 Class’와 달리, 창의적인 발상과 순간의 아이디어들이 자유롭게 교차하는 하나의 ‘장 Field’이었던 것. 워크숍 기간 동안 건축, 와인, 명상, 브랜딩 등 다양한 분야의 크리에이터가 이끈 8개 소규모 세션에서는 예상치 못한 영감도 선사했다. 코사이어티의 중정 가든 천장을 통해 들어오는 아침 햇살과 공간의 소리를 느끼며 자연과 교감한 싱잉볼 명상 세션, 캐주얼 와인 바 탭샵바, 칵테일 맛집 믹솔로지의 세션까지 흥미로운 시간이 이어졌다.

플라워필즈 워크숍을 이끈 쎄종플레리 임지숙 대표와 브랜딩 프로덕션 쓰쿠루.

꽃과 가지를 매만지며 세심하게 형태를 다듬고 있다

나무 기둥을 엮어 만든 기초 구조물. 가지의 방향을 살펴보며 구조를 만들어갔다.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진행할 컨셉트에 대해 논의 중인 퍼카 스튜디오 팀.
마지막 날, 참가자들이 함께 참여한 작품은 전시 공간에 공개되어 일반 관람객에게도 아름다움을 나누는 기회가 주어졌다. 그 작품들은 각각 베를린, 방콕,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글로벌 플로리스트 3명의 손길을 통해 탄생했다. 베를린의 스튜디오 린네는 이끼와 붉은 꽃무릇으로 자연의 생명력을 표현했고, 방콕의 퍼카는 볼륨감 넘치는 꽃과 풀을 통해 페르난도 보테로의 사랑을 재현했다. 서울의 청록화는 한국적 색채와 전통적인 사신의 상징을 활용해 환상적인 꽃의 세계를 그려냈다. 3일간의 플라워필즈 워크숍이 주는 의미가 더욱 특별했던 이유는 단지 꽃을 다루는 기술을 배우는 것을 넘어섰다는 것이다. 모든 참가비와 수익금은 유니세프에 기부될 예정이다. 꽃의 뒷모습처럼, 우리가 놓치고 있던 삶의 이면을 다시 돌아보게 되는 계기가 된 3일간의 여정을 카메라에 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