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예술의 시대

AI 예술의 시대

AI 예술의 시대

바야흐로 AI 시대, 예술은 더 이상 경계를 가리지 않는다. 창작의 열망을 품은 모든 이들에게 열린 무대가 펼쳐지는 지금, 예술의 미래는 과연 어디로 향할 것인가?

예술계 새로운 반향을 일으킨 제이슨 M 앨런의 < 스페이스 오페라 극장 > © Jason M Allen

실재 공간이라 착각할 정도로 정교한 생동감이 느껴지는 김헤라 작가의 작품. © 김헤라

지난해 가장 큰 변화가 있었다면 AI가 우리 삶 속으로 자연스럽게 파고든 점이다. 챗 GPT가 대중적으로 보급되었고, 일상 생활을 위한 여러 기기에 인공지능이 탑재되고 있다. 예술 창작도 예외는 아니다. 호기심 있는 사람이라면 챗 GPT에 무엇을 그려 달라는 주문도 한 번쯤 해보고, 그 결과에 놀라기도 했을 터. 바로 그렇게 만들어진 결과물을 가지고 아티스트로 데뷔하는 사례가 나타났다. 2022년 콜로라도 주립 박람회 미술대회 디지털 아트 부문에서 1등을 한 이는 <스페이스 오페라 극장> 제작자인 제이슨 M 앨런이다. 일부에서는 ‘예술의 죽음’이라며 반발했고, 심사위원은 놀랍게도 ‘미드저니’가 AI 프로그램 이름인 것을 몰랐다고 한다. 하지만 ‘창작 과정에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이미지 편집을 허용한다’고 명시했기 때문에 결과에는 변화가 없다고 밝혔다. 수상자는 프롬프트를 624회 수정하면서 많은 시간을 들였고, 미드저니로 나온 이미지를 포토샵으로 편집한 후 기가 픽셀로 마무리했다고 한다. 그러나 창작자로서 저작권을 확보하는 데는 실패했다. 미국 저작권 협회가 비인간이 제작한 작품의 저작권을 보호 대상에서 제외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작가는 이에 저항하며 소송을 계속하고 있고, 논란은 앞으로도 계속될 듯하다.

초현실주의적 상상력을 엿볼 수 있는 조앤의 AI 작품. © 조앤

AI 미드저니, 달리 등은 누구나 쓸 수 있는 열려 있는 기술이기 때문에 창작으로 보면 안 되는 걸까? 혹은 그림에 대한 상세 지시를 전하는 영역은 여전히 인간에게 남아 있다고 보아야 할까? 법정에서 논란을 검토하는 데 걸리는 수년의 시간에 비하면, 기술의 발전과 창작에 대한 열정은 놀랄 만한 속도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몇몇 뛰어난 AI 스타 아티스트들이 속속 생겨나고 있고, 그들 사이에서도 작가별 스타일이 확립되고 있다. 누구나 그릴 수 있는 그림이 아니기 때문에, 세계적인 브랜드들이 앞다투어 이들에게 제막 주문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대표적인 작가로는 한국의 김헤라(@tinkertailorart)를 손꼽을 만하다. 팔로워가 55.5만 명인 작가의 인스타그램은 꽃을 모티브로 한 작품으로 가득하다. 실제로 작가는 꽃과 인테리어를 전공한 플로리스트, 공간 디자이너, 웨딩 플래너, 브랜딩 디자이너이며, 꽃은 패션에서부터 공간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작품을 관통하는 밑바탕과 같다. 꽃으로 장식된 파리 유람선이나 고풍스러운 기차는 마치 영화에서나 볼 법한 환상적이고 몽환적인 세계로 관객을 이끈다. 그러나 이러한 예술적 배경 외에도, 서강대에서 화공생명공학과를 졸업한 공학도로서의 면모는 예술, 신화, 그리고 기술을 결합한 AI 창작에서 꽃을 피우고 있는 듯하다. 또한 상업적인 영역의 프로젝트뿐 아니라 순수미술 전시회도 병행하며 그야말로 영역과 장르를 초월한 멀티 아티스트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조앤

아르메니아 작가 조앤(@joooo.ann)은 디지털 아트 및 그래픽 디자이너로 출발해, 2022년부터 미드저니, 달리 등을 활용한 AI 창작을 시작했다. 팔로워가 33.4만 명 있는 인스타그램을 통해 이를 공개하고 있다. 작가는 주로 글로벌 명품 브랜드와 광고 협업을 이어나가고 있는데, 초현실주의 예술가들의 작품을 연상시키는 놀라운 상상력이 특징이다. 집채만큼 커진 거대한 가방, 구름 위를 거니는 듯한 건축물, 대형 공기 조형물처럼 만들어진 파리 에펠 탑 등의 이미지는 사실적인 구현으로 인해 실재 같은 착각이 들 정도다. 조앤 역시 순수미술 작가로서 NFT 아트 작품을 제작하고 있고, 게임 기획자이면서 AI 아티스트가 된 제이슨  M 앨런, 그리고 플로리스트이면서 AI 아티스트인 김헤라의 경우처럼 새로운 시대의 아티스트는 멀티 태스킹과 멀티 프로필에 능하다. 새로운 기술이 아티스트를 죽이는 것이 아니라, 마음속으로 창작에 대한 열정을 품고 있던 이들이 그것을 실현시킬 수 있는 좀 더 열린 세계가 펼쳐지는 것은 아닐까?

CREDIT

에디터

WRITER

김영애(이안아트컨설팅 대표)

TAGS
소리의 미학, Mu7 체험기

소리의 미학, Mu7 체험기

소리의 미학, Mu7 체험기

나는 헤드폰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이었다. 솔직히 말하자면, 헤드폰을 쓰고 거리를 걷는 것이 왠지 부끄럽고 부담스러웠다. MZ들의 전유물처럼 여겨지며 그들 사이에서 유행해서였을까? 그래서 항상 에어팟 같은 작고 간결한 이어폰만 고집해왔다. 하지만 불행히도, 에어팟 한쪽을 잃어버린 후 오래된 줄 이어폰을 다시 쓰면서 불편함에 진저리가 나던 그때, KEF의 Mu7을 처음 만나게 되었다. 처음 손에 쥔 Mu7은 나에게 그야말로 놀라움이었다. 디자이너 로스 러브그로브의 손길이 닿은 조각적인 디자인은 단순히 헤드폰을 넘어 하나의 예술 작품처럼 느껴졌다. 매끈하게 흐르는 듯한 곡선, 감각적인 황금비율, 그리고 전용 케이스까지. 세부 디테일마다 고급스러움이 스며 있었다. 특히 케이스에 새겨진 디자이너의 시그니처는 이 제품이 단순한 기기가 아니라 하나의 컬렉터블임을 확신하게 했다.

   

무엇보다 나를 놀라게 한 것은 그 소리였다. 베이스가 풍부한 곡을 좋아하는 나에게 Mu7은 새로운 세상을 열어주었다. 귀를 완전히 감싸는 이어컵에서 나오는 고해상도 사운드는 마치 내가 스튜디오 한가운데 서 있는 것처럼 느끼게 했다. 에어팟으로는 결코 느낄 수 없던 깊이와 디테일, 음악의 미묘한 감정까지 생생히 전해졌다. 특히 노이즈 캔슬링 기능 덕분에 주변의 소음을 잊고 음악에 몰입할 수 있었다. 그 덕에 오래된 즐겨찾기 곡조차 새롭게 들리며 음악에 빠져드는 시간이 더욱 짜릿해졌다. 또한, 메모리폼 이어쿠션과 인체 공학적 디자인으로 장시간 착용에도 불편함 없이 음악 감상을 즐길 수 있었다. 이동 중에도, 집에서도 함께하며 일상 필수품이 되어버린 Mu7. 헤드폰에 대한 편견을 깨뜨린 Mu7이 앞으로도 더 많은 음악 애호가들의 손에 쥐어지기 바란다. WEB kr.kef.com

CREDIT

에디터

TAGS
The Age of Dreamers

The Age of Dreamers

The Age of Dreamers

전통적인 기법에서 탈피해 예술적 자유에 대한 꿈을 꾸던 모더니즘 예술가들의 황금기, 1900년대 비엔나에 대한 이야기.

<수풀 속 여인>, 구스타프 클림트, 1898년경, 캔버스에 유화, 32.4 × 24.0cm.

<원탁, 제49회 비엔나 분리파 전시회 포스터>, 에곤 실레, 1918년, 종이에 석판화, 67.4 × 53.3cm, 개인 소장.

구스타프 클림트에서 에곤 실레까지, 모더니즘 예술가들이 활동하던 1900년대의 비엔나는 당대 유럽의 예술과 문화의 중심지로 통했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로 넘어가는 전환기, 과거 합스부르크 왕가 시절의 문화 부흥기를 회복하기 위한 프란츠 요제프 1세 황제가 이룬 노력의 결실이었다. 그가 명령한 ‘비엔나 대도시 확장 프로젝트’는 아티스트들에게 기존 예술의 틀을 깨고 실험과 도전정신을 부추기는 도화선이 되었고, 그 덕분에 비엔나는 세기가 전환하는 짧은 시기에 예술적 혁신의 중심이 될 수 있었다. ‘황금의 화가’로만 알려진 구스타프 클림트가 당대 비엔나 예술가들의 구심점이 되어 혁신가와 같은 면모를 보인 것도 이때였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진행 중인 <비엔나 1900, 꿈꾸는 예술가들>은 변화의 시기 비엔나를 무대로 해 자유와 변화를 꿈꾸던 예술가들을 소개하며, 당시 비엔나가 지니는 문화사적 의미를 재조명한다.

<제14회 비엔나 분리파 전시회 포스터>, 알프레트 롤러, 1902년, 종이에 다색 석판화, 203.8 × 80.3cm.

전시 작품은 오스트리아 모더니즘 미술의 애호가 루돌프 레오폴트와 엘리자베트 레오폴트의 컬렉션을 바탕으로 설립된 레오폴트미술관의 소장품들로 구성됐다. 프롤로그와 에필로그 외에 총 5부로 구성된 전시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프롤로그부터 3부까지는 구스타프 클림트와 전통적인 아카데미의 보수성에서 탈피해 새로운 예술적 형식을 찾고자 한, 비엔나 분리파의 이야기를 다룬다. 4부와 5부는 에곤 실레로 대표되는 젊은 예술가들의 표현주의적 경향과 특징을 살펴본다. 에곤 실레의 대표작 <꽈리 열매가 있는 자화상>은 5부 전시장에 마련되어 있다.

<블타바강 가의 크루마우 (작은 마을 IV)>, 에곤 실레, 1914년, 캔버스에 유화, 검은 분필, 99.5 ×120.5cm.

<꽈리 열매가 있는 자화상>, 에곤 실레, 1912년, 패널에 유화 및 불투명 채색, 32.2 × 39.8㎝.

전통적인 아카데미 화법을 구사하던 클림트가 인물화에 다양한 구도를 실험하고 인상주의 같은 유럽 미술 기법을 수용하려 하지 않았다면, 비엔나 모더니즘 예술의 토대는 처음부터 마련되지 않았을 것이다. 전시명에 쓰인 ‘꿈꾸는 예술가들’은 그의 영향 덕에 예술적 자유에 대해 사유하고,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예술로 표현한 당대 미술인을 표현하는 수식어가 되어 그들의 업적과 고뇌를 더욱 빛나게 한다. 전시는 3월 3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실1에서 만나볼 수 있다.

자료제공: 국립중앙박물관, 비엔나 클림트 재단, 레오폴트 미술관

 

CREDIT

에디터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