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디자인 스튜디오가 설계한 바다 위의 집.

45m 길이의 전통 피니시 요트 셀레스티아. 수공예로 제작된 갑판 위로 인도네시아 군도의 푸른 바다가 펼쳐진다.

오너 스위트에 마련된 프라이빗 테라스. 수평선 위의 바람과 햇살을 오롯이 누릴 수 있는 독립된 공간이다.

항해를 마친 돛의 우아한 실루엣이 돋보인다. © Ayub Ardiyono

카라라 대리석과 브라스 하드웨어로 마감된 욕실. © Ayub Ardiyono

덕스에그 블루, 라탄, 리넨이 어우러진 마스터 침실.
오리엔트의 낭만, 디어드리 레니어스 스튜디오
정박하지 않는 집, 그리고 수평선으로 향하는 항해. 셀레스티아 Celestia는 2023년 5월 인도네시아 바다 위에서 출항을 알린 45m 길이의 피니시 요트다. 라자 암팟, 코모도, 스파이스 제도 등 인도네시아 군도의 가장 경이로운 수역을 항해하기 위해 태어난 이 선박은 유네스코가 보호하는 전통 방식으로 수작업 제작되었으며, 디자인 역시 그 유산에 감각을 더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인테리어는 싱가포르 기반의 스튜디오 디어드리 레니어 Deirdre Renniers와 해양 엔지니어 트레스노 시어리 Tresno Seery가 인도네시아 뿌리를 기반으로, 뉴욕과 자카르타에서 받은 영감, 그리고 고전적 미감을 담아 완성했다. 전체 팔레트는 바다와 하늘이 만나는 인도네시아 자연에서 착안했다. 덕스에그 블루(연청록), 화이트 리넨, 브라스 하드웨어, 카라라 대리석, 그리고 현지 제작 라탄과 세라믹이 조화를 이룬다. 각 스위트에는 데이베드가 놓인 프라이빗 테라스와 탁 트인 바다 전망을 감상할 수 있는 넓은 책상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천문학, 시, 패션, 비즈니스 등 오너의 취향에 따라 큐레이션된 다양한 장르의 책들이 비치되어 있어, 시를 읽거나 라운지 체어에 앉아 독서를 즐기기에도 좋다. 프라이빗 전세 전용으로 운항되는 셀레스티아는 문명의 경계에 잠시 머무는 듯한 감각적인 경험을 선사한다.

바다와 가장 가까운 라운지 공간. 목재 데크와 곡선형 가구가 자연과 조화를 이룬다. © Eric Laignel

주앙 만쿠 특유의 유기적 흐름이 외관에도 반영됐다. © Giuliano Sargentini

상공에서 내려다본 켄쇼의 전경. © Eric Laignel
떠다니는 삶의 건축, 주앙 만쿠 스튜디오
바다 위에 집을 짓는다면,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것은 무엇일까? 디자이너 패트릭 주앙과 산짓 만쿠는 이 질문에 대한 전혀 새로운 해답을 제시했다. 이탈리아 비아레조의 애드미럴 조선소에서 완성된 요트 켄쇼 Kensh 는 전통적인 해양 건축의 위계를 거부하고, 유기적인 흐름과 감각적 디테일로 ‘바다 위에서의 주거’를 재정의한다. 일본어로 ‘통찰’을 의미하는 이름처럼, 이 요트는 야심 찬 비전을 가진 한 오너로부터 의뢰를 받아 시작되었다. 그는 기능에 치우친 요트의 전형에서 벗어나 예술, 건축, 기술이 복합적으로 공존하는 요트를 원했다. 주앙 만쿠 스튜디오는 이를 위해 공간 간 구획을 흐트러뜨리고, 천장고를 최소 2.7m 이상 높였으며, 조타실은 시야를 고려해 낮게 배치했다. 마스터 스위트는 4개 공간으로 나뉘며, 사용에 따라 유연하게 연결되고 또 독립된다. 내부는 조형적인 욕실, 황동 파티나 도어, 산호 모티프의 맞춤형 핸들, 티크 마루와 스모키한 코냑 컬러 가죽, 아티스트들과 협업한 패널로 감싼 벽면 등 다채로운 감각이 레이어링되어 있다. 태양과 파도의 이미지를 반영한 백라이트 글라스 패널은 일본 전통 종이 건축을 연상케 하는 오너의 거실을 완성하며, 복도와 침실 헤드보드, 욕실 등에는 이국적인 새와 꽃을 연상시키는 예술 작품이 배치되어 있다. 목재를 굽히고, 실크를 엮고, 유리를 불고 주조하며, 진줏빛 엘리베이터 버튼까지 제작한 이 프로젝트는 시간과 감각을 포괄하는 하나의 ‘움직이는 시퀀스’로 존재한다.

파도처럼 흐르는 천장의 패턴이 인상적인 메인 라운지. © Eric Laignel

벽을 감싸는 커브형 소파와 아트워크 선반, 조명과 조형미가 어우러진다. © Eric Laignel

낮게 배치된 조타실은 전방 시야를 고려해 설계한 것. © Eric Laignel

회화적인 벽과 창밖의 바다 풍경이 어우러진 또 하나의 살롱 공간. © Eric Laignel

일본 병풍화에서 영감을 받은 벽화가 이국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 © Eric Laignel

태양과 구름, 바다를 모티프로 한 백라이트 아트 패널. © Eric Laignel

저녁 햇살과 함께 머무는 외부 라운지. 유기적 곡선이 휴식의 밀도를 더한다.

요트 앞머리에 위치한 데이베드 공간. 책을 읽고 햇살을 즐기기에 완벽한 자리다.

지붕 아래 펼쳐진 원형 테이블과 티크 의자.

메인 살롱 공간. 이동 가능한 소파와 낮은 테이블이 다양한 장면을 연출한다.

베이지와 블루 톤이 어우러진 오너 스위트.
파도 위의 구조, 파트리시아 우르퀴올라
책을 읽고, 낮잠을 자고, 초대받은 손님과 함께 바다를 바라보며 식사하는 하루. 바다 위에서 보내는 시간은 육지보다 느리고 깊다. 이탈리아 럭셔리 요트 브랜드 산로렌조 San Lorenzo의 SD90은 그러한 리듬을 위한 구조다. 2022년 칸 요팅 페스티벌에서 첫선을 보인 이 요트는 세미 디스플레이스먼트 구조로 제작되었으며, 전체 길이 약 28m의 선체 안에 건축, 기술, 감성이 균형을 이룬다. 디자인은 바다를 이해하는 이들 간의 협업으로 완성되었다. 외관은 주콘 인터내셔널 프로젝트가, 선체 설계는 필립 브리앙이, 내부는 파트리시아 우르퀴올라가 맡았다. 우르퀴올라는 이 안에서 고정된 ‘방’의 개념을 해체하고, 움직이는 삶에 맞춘 유연한 구조를 짜넣었다. 가장 인상적인 곳은 메인 데크의 살롱.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과 편안한 소파 등 대형 요트에서 주로 볼 수 있는 요소가 적용되었으며, 하부 데크의 라운지는 필요에 따라 프라이빗 침실로 전환된다. 고정 창과 완전 개방이 가능한 대형 창, 비스듬한 슬랫이 깔린 비대칭 마루 바닥은 살롱과 조종실을 자연스럽게 연결하고, 천장에는 어망 패턴에서 착안한 마이크로 디테일이 반사광을 따라 물결처럼 흐른다.

알루미늄 선체로 완성된 SL44. © Guillaume Plisson

선체를 가로지르는 수평 창과 미니멀한 데크가 실내외를 자연스럽게 연결한다.

셀라돈 그린 톤과 실버 패널이 어우러진 라운지. 은은한 조도 속 절제된 우아함이 흐른다.

360도 시야를 확보한 중앙 라운지. 프러시안 블루와 어두운 목재가 깊이를 만든다.

삼단 구조의 데크는 낮과 밤, 모두를 위한 조형적 구성이 돋보인다. © Guillaume Plisson
유혹의 선상, 기욤 롤랑
프랑스 가구 브랜드 리에거가 디자인한 SL44는 정박하지 않는 욕망의 공간이다. 전체 길이 44.5m, 전면 알루미늄 구조로 제작된 이 슈퍼 요트는 바다를 사랑하는 오너가 아시아적 미감과 프렌치 감성을 담은 프로젝트다. 인테리어 디자인은 리에거의 요트 디자인 스튜디오를 이끄는 기욤 롤랑이 맡았다. 날카로운 각 없이 곡선과 둥근 선으로 구성된 점이 특징. 오너 스위트는 총 3개 층으로 나뉘며, 실내외를 오가며 경계 없는 휴식을 제공한다. 특히 제한된 소재를 선택해 일관된 미감을 완성하는 데 집중했다. 목재, 석재, 가죽이 주 소재로 사용되었으며 다크 & 라이트 우드 톤을 중심으로 조종실에는 프러시안 블루, 다이닝에는 가넷 컬러 가죽, 스모킹 라운지에서는 셀라돈 그린과 그린 오닉스 바가 조화를 이룬다. 아시아적 미감과 프랑스식 우아함의 조우는 문틀의 너비 변화와 같은 미묘한 디테일에서 드러난다. 거실의 크리스털 테라리움 안에는 분재에서 영감을 받은 나무가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된 목재는 아시아의 간결함과 프랑스 18세기 목공예 전통을 연상시킨다. 바니시 처리된 유칼립투스와 밝은 엘름 소재가 그예다. 낮에는 밝고 경쾌한 공간이, 밤에는 어두운 조명 아래 파티가 가능한 공간으로 전환되며 선베드, 수영장, 바다와 맞닿은 비치 클럽까지, 이 슈퍼 요트는 진정한 ‘휴식’과 ‘삶의 예술’을 구현한다.

곡선을 따라 흐르는 유기적 계단.

원목으로 통일감을 준 주방과 욕실.

데크 끝에 마련된 반원형 라운지. 바다와 완벽히 수평을 이룬다.

SL44의 전체적 형태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항공 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