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속 유물

일상 속 유물

일상 속 유물

아프리카와 아시아, 유물과 일상, 감각과 실용의 경계에서 태어나는 굼바포터리의 도자기.

굼바포터리만의 개성이 깃든 백자 시리즈 오브제와 컵.

마치 오랜 시간을 품은 유물 같은 굼바포터리의 도자기. 하지만 그 유물은 장식장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토분에서 식기, 오브제까지 삶의 다양한 풍경 속에서 존재한다. 투박하고 매트한 질감 위에 단순한 선이 얹히고, 이국적인 패턴은 과거와 현재,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경계를 유영한다. 이 낯익으면서도 낯선 조형물을 만드는 이들은 남매 도예가 박금주, 박동훈. 2021년부터 굼바포터리를 함께 이끌고 있다. 누나는 도자와 텍스타일을 전공해 도자 디자인과 패턴 작업에 능했고, 동생은 영상 기획과 가구 제작을 경험해 구조적인 형태감과 콘텐츠 기획력에 강점을 지닌다. 서로 다른 두 배경은 작업 과정 안에서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루고, 도자기 안팎을 매만지는 방식에도 각자의 리듬이 스며든다. 손으로 흙을 다루는 물레 성형과 분장 장식은 박금주 작가가, 정형과 소성, 유약 작업은 박동훈 작가가 이어받아 작업을 완성한다. 그 과정에서 두 사람의 시선과 취향은 교차하며 굼바포터리만의 유니크한 조형 언어를 만든다. 굼바포터리의 작업은 아프리칸 스타일에서 출발한다. 고대 유물의 자연스러운 질감과 미학을 단순히 전통적인 재현보다는 유럽이나 프랑스에서 재해석된 공예품으로 다가간다. 이국적인 무늬와 형태, 동시에 도회적이고 정제된 실루엣. 그 안에는 정교한 패턴과 그림이 담겨 있는데, 이집트 벽화 같지만 알고 보면 귀여운 고양이의 모습이라든지, 빈티지 카툰에서 영감을 얻은 곰의 모습 등에서 굼바포터리만의 유머를 찾을 수 있다. 이처럼 박금주 작가는 일상이나 여행지에서 보고 느낀 자연에서 패턴을 발견하고 자신만의 해석을 더한다. “나뭇가지 사이로 스며드는 빛이라든지, 바위 사이를 흐르는 물의 선에서 궤적을 따라 도식화된 패턴을 찾는 제 모습을 발견하곤 해요.” 그녀가 자주 쓰는 문양 중 물고기와 새는, 조선 분청사기나 민화 속에서 자주 등장하는 모티프다. “국립중앙박물관을 자주 찾아요. 고려청자같이 오래된 유물에 꽂히면 그것을 모티프랑 시리즈를 만들기도 해요. 전통 문양을 그대로 따오기보다는, 우리만의 방식으로 다시 그리려고 해요. 도자기마다 조금씩 다르고, 그게 또 우리 작업의 재미 같아요.” 최근에는 작업 방식에도 변화가 생겼다. 본래는 흙물을 직접 짜서 선을 만드는 트레일러 방식이 중심이었지만, 최근에는 안료를 직접 붓으로 칠하는 회화적인 기법으로 확장하고 있다. 더 섬세하고, 더 직관적인 표현을 위한 시도다.

작업을 위한 다양한 패턴 드로잉으로 가득찬 작업실 벽면.

초벌 후 건조 중인 작업대 선반. 전통 분청에 빈티지 카툰의 상상력을 더한 신작 시리즈다.

식물을 좋아해 토분 제작으로 작업을 시작한 굼바포터리. 작업실 안은 크고 작은 식물들로 가득하다.

굼바포터리에서 함께 작업하는 남매 도예가 박금주, 박동훈.

초기에는 식물을 위한 토분 제작이 중심이었다면, 최근에는 컵과 그릇 등 식기로 작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조명, 패브릭 등 라이프스타일 전반으로 확장할 수 있는 여지도 열어두고 있다. 하지만 그 확장은 무분별한 외연 넓히기가 아니라, ‘완성도’라는 기준 안에서 천천히 만들어가는 진화에 가깝다. “식물을 좋아해서 토분을 만들었고, 쓰임이 넓어지면서 컵이나 그릇 등 식기 작업에 도전하게 되었어요. 과거의 경험을 살려 앞으로 패브릭 작업도 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그저 새로운 걸 시도하는 게 아니라, 오래 보고 쓸 수 있는 형태를 만들고 싶어요.” 여러 문명의 기억이 겹쳐진 하나의 토기처럼, 굼바포터리의 도자기는 낯설고도 익숙한 감각으로 다가온다. 비워낸 자리에 천천히 채워지는 시간, 그 속에서 도자기는 삶과 나란히 놓이는 조용한 조각이 된다.

SPECIAL GIFT
박금주, 박동훈 작가에게 증정한 설화수 상백 선케어 라인. 12시간 동안 촉촉함이 지속되는 수분 밀착 선크림으로, 강력한 5중 방어막이 피부 밖에서는 유해 환경을 차단하고, 피부 속은 하루 종일 촉촉하게 유지해 매일 사용하기에 안성맞춤이다. 왼쪽부터 순서대로 상백선플루이드 50mL 6만원, 상백톤업선크림 50mL 9만원, 상백선크림 50mL 9만원.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차가연

TAGS
집이라는 우주

집이라는 우주

집이라는 우주

몰테니앤씨의 아트 디렉터 건축가 빈센트 반 듀이센이 만든 팔라초 몰테니. 단순한 쇼룸이 아닌
건축과 인테리어, 가구와 예술적 감각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공간을 소개한다.

신고전주의 양식의 미감이 돋보이는 팔라초 몰테니 외관.

중정의 유리 지붕 아래 자리한 우아한 미감의 몰테니앤씨 가구.

밀라노 스칼라 광장에서 단 몇 걸음 떨어진 만조니 거리 9번지, 도시의 역사가 살아 숨쉬는 이곳에 몰테니앤씨가 새로운 거점 ‘팔라초 몰테니’를 열었다. 신고전주의적 골격 위에 부드러운 곡선과 장식이 더해진 이 건물은, 이탈리아식 아르누보로 불리는 ‘리버티 스타일’의 정수를 담고 있다. 마치 한 편의 시처럼 도시의 시간을 품은 이 팔라초는, 예술가의 집처럼 방문자를 맞이한다. 19세기 후반, 이곳은 밀라노의 저명한 기업가이자 자선가인 프로스페로 모이제 로리아의 개인 저택이었다. 이후 여러 차례 리노베이션을 거친 이 건물은 1922년 건축가 주세페 멘타스티와 스테파노 리소니의 손길을 통해 오늘날의 아름다움을 갖추었다. 절제된 고전미와 화려한 장식이 공존하는 외관은, 이후 보수 작업과 공간 확장을 통해 고전과 현대가 절묘하게 어우러지는 현재 모습으로 완성됐다.

몰테니앤씨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빈센트 반 듀이센은 이곳을 ‘집의 우주’라 표현하며 총 7개 층, 3000㎡ 규모의 공간을 감각적인 여정으로 설계했다. 각 층은 저마다 다른 이야기와 분위기를 품은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밀라노’, ‘피로스카포’, ‘파피로’, ‘지오폰티 아카이브’, ‘몽크’ 등이라고 방마다 이름을 붙인 것은 브랜드와 함께 디자인 여정을 걸어온 건축가와 디자이너들에게 바치는 헌정이자 기록이다. 이 공간은 방문자를 쇼핑객이 아닌 탐험가로 이끈다. 고전적인 피아노 노빌레의 응접실과 프라이빗한 통로, 예상치 못한 야외 테라스와 옥상 정원까지 이어지는 동선은 밀라노 건축의 내밀하고 세밀한 특성을 그대로 반영한다. 깊숙이 들어갈수록 도시 풍경이 서서히 펼쳐지며, 특히 상층에서는 밀라노를 새로운 시선으로 조망 할 수 있다. 중정 위로는 커다란 유리 지붕으로 덮여 있어 자연광이 부드럽게 흘러 들고, 그 아래 펼쳐진 공간은 미니멀하면서도 세밀하게 구성되었다. 곡선과 기하학적 패턴이 천장에서부터 바닥을 잇는 구조 안에서, 소재와 디테일은 절제된 조화를 이룬다. 중심에는 빈센트 반 듀이센이 디자인한 아우구스토 소파가 기념비적으로 자리해, 집의 편안함과 정제된 미감을 동시에 보여준다. 특히 오목한 천장은 르네상스 시대부터 이어져온 전통 장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것으로서, 내부 곳곳에 반복되는 기하학적 모티프와 함께 공간을 하나의 통합된 예술로 완성한다. 그린 대리석, 커피색 오크 패널, 트라버틴 석재와 석고 벽면의 대비가 시각적인 깊이를 더한다. 그리고 다양한 재료의 질감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공간에 고유한 울림을 부여한다. 빈센트 반 듀이센은 “팔라초 몰테니는 밀라노의 정수를 담은 공간이자, 감각과 놀라움이 깃든 ‘집의 우주’”라고 말한다. 과거와 현재, 내밀함과 개방성, 고전과 현대가 공존하는 이곳은 예술가의 집처럼 언제든 재해석될 수 있는 유연함을 품고 있다. 시간이 스며든 공간, 가능성이 머무는 집. 팔라초 몰테니는 그렇게 오늘의 밀라노를 품고 있다.

격자무늬의 오목한 천장은 르네상스 시절의 전통 장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것.

대리석과 우드 등 물성의 조화와 구조적인 건축미가 돋보이는 팔라초 몰테니 입구와 계단.

크리스토프 델쿠르가 디자인한 에밀 소파와 마일리스 커피 테이블.

곡선형 팔걸이가 아름다운 리아 암체어.

글리스 마스터 옷장 시스템 유닛으로 구성된 공간.

유리 천장의 환한 자연광 아래 자리한 컨티뉴엄 D.163.7 암체어.

프레임 너머 안쪽 공간에 놓인 듀 포리에 D.157.6 소파는 지오 폰티 디자인.

세련된 실루엣과 비건 가죽 마감의 데스크 아리아. 의자는 몽크 체어.

커다란 아치형 창문 너머로 고전적인 건물 외관이 비친다. 중정의 유리 천장을 통해 외관이 반사되는 드라마틱한 장면을 마주할 수 있다.

선명한 오렌지 컬러의 테이블 마테오는 빈센트 반 듀이센 디자인, 함께 배치한 포르타 볼타 체어는 헤르조그 & 드 뫼롱 디자인.

CREDIT

에디터

TAGS
Mood for Summer

Mood for Summer

Mood for Summer

시원하고 쾌적한 여름나기를 위한 공간별 리빙 아이템과 여름철 필수 가전 모음.

노르딕 노츠 nordicknots.com 놀 knoll.com 다이슨 dyson.co.kr 루이제 로이 louise-roe.com LG전자 lge.co.kr 발뮤다 balmuda.co.kr 삼성전자 samsung.com 아도르노(셉 베르붐) adorno.com

LIVING ROOM
1 셉 베르붐 Sep Verboom, 팬 램프 Fan Lamp 폐기된 금속 선풍기 프레임을 재활용해 만든 펜던트 조명. 필리핀 세부의 지역 장인들이 전통 기법으로 엮은 라탄을 조합해 따뜻한 자연미와 지역 문화의 연결성을 더했다.

2 삼성전자, 비스포크 AI 무풍콤보 갤러리 에어컨 사용자의 생활 패턴과 사용 시간, 날씨와 냉방 공간 면적까지 분석하는 냉방과 공기청정 기능을 갖춘 AI 에어컨.

3 발뮤다 Balmuda, 그린팬 S GreenFan S 이중 날개 구조로 바람이 일반 선풍기에 비해 4배 넓게 퍼지며, 조용하고 부드러워 가정용으로 사용하기 제격이다.

4 놀 Knoll, 플래트너 스툴 Platner Stool 곡선 스틸 로드를 원형 프레임에 용접해 구조와 장식을 겸비한 모던 클래식 체어.

5 루이제 로이 Louise Roe, 펑키 라운지 테이블 스퀘어 Funki Lounge Table Square 기능주의와 브루탈리즘이 만난 조각 같은 디자인으로서 라운지 테이블, 의자, 협탁 등 다목적 활용이 가능하다. 수작업 용접과 실외 사용이 가능한 마감으로 실용성과 미학을 동시에 갖췄다.

6 LG전자, 2025 뉴 스타일러 여름 땀냄새를 포함한 생활 속 악취원을 99% 이상 탈취해주는 동시에 내부 제습 기능으로 의류를 쾌적하게 유지시켜주는 여름철 필수 아이템.

7 다이슨 Dyson, 쿨 공기청정기 실내 공기 정화와 쿨링 기능을 동시에 갖춰 가정 내 환경을 쾌적하고 시원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공기청정기.

8 노르딕 노츠 Nordic Knots, 주트 보더 Jute Border 불규칙한 브라운 멜란지 텍스처가 자연미를 강조하는 모던 러스틱 스타일의 러그. 천연 식물 섬유를 전통 방식으로 직조해 완성한 것이 특징이다.

구비 gubi.com 보국전자 bokukmall.co.kr 아도르노(304.케이지) adorno.com 아르떼미데 artemide.com 트랜스페어런트 transpa.rent 피에르 프레이 pierrefrey.com

HOME OFFICE
1 아르떼미데 Artemide, 인터노드 Internode 대나무 합판 프레임과 무스프링 조인트 구조로 유연한 움직임과 균형을 구현한 친환경 조명.

2 다이슨, 빅+콰이엇 포름알데히드 공기청정기 원뿔형 공기역학 설계로 10m 이상 도달할 수 있는 고속 강풍을 생성하는 것이 특징이며, 바람 각도는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3 트랜스페어런트 Transparent, 트랜스페어런트 스피커 Transparent Speaker 알루미늄과 강화유리로 제작된 블루투스 스피커. 강력하면서도 균형 잡힌 사운드를 공간에 채우며, 투명한 몸체는 공간에 개방감을 부여한다.

4 보국전자, 제습기 BKD-1123B 습한 장마철에 자주 사용해도 전기요금 걱정 없는 대용량의 에너지효율 1등급 제품으로서, 집 안의 습도를 원하는 습도로 맞춰주며 쾌적한 공간을 연출한다.

5 구비 Gubi, TS 데스크 슬렌더한 메탈 다리와 대리석 상판의 대비가 돋보이는 미니멀한 책상. 코펜하겐의 레스토랑 ‘더 스탠다드’에서 영감을 받아, 정제된 디자인과 장인정신을 담아냈다.

6 피에르 프레이 Pierre Frey, 옵시디엔느 Obsidienne 미국 작가 헤더 촌토스의 추상 작품을 수공예 러그로 재해석한 러그. 리넨 바탕 위 실크 벨벳 파일로 표현된 역동적 제스처와 그래픽적 균형을 갖췄다.

7 304.케이지 304.cage, 스테인리스 스틸 북쉘프 레이저 커팅 후 절곡한 두 장의 스테인리스 스틸을 연결한 책장. 벽에 기울여두는 것을 권장하지만, 설치 방식에 따라 맞춤 조정도 가능하다.

미닉스 minix.life 에이치픽스(텍타) hpix.co.kr 유라 kr.jura.com 배럴12 barrel12.com 옛 디자인 스튜디오yetdesignstudio.com

KITCHEN
1 미닉스, 음식물 처리기 더 플렌더 프로 여름철 악취 주범인 음식물 냄새를 해결해줄 음식물 처리기. 유해균 박멸로 위생까지 케어 가능한 동시에 음소거 처리 기능을 업그레이드해 아기가 있는 가정에서도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다.

2 LG전자, LG 퓨리케어 오브제컬렉션 얼음정수기 생성된 얼음을 냉동 보관해 더욱 단단하고 깨끗하게 제공하며, 물의 온도와 용량을 세밀하게 맞추는 ‘맞춤 출수’ 기능과 위생 살균 시스템을 갖췄다.

3 유라 Jura, E8 G3 커피머신 신형 아로마 그라인더와 자동 디커플링 시스템으로 풍미와 내구성을 높인 것이 특징. 아이스 아메리카노부터 플랫 화이트까지 원터치로 즐기는 여름 홈카페를 완성해준다.

4 옛 디자인 스튜디오 Yet Design Studio, 필라 바 스툴 Pillar Bar Stool 메탈 퓨전 디테일이 돋보이는 견고한 구조의 바 스툴로, 바나 키친 카운터에 적합하다.

5 배럴 12 Barrel 12, 컬러드 배럴 싱크 Colored Barrel Sink 폐산업용 통을 업사이클링해 제작한 싱크 캐비닛. 측면 도어로 배관 연결과 수납이 가능하며, 컬러풀한 디자인으로 공간에 생기를 더한다.

6 샤크 닌자 Shark Ninja, 크리미 아이스크림 메이커 NC300KR 얼린 재료를 부드럽고 크리미한 질감으로 만들어주는 기술로 아이스크림부터 셔벗, 밀크셰이크 등 여름철 시원한 맛을 풍부하게 즐길 수 있게 해준다.

7 텍타 Tecta, K22L 모빌 테이블 속 빈 강철관과 컬러 도장된 물푸레나무 원목 상판의 조합으로 바우하우스 정신을 계승한 사이드 테이블. 높이 조절이 가능해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8 노르딕 노츠, 셔츠 스트라이프 Shirt Stripe 햇빛에 바랜 듯한 블루&화이트 스트라이프가 해안가 별장을 연상케 하는 내추럴한 플랫위브 러그.

마이알레(호스) myallee.co.kr 비토시 세라믹 bitossiceramiche.it 아도르노(마마 에디치오니) adorno.com 웰핀 smartstore.naver.com/welfinofficial 죠르제띠 giorgettimeda.com 콘타르디 contardi-italia.com

GARDEN
1 콘타르디 Contardi, 블룸 Bloom 카라 꽃에서 영감을 받은 유기적 디자인과 실리콘 디퓨저가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공간에 부드러운 빛과 시적 분위기를 더하는 조명. 뛰어난 내후성을 갖춰 야외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피에르 프레이, 트라일라쥬 Treillage 미국 동부 해안의 정원 문화에서 영감을 받아 탄생한 야외용 패브릭 러그. 생기 있는 컬러와 클래식한 메시 텍스처가 어우러져 세련된 공간을 연출해준다.

3 마마 에디치오니 M’ama Edizioni, 발레리나 라 쿠치나 싱크 Ballerina La Cucina Sink 스테인리스 소재의 원형 아일랜드에 커튼 스커트를 더해 발레리나를 연상시키는 유쾌한 싱크 테이블.

4 비토시 세라믹 Bitossi Ceramiche, 크로세 그란데 Croce Grande 화이트 클레이에 핑크, 옐로, 그린 유약을 입힌 수작업 세라믹 화병은 특유의 조형미와 컬러감이 돋보인다.

5 호스 HAWS, 더 페이즐리 플로우 The Fazeley Flow 물을 가득 채워도 한 손으로 들 수 있을 정도로 가벼운 무게를 자랑하는 물조리개. 정원에 두는 것만으로도 인테리어를 한층 돋보이게 해주는 오브제로 작용한다.

6 샤크 닌자, 플렉스브리즈 Flexbreeze 스탠드형과 탁상형으로 자유롭게 변환 가능하며, 유선과 무선 기능을 모두 갖춰 실내외 어디서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올인원 무선 선풍기.

7 죠르제띠 Giorgetti, 무레아 Moorea 테이블&체어 용암석과 재활용 유리 파우더로 완성된 상판이 독특한 빛을 반사하는 아웃도어 컬렉션. 조각 같은 다리와 방수 기능, 견고한 스틸 프레임으로 실용성과 미학을 모두 갖췄다.

8 웰핀, 터프라이트 벌레퇴치기 폭우에도 끄떡없는 완전 방수 설계로 제작된 것이 특징이며, 나방이나 모기 등이 닿는 순간 즉각 퇴치 가능한 아웃도어 벌레퇴치기.

CREDIT

에디터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