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 하나씩 흙을 붙이며, 형태보다 시간을 쌓아가는 도예가. 이스트스모크 조희진 작가는 이 느린 과정을 통해 매일의 감정을 기록한다.

모자이크 연작부터 최근 선보인 평면 작업까지, 그간의 작품들을 모아둔 작업실 선반.
점 하나, 점 하나. 알알이 흙을 이어 붙이는 손끝에서 하루하루가 겹겹이 쌓인다. 도예 작업실 이스트스모크를 운영하는 조희진 작가의 작업은 형태보다 과정을 향한다. 도자기라는 전통적인 매체를 다루지만, 그가 이야기하는 것은 흙의 물성도 기능성도 아니다. “살아가는 방식이 매일 다르고, 순간순간의 감정이 다르잖아요. 그게 모여서 하나를 이루고 계속 변화한다고 생각해요.” 작가는 손에 잡히지 않는 흐름을 흙 위에 새긴다. 점을 붙이고, 또 하나의 점을 더하며 그는 자신의 마음을 따라 손을 움직인다. 매일을 기록하듯 작업하고, 그 안에 담긴마음을 조용히 응시하는 것. 흙은 그렇게 하루를 담는 그릇이 된다. 이어 붙이는 행위는 명상에 가깝다. 작가는 작업 도중 쓰는 흙물이나 접착제를 쓰지 않고, 흙 본연의 수분만으로 점을 이어 붙인다. 그래서 더 쉽게 갈라지고, 실패하고, 매번 처음처럼 다시 시작해야 한다. “흙 상태도 매일매일 다르거든요. 그래서 늘 낯선 마음으로, 초심으로 작업하게 돼요.” 도공이라는 이름보다는, 흙과 대화하는 사람, 혹은 연결을 시도하는 사람이라는 표현이 더 가까울지도 모르겠다. 결과보다 과정에 집중하고, 형태보다 감정의 연속성에 귀를 기울인다. 찻잔, 작은 접시 같은 일상 기물을 주로 다루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어 붙이는 작업은 한 번에 완성해야 하니까, 큰 작업은 너무 무리가 되더라고요. 어느 순간부터 ‘왜 이렇게까지 해야 하지’ 싶은 마음이 들었고요. 작은 작업이 제 리듬과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에는 더 잘 맞더라고요.”

하나하나 흙 점을 이어 붙여 손자국이 고스란히 남아 있다.

갤러리 어피스어피스에서 선보인 평면 작업 ‘하나로부터’ 에디션.
그의 작업에는 평면과 입체를 넘나드는 탐구도 이어진다. 갤러리 어피스어피스와 함께한 개인전 <있는 그대로 보기: 평면에 누워>에서는 점들을 바닥에 눕히듯 붙이며 평면 작업을 선보였다. “입체 작업은 흙을 붙일 때 눈으로 먼저 가늠하고 손이 따라가야 해요. 그런데 평면에서는 오히려 손이 먼저 움직이더라고요.” 통제가 아닌 우연에서 비롯된 자유. 점과 점은 서로 기대지 않고도 연결되며, 그 안에서 새로운 질서가 자연스레 생겨났다. “가마에서 꺼냈을 때 연결이 끊어진 부분들을 보고 처음엔 불편했어요. 근데 다시 보니까 그게 하나의 조각이더라고요. 형태를 만들 때 늘 생각해요. 어떤 영역이 나뉘어야, 또 합해질 수 있다고. 그게 삶 같기도 해요.”

섬세한 도자 작업을 선보이는 조희진 작가.

관람객이 흙을 만져보고 느낄 수 있도록 만든 바둑판과 바둑돌.

작은 찻잔부터 유기적 형태의 커다란 오브제까지 다양한 작업을 선보이고 있다.
작업을 공간이라고 말하는 작가는, 그것이 누군가에게는 조화로운 쓰임의 여백이 되기 바란다. 그 바람은 브랜드 협업에서도 이어진다. 논픽션, 로파서울 등 다양한 브랜드와의 협업을 통해 그는 늘 조금씩 다른 표정을 지닌 기물들을 만들어왔다. 특히 논픽션과의 협업은 그에게도 깊은 인상을 남겼다. 작업실이 있는 경복궁 근처를 자주 산책하며, 돌담과 기와 같은 건축 요소에서 수수한 아름다움을 느꼈고, 그 마음으로 기와 형태의 플레이트를 만들었다. 겹겹이 쌓이며 서로를 지탱하는 기와에서 영감을 받은 형태는, 곡선을 그리며 살짝 올라간 모서리로 완성됐다. 재료는 백자, 청자, 흑토 등 다양한 흙을 사용했고, 투명 유약을 발라 흙의 고유한 색과 감촉을 살렸다. 최근에는 땅에 대한 생각이 이어지고 있다. 작가는 매일 걷는 땅에서 채취된 흙으로 작업한다는 사실이 특별하다고 말한다. “걷는 행위에서 그림이 보였어요. 갈라짐, 흔적 같은 것이요. 그걸 유약으로 그림처럼 표현해보고 싶어요. 유약을 바른 다음, 닦아내서 틈 사이에만 남기면 마치 그림 같거든요.” 흙이 지닌 파동과 리듬을 통해 그는 또 하나의 풍경을 구성한다. “다르게 보이지만, 제 작업이든 자연이든 결국 본질은 같다고 생각해요.” 연결, 균형, 그리고 파동. 이스트스모크의 작업은 흙이라는 가장 오래된 재료를 통해 우리가 살아가는 오늘의 풍경을 포착한다. 어쩌면 우리는 모두 그렇게, 점 하나하나를 이어가며 매일을 살아내고 있는지도 모른다.
SPECIAL GIFT
조희진 작가에게 증정한 설화수 윤조에센스 6세대와 퍼펙팅 쿠션. 강한 자외선과 높은 습도에도 산뜻한 메이크업을 유지해주는 윤빛 시너지 듀오로, 얇고 완벽한 커버력의 퍼펙팅 쿠션과 윤조에센스를 함께 사용하면 자연스럽고 건강한 윤기를 더할 수 있다. 왼쪽부터 순서대로 퍼펙팅 쿠션 15g 5만9000원, 윤조에센스 90mL 14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