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fore & After 과감한 구조 변경으로 다시 꾸민 아이방

Before & After 과감한 구조 변경으로 다시 꾸민 아이방

Before & After 과감한 구조 변경으로 다시 꾸민 아이방

쑥쑥 크는 성장 속도만큼 아이방의 쓰임도 달라진다.
과감한 구조 변경으로 아이 맞춤 공간을 실현한 옐로우 플라스틱 디자인의 인테리어 팁을 확인해 보자.

아이의 필요에 맞게 공부방 분리하기 

시공 의뢰
“아들 하나, 딸 둘과 함께 사는 다섯 식구의 집. 공부에 한창 재미를 붙인 아이들을 위해 집 구조를 바꾸고 싶어요. 훌쩍 커버린 아들에게는 별도의 방을, 공부에 한창 재미를 붙인 딸들에게는 독서실처럼 공부에 집중할 수 있는 학습 공간이 필요해요.”

Before & After

 

복도를 중심으로 중문과 기둥, 방과 방이 늘어서 있는 전형적인 아파트 공간. 울퉁불퉁 튀어나온 벽과 몰딩이 시선을 분산시켜 복잡한 느낌을 주는데요. 프레임, 몰딩을 모두 없애고 복도 왼쪽으로 자리한 큰 방을 아들방과 공부방으로 분리하기로 계획했습니다.

   

몰라보게 달라진 복도. 천장과 바닥재를 모두 헐고 복도의 라인을 정리하니 한결 여유로워졌습니다. 복도 한 면에는 기존에 가지고 있던 책꽂이를 넣고 반대편에는 수납장을 만들어 공간 활용도를 높였죠. 맞춤 제작한 듯이 복도에 쏙 들어간 책꽂이는 작은 책방처럼 요긴하게 사용됩니다.

그레이와 화이트를 메인 컬러로 차분하게 꾸며진 공부방은 통유리 가벽을 맞춤 제작해 탁 트인 개방감을 줬습니다. 자칫 답답할 수 있는 공간을 통유리로 마감하니 밝고 세련된 느낌이 돋보이죠. 공간 사이즈에 맞게 배치한 책상과 칠판은 인터넷 강의를 듣거나 수학 공식 등을 적으며 공부하기에 안성맞춤. 유리 도어에는 시선을 차단할 수 있는 블라인드를 달아 더욱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연출했습니다.

EXPERT’S IDEA

옐로우 플라스틱 디자인

“큰방이었던 공간을 나눈다면 유리 도어로 개방감을 더해 보세요. 유리 도어는 구조를 해치지 않으면서 그 자체로도 충분히 인테리어의 한 부분이 되어줍니다.”

두배로 넓어진 아이방

시공 의뢰
“어린 딸을 키우는 부부의 집. 아이가 마음껏 넓게 쓸 수 있는 아이방을 만들고 싶어요.”

Before & After

 

넓은 평형이지만 복잡한 구조 탓에 그 장점이 드러나지 않았던 집. 부부는 어린 딸을 위해 과감히 방 두 개를 하나로 합치고 레이아웃을 단순하게 정리했습니다. 파노라마처럼 펼쳐지는 넓은 창은 살리고 철거 가능한 가벽은 헐어서 가구를 적절히 배치했죠. 넓은 아이방을 갖추니, 어른도 아이도 함께 하기 좋은 공간이 탄생했습니다.

커다란 양개 도어는 어린 딸이 잘 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개구부를 넓게 조성했는데요. 문이 세게 닫히지 않도록 도어 캐쳐도 시공하는 등 디테일도 세심하게 챙겼습니다. 아이가 좋아하는 디자인의 가구와 다양한 컬러감이 적절히 조화를 이루는 방. 해가 잘 드는 창문이 넓게 펼쳐져 항상 밝고 아늑합니다

EXPERT’S IDEA

옐로우 플라스틱 디자인

“아이방을 넓게 만들어 주면 가구를 배치할 수 있는 영역이 자연스레 커져요. 아이가 커가면서 새롭게 스타일링하기 쉬우니 공간을 오래 사용할 수 있죠.”

아이의 놀이터가 되는 알파룸

시공 의뢰
“가족이 책을 읽고 숙제도 하고 담소를 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해요. 남는 공간을 가족 모두를 위한 곳으로 만들어 주세요.”

아이방과 시선이 오픈되어 있는 베란다 공간은 아파트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구조죠. 이 공간을 잘 활용하면 아이들에게 또 다른 놀이방이자 휴식 공간이 될 수 있는데요. 남매가 사는 이 집은 아이방과 베란다가 연결된 복도에 단차를 줘 아늑한 좌식 공간을 만들었습니다. 다리를 넣을 수 있게 중앙을 비워서 빙 둘러앉을 수도 있죠.

 

탁자 밑에는 콘센트를 매입해 노트북 등 전자제품을 사용할 수 있게 했습니다. 또 하나의 방처럼 꾸며진 공간은 집의 전체적인 컨셉트와 어울리도록 그레이 컬러로 통일. 아이들이 마음대로 넘나들 수 있는 공간이 완성됐습니다.

EXPERT’S IDEA

옐로우 플라스틱 디자인

“단차를 주어 공간을 분리하면 단절감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동선을 매끄럽게 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새로운 공간으로 변신한 복도는 지루함이 없애고 공간적인 재미를 더할 수 있죠.”

CREDIT

에디터

TAGS
아날로그적 디자인의 선두주자, 피에트 헤인 익

아날로그적 디자인의 선두주자, 피에트 헤인 익

아날로그적 디자인의 선두주자, 피에트 헤인 익

Piet Hein Eek(1967~)

네덜란드 디자이너 피에트 헤인 익. 디자인 아카데미 아인 트호벤을 졸업한 다수의 디자이너들이 각기 가구 제작과 디자인에 매진할 무렵 피에트 하인 익은 홀로 가구 공장을 설립. 여느 젊은 디자이너의 행보와 달리 그는 근본적인 창조 능력을 기르는 작업부터 시작했다. 피에트 헤인 익은 가구에 빈티지 패턴이나 플로랄, 스트라이프 패턴을 믹스매치해 입히는 데 능하며 대표작이 된 스크랩 우드 가구는 폐자재를 이용해 패치워크한 나무 가구로 어마어마한 노동력과 감각이 요구되는 작업이다. 나무뿐 아니라 스틸, 세라믹, 패브릭 등 재료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즐기 며 스크랩 우드에 비해 덜 알려진 스틸과 알루미늄 가구는 그의 진정한 트레이드마크다.

‘Scrap Wood Commode(1996)’ Designed by Piet Hein Eek/ ‘waste-Wood Oak Chair(2005)’ Designed by Piet Hein Eek

버려진 나무 자재를 패치워크해 만든 가구 Scrap Wood Commode(1996)

재활용소재를 사용한 Waste-Wood Oak Chair

CREDIT

에디터

슬기로운 채소 생활!

슬기로운 채소 생활!

슬기로운 채소 생활!

신선한 농산물로 채워지는 건강한 삶, 지금 바로 실천할 수 있는 슬기로운 채소 생활을 제안한다. 건강하고 신선한 채소를 구입하고자 하는 이들이 늘어나면서 팜투테이블의 인기는 계속되고 있다. 생태적 지속 가능성을 기반으로 더 나은 삶을 지향하는 세 곳의 농장을 소개한다.

     

귀촌 부부의 농장, 자란다팜 

도시텃밭에서 시작한 자란다팜은 양평으로 귀촌한 부부가 화학비료와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정성스럽게 일구는 농장이다. 마르쉐, 미술관 장터, 수카라, 큔 등 다양한 이벤트 마켓에서 직접 만나볼 수 있는 자란다팜은 손님과의 소통을 중시하며 자신들이 키운 신선한 채소를 소비자들에게 알리고 있다. 다양한 품종의 채소를 소량으로 재배하며 건강한 먹거리를 찾는 이들에게 특히 인기. 홍감자, 토종박하, 민트류, 바질, 타임, 수박무, 가지, 토마토와 오크라 등 다양한 작물을 재배하고 있으며 계절마다 달라지는 신선한 농산물로 고객의 식탁을 채워주고 있다. 자란다팜은 단순히 농장을 짓는 것을 넘어 도시와 농촌을 연결하고 건강한 식생활을 도모하는데 앞장서고 있다. 또한 반려견을 위한 건강 간식도 만든다는 사실! 참고로 자란다팜은 오는 11월 6일 큔 7일장과 11월 10일 마르쉐 목동을 통해 고객들과 만남을 가질 예정이다.
INSTAGRAM @jaranda_farm 

         

자급자족 친환경 시골 농장, 꽃비원

충남 논산의 한적한 시골마을에 위치한 꽃비원은 부부가 함께 가꾸어가는 2200평의 작은 낙원이다. 농약 없이 키워낸 사과, 배, 감자 등 다양한 농산물을 재배하는 이곳은 자급자족을 실천하는 친환경 농장이다. 꽃비원은 소비자들에게 제철 농산물을 제공하기 위해 꾸러미 서비스 (제철 농산물을 맛보기 형태로 제공하는 프로그램)를 운영하고 있으며, 매년 출점하는 마르쉐에서도 직접 만나볼 수 있다. 또한 농가 민박과 식당을 겸하고 있는 ‘꽃비원 홈 앤 키친’도 함께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방문객들에게 직접 농장에서 재배한 신선한 식재료로 만든 요리를 제공한다. 자연 속에서 자라는 작물들은 화학적 처리를 거치지 않은 만큼 안전하고 건강한 법. 꽃비원은 단순히 농장을 개념을 넘어서, 자연과 더불어 사는 삶을 제안하는 곳이다.
INSTAGRAM @flowereaining.farm 

       

채소의 멋과 맛, 베지랩

베지랩은 ‘흙과 채소’를 건강하게 기르는 ‘재생농업’을 실천하는 곳이다.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지속가능한 농업을 지향하며, 토양의 탄소 저장을 돕고 생태계의 회복을 목표로 한다. 이곳에서 재배되는 채소는 탄소배출을 최소화하는 농업 방식으로 길러지며, 무경운 농업과 자연적인 비옥화를 통해 건강한 채소를 생산한다. 재생농업은 단순히 농사를 짓는 것이 아니라, 생태계를 돌보고 지속 가능한 먹거리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다. 베지랩은 혼식과 윤작을 통해 생물다양성을 높이고, 화학물질 사용을 최소화하여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한다. 좋은 흙이 좋은 채소를 만들고, 그 채소가 다시 사람들의 건강을 책임진다는 철학을 바탕으로 다양한 작물을 키워내고 있다. 베지랩에서 자란 채소들은 우리에게 건강한 삶을 선사한다.
INSTAGRAM @vegelab 

 

CREDIT

에디터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