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져 가는 호텔, 피크닉에서 만나다

사라져 가는 호텔, 피크닉에서 만나다

사라져 가는 호텔, 피크닉에서 만나다

사라져 가는 힐튼 서울과 마지막 인사,
한 장씩 추억해 보는 《힐튼서울 자서전.

힐튼서울 자서전 포스터, ©피크닉 piknic (사진: 최용준)

서울 남산 아래, 40여 년간 도시의 한 풍경이었던 건축물이 전시의 주인공으로 되살아납니다. 오는 9월 25일 피크닉에서 새로운 전시 <힐튼서울 자서전>이 개최되는데요. 1983년 개관한 ‘힐튼 서울’은 한국 모더니즘 건축의 아이콘으로 높은 품격과 완성도를 자랑하는 장소였습니다. 남산을 감싸는 외관, 녹색 대리석과 브론즈, 오크 목재로 꾸며진 내부, 그리고 18미터 높이의 웅장한 아트리움은 방문객들에게 인상적인 경험을 선사해왔죠.

힐튼서울 아트리움 ©피크닉 piknic (사진: 정지현, 2025)

이번 전시는 철거 진행 중인 ‘힐튼서울’의 시간을 되돌아보며, 공간에 축적된 이야기를 생생히 재현합니다. 초기 설계 도면부터 수년간 변경되고 수정된 계획들, 다양한 사진과 인터뷰를 통해 호텔의 생애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오래된 호텔 건물이 사라지는 과정을 단순히 기록하는 데 그치지 않고, 공간을 함께 만들고 사용해온 사람들의 이야기도 담았습니다. 건축가나 시공자뿐 아니라 호텔을 오랫동안 이용한 사람들과 호텔 직원들의 목소리를 모아, 하나의 공간이 어떻게 우리 삶 속에서 기억되는지를 보여줍니다.

힐튼서울 로비 ©피크닉 piknic (사진: 임정의, 1983)

건축가 김종성을 비롯해 임정의, 정지현, 최용준, 노송희, 백윤석, 서지우 그래픽캐뷰러리 등 참여 작가들은 각자의 시선으로 호텔의 얽힌 추억을 오늘의 풍경 속으로 풀어냈습니다. 특히 철거 현장에서 구출한 자재와 작은 오브제들은 호텔을 기억하고 재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전시 곳곳에 배치됩니다. 그리고 전시의 마지막 크리스마스 시즌마다 어린이들의 꿈을 싣고 달렸던 아트리움 자선 열차가 다시 출발해 관람객을 맞이합니다.

건축이 남긴 기억과 이야기를 마주할 수 있는 이번 전시에서 도시의 한 시대를 함께 살아온 건축물의 궤적을 따라가보세요.
WEB 피크닉 piknic

기간: 2025년 9월 25일(목) – 2026년 1월 4일(일)
위치: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6가길 30 피크닉 piknic

CREDIT

에디터

TAGS
가을 무화과, 이 디저트는 꼭 먹어야 해!

가을 무화과, 이 디저트는 꼭 먹어야 해!

가을 무화과, 이 디저트는 꼭 먹어야 해!

인기 카페 4곳이 선보이는 가을 한정 무화과 디저트,
계절의 짧은 호사를 놓치고 싶지 않다면 서둘러야 한다.

 

이치서울

©ichi seoul

©ichi seoul

신사동에 위치한 이치서울은 전문 파티시에와 바리스타가 함께 개발하는 계절 메뉴로 유명하다. 이번 가을에는 무화과를 중심으로 한 ‘무화과 쑥 얼그레이 파르페’를 맛볼 수 있다. 무화과, 쑥, 얼그레이가 부드럽게 어우러진 크림 레이어 위에 진한 쑥 아이스크림이 올라가 섬세한 맛을 완성한다. ‘쑥 무화과 박스’는 다쿠아즈 사이에 향긋한 쑥 크림과 잘 익은 무화과가 가득 들어가 무화과의 싱그러움과 쑥의 진한 풍미가 훌륭한 균형을 이룬다. 메뉴 모두 뛰어난 맛과 비주얼로 늦게 방문하면 품절을 각오해야 한다.

INSTAGRAM @ichi_seoul
ADD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158길 21 2층

 

키이로

©키이로

©키이로

혜화동의 키이로는 매 시즌 독특한 디저트를 선보이는 카페로, 이번 가을엔 무화과를 메인으로 한 메뉴가 시선을 사로잡는다. ‘흑임자 무화과 롤케이크’는 촉촉한 흑임자 시트 속에 신선한 영암산 무화과가 통째로 들어가 고소함과 달콤함이 조화롭다. 하루 8개 한정으로 판매하는 ‘무화과 토스트’는 구운 식빵 위에 직접 끓인 무화과잼, 리코타 치즈, 생무화과를 풍성하게 올려 무화과의 섬세한 맛을 온전히 느낄 수 있다.

INSTAGRAM @ki__iro
ADD 서울 종로구 창경궁로 26길 41-3 2층

 

르쿠에르

©르쿠에르

©르쿠에르

보문역 인근의 디저트 카페 르쿠에르는 영암산 청무화과의 쫀득한 단맛에 로즈마리 향을 더한 디플로마트 크림, 무화과잎 콩포트를 곁들여 깊이 있는 풍미를 완성했다. 한층 업그레이드된 이번 시즌 무화과 디저트는 르쿠에르 특유의 크림 조합이 돋보이며 웨이팅을 감수할 만한 이유가 충분하다.

INSTAGRAM @lecoeur_seoul
ADD 서울 성북구 고려대로6길 74 101호

 

무너미

©munumicafe

©munumicafe

©munumicafe

©munumicafe

수유역 인근, 꾸덕한 치즈케이크로 유명한 카페 무너미. 이번 가을에는 제철 무화과를 가득 담은 ‘무화과의 속삭임’을 내놨다. 무화과 콩포트와 커스터드를 품은 슈 위에 싱싱한 생무화과, 은은한 무화과잎 샹티크림, 그리고 고소한 피스타치오를 더해 다채로운 식감과 풍미를 완성한다. 꾸준히 사랑받는 ‘무화과 크림치즈 케이크’도 쌀 시트로 업그레이드되어 무화과 팬들의 발길을 붙잡는다.

INSTAGRAM @munumicafe
ADD 서울 강북구 노해로8가길 40 1층

CREDIT

어시스턴트 에디터

왕지은

TAGS
내 손안에 레트로!

내 손안에 레트로!

내 손안에 레트로!

코닥이 초소형 레트로 디지털카메라인 ‘CHARMERA 키체인 디지털카메라 블라인드 박스 컬렉션’을 출시했다.

©Kodak

손바닥에 쏙 들어올 정도로 아주 작고, 열쇠고리에 달 수 있을 정도로 가벼운 카메라가 등장했다. 이번 세트는 총 7가지의 빈티지 디자인이 특징이다. 랜덤 박스 형태로 판매되어 박스를 열기 전까지는 어떤 카메라를 얻게 될지 알 수 없다. 특히 내부 구조가 보이는 디자인의 ‘시크릿 에디션’은 눈여겨볼 만하다. 이 에디션은 약 48개 중 1개 비율로 제공돼 수집 욕구를 자극하며 언박싱의 즐거움도 더한다.

©Kodak

©Kodak

카메라에는 빈티지 필터 7종과 프레임 4종이 내장돼 있어 촬영 후 바로 필름 카메라 같은 연출이 가능하다. USB-C 충전과 파일 전송 기능, 키링 액세서리도 함께 제공돼 실용성까지 갖췄다. 열어보는 재미와 찍는 즐거움, 레트로 감성을 알차게 담았다.

©Kodak

현재 공식 홈페이지에서 품절된 상태이며, 재입고 일정은 인스타그램을 통해 안내될 예정이니 참고해 보자. 가격은 29.99 달러. @kodakfilm.reto

CREDIT

에디터

TAGS